산성마을 : 흑염소와 건강
흑염소의 기원 전통 흑염소는 예부터 왕실에서 즐겨 먹던 약용동물로 널리 알려져 왔다. 백가지의 풀과 1만 가지의 꽃을 고루 먹는다는 매우 신비한 동물로 알려져 있기도하다. 우리나라 일반농가에서 사육되는 흑염소로 통칭되는 한국재래산양은 북방에서 유입된 것으로 추정되며, 약 2,000년 전부터 사육된 것으로 추정되나, 조선시대의 초기에 가축화되어 민간인들도 사육하기 시작하였다. 1968년에 유산양은 17,138두, 염소는 109,279두가 사육되었으나, 1970년대의 낙농진흥정책에 영향 받아 1984년에는 유산양은 3,000두로 감소하고, 염소는 384,975두로 증가하였으며, 1995년말 산양두수 680,719두와 사육농가 82,719두는 거의가 재래 산양인 것으로 보아도 무방할 것이다.
흑염소의 특징 흑염소는 첫째, 조사료 이용성이 높다. 염소는 초식동물 중에서도 거친 먹이 이용성이 가장 우수한 가축으로서 소나 말은 잡초의 50%를 이용하는데 비하여 염소는 90%까지 이용할 수 있으며 각종 사료작물이나 야초 외에도 나뭇잎, 관목, 솔잎 등 거칠어 다른 가축이 이용치 못하는 것까지도 잘 소화시키므로 사육하기가 매우 쉽다. 둘째, 높은 산을 좋아하는 동물이다. 염소는 원래 산악지방에서 살던 동물로서 다른 초식가축의 방목에 이용할 수 없는 경사 30˚ 이상이나 바위가 많은 산을 활용하여 축산물을 생산할 수 있는가축이다. 셋째, 모여사는 습성이 강하다. 모든 동물들은 가축화 되기 이전에는 모여 살았으므로 대체적으로 모여사는 습성을 가지고 있지만 그중에서도 염소는 특히 모여사는 습성이 강하며, 여러 마 리가 떼를 지어 사육되기를 좋아하고 같은 무리에서 좀처럼 이탈하지 않는다. 넷째, 깨끗한 동물이다. 불결한 것, 습윤한 것을 싫어하고, 이물질이 든 것, 더러운 것, 썩은 것은 물른 다른 앙이 먹다 남긴사료, 또는 한번 밟아 버린 사료는 굶는 한이 있어도 먹지 않는다.
흑염소의 효능 옛 조상들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녹용 다음가는 약용 동물로 알려져 있으며 초식과 열매를 고루 먹는 아주 신비한 동물로여겼다. 그리하여 오랜 옛적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노약자나 임산부, 발육기의 어린이 및 허약 체질의 영양 보급에 많이 애용되어 왔다. 현대과학 문명이 고도로 발달된 오늘에도 흑염소의 인기는 날로 상승하고 있다. 흑염소의 중요 성분을 알아보면 인체에 필요한 칼슘이 소, 돼지, 닭에 비교하여 약 10배 이상이나 되며 특히 토코페롤(비타민E) 45mg이나 함유되어 있는 약용 동물이다. 재래산양의 모색은 간혹 흑색바탕에 이모색을 가지는 개체로있고, 암수 모두 뿔이 있다. 산육 능력은 일당 증체량이 암킷 50g, 수컷 65g 정도이며, 지육율은 45%, 정육률 30%로서 육용으로서의 가치를 더 높일 필요성이 있다. 초임 월령은 6~l2개월, 분만간격 7~8개월, 산자수1.6두이며, 비유능력의 부족으로 다태분만시 포유능력의 한계로 새끼의 폐사율이 30%나 된다. 흑염소의 소비는 주로 약용과 고기용으로 나눠진다. 약용은 주로100일령의 수컷을 이용하고, 고기용으로는 10개월 이상된 것을이용한다. 지방질 함량이 적은 반면 단백질과 칼슘, 철분이 많이 들어있는 흑염소는 임산부 뿐만 아니라 회복기 환자나 어린이에게 아주좋은 식품으로, 근육섬유가 연해서 소화흡수율이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타민E가 많은 것이 특색으로 비타만E는 토코페롤이라고 하는데, 세포노화를 방지하고 불임을 막아주는 작용을 한다. 염소의 간에는 비타민A가 풍부해 야맹증과 노년기의 시력감퇴 예방에 좋다.
▣ 흑염소 불고기 조리법 ▣ 〈재료〉염소고기 600g, 설탕 2큰술, 파 2뿌리, 마늘1통, 참기름 1큰술, 깨소금 1큰술, 후추가루 약간, 간장 3큰술, 배1/2개 〈만드는 법〉 ① 염소고기를 알맞게 저며서 잔칼질을 한 다음, 배즙을 넣어 골고루 주물러 약 10분간 재워 놓는다. ② 생강, 파, 마늘을 곱게 다져서 깨소금, 참기름, 후추가루, 진간장과 함께 잘 섞어 볶는다. ③ 이 양념간장을 고기에 넣어 잘 주물러서 간이 푹 배이게 한다. ④ 석쇠에 구워 야채와 같이 곁들여 낸다.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sansung114.com%2Fa_bbs%2Fdata%2Ffile%2Fpage%2F599753119_cadd6865_89_LImage1.jpg)
|
흑염소의 효능
단백질과 칼슘이 풍부하며 미식가들의 건강식으로 알려져 있는 흑염소는 특히 임산부, 허약체질인 사람에게
보약으로 통하고 있다.염소고기를 한방에서는 온양성 식품으로 분류하고 있다. 노인들의 몸이 차질 때에는
염소 고기를 먹으면 온몸이 따뜻해 진다는 것이다.
본초강목에는 염소고기가 원양을 보하며 허약을 낫게하고 피로와 추위를 물리치며 위장 의 작용을 보호하고
마음을 평안케 한다고 한다.
당나라의 천금방책에 둔양옥이라는 것이 있는데 이것은 황기 용안옥 요리인데 이것은 확실히 자양강장 식품이다.
염소는 옛날부터 임산부의 보약으로 널리 알려져 왔으며 흑염소에는 지방 질의 함량이 적은 반면 단백질과 칼슘
그리고 철분이 많이 들어있다.
임산부 뿐만 아니라 회복기의 환자나 어린이에게 아주 좋은 식품이다.
철분은 빈혈을 막아주며, 칼슘은 임부가 태아에게 빼앗긴 칼슘의 보충이 되고 성장기에있는 어린이 에게는 직접
필요한 영양소가 되는 것이다.
흑염소 고기는 근육섬유가 연해서 소화 흡수율이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방함량도 쇠고기의 절반 가량밖에 안들어 있어 소화가 잘되어 고기를 잘 먹는 사람이나 위장병 환자나 허약한
사람에게 좋은 식품이라 할 수 있다.
또 비타민 E가 많은 것이 특색이다.
비타민 E는 토코폐롤이라고도하는데 세포의 노화를 방지하고 불임을 막아주는 작용도 하므로 흑염소가 보약으로
전래된 것도이 때문이다.
염소고기는 옛날 부터 보혈작용과 함께 근육을 튼튼하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염소의 간에는 비타민A가 다른 동물의 간보다월등히 많아서 야맹증과 노년기의 시력감퇴에 유효할 것이다.
흑염소 [흑염소는 3저 4고 식품이다] 염소고기는 속을 덥게 하고 내장을 보하고 기를 늘린다.
심장을 안정시키고 놀라는 것을 그친다.
염소의 젖은 한랭과 허핍을 보한다. 염소의 허파는 폐를 보하고, 기침을 그친다.
염소의 콩팥은 신기허약을 보하고, 정수를 늘린다. 쓸개는 청맹을 다스리고 눈을 밝게 한다.
뿔은 산후통, 풍두통을 없애고, 골수는 양기부족을 치료한다고 하여진 신비한 특수 약용동물이다.
흑염소는 옛 조상으로 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신비의 약용동물로 알려져 있으며 초식과 열매를 고루 먹는 아주
신비한 동물이기도 합니다.
그리하여 오랜옛적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노약자나 임산부, 발육기의 어린이및허약체질의 영보급에 많이 애용
되어 왔습니다.
현대 과학 문명이 고도로 발달된 오늘에도 흑염소의 인기는 날로 상승하고 있었습니다.
흑염소의 중요성분을 알아보면 인체에 필요한 칼슘이 소,돼지,닭에 비교하여 약10배 이상이나 되며 특히 토코페롤
(비타민E) 45mg(100g기준)나 함유되어 있는 약용동물이기도 합니다.
동양 문헌에 나오는 흑염소의 효능을 보면
신농본 초경, 명의별록, 천금식치, 본초강목, 각의별곡, 일화본초, 약성본초, 도경본초, 일용본초, 식료본초,당본초
등의문헌에 흑염소의 효능을 소개하고 있으며,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임산부에 대해서는 보혈작용으로 산후출혈, 산후복통,냉대하진통, 자궁염, 변비등에 특효이다.
허약체질에 보약이 된다.
보혈작용과 혈액순환의 개선으로 동맥경화, 고혈압, 당뇨병 및 심장병등 성인병을 예방 할 수 있다.
위장, 신장, 대장, 간장, 심장, 폐등 5장6부를 보호하는 보약이다.
세포의 노화를 방지하고 기미를 제거하여 피부가 고와진다.
여성의 불임을 방지하고 부인의 냉대하에 효과가 있다.
기력을 보강하여 여성의 음허를 다스리고 남성의 정력을 보강한다.
시력을 좋게하고 두뇌를 활성하하며 진정작용을 한다.
신경통과 골다공증에 특효과 있다.
어린아이의 소아 경간,경기 및 구토를 예방하고 신체의 발육을 촉진시킨다.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pal.juso.info%2Fsongbun.gif)
흑염소는 고산성(高山性) 초식동물로서 초목과 열매를 고루 먹어 노약자나임신수유부, 특히 성장 발육기 어린이 및
허약체질의 개선에 애용되어 왔다.
흑염소고기의 주요 성분 중 우리 인체의 산성화를 막아주는 미네랄군(칼슘, 인, 철)이 타 동물(소, 돼지, 닭 등)보다
월등히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토코페롤(비타민E)이 타 육류에 비해 45%나 함유되어 있다.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pal.juso.info%2Ftasungbun.gif)
현대에 있어서 흑염소탕의 의미옛 부터 산모가 아이를 낳은 후에는 흑염소고기를 고아서 먹였는데 이는 출산으로 인해
떨어진 체력을 양질의 단백질과 흑염소고기 특유의 영양성분을 산모에게 보충해 줌으로써 체력을 빨리 회복시켜 주기
때문이었다.
현대에 와서도 출가하는 딸에게 흑염소탕을 미리 먹여 보내는 습관은 이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산모뿐만이 아니고 평소에 허약한 미혼여성에게도 흑염소 고기는 아주 오랜 옛날부터 피부를 곱게 하고 건강을
유지시키기 위한 손꼽히는 건강식품으로 많이 애용되어 왔다.
흑염소중탕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pal.juso.info%2Fjung%2520yomso%2520sajin.jpg)
효능
흑염소에는 지방이 적은 반면 소화흡수율이 좋은 단백질과 칼슘 그리고 철분 등이 고농도로 함유되어 있어서 피로회복 및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하는데 좋은 건강보조식품입니다.
또한 산모뿐만이 아니고 평소에 허약한 미혼여성에게도 흑염소 고기는 아주 오랜 옛날부터 피부를 곱게 하고 건강을 유지
시키기 위한 손꼽히는 건강식품으로 많이 애용되어 왔습니다.
특히 산후허약으로 보양을 필요로 하는 산모
위장병으로 장기간 고생하는 허약체질
당뇨병 치료를 위한 영양보충을 요 할때
빈혈증세가 자주와서 항상 고생하는 분
추위에 약하고 수족이 냉해 고생하는 분
갱년기 노화와 주름살로 고민하는 분 에게 좋습니다.
흑염소 고기는 근육섬유가 연해서 소화 흡수율이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지방 함량도 쇠고기의 절반 가량밖에 안 들어 있어 소화가 잘 안되어 고기를 잘 못먹는 사람이나 위장병 환자나 허약한 사람
에게 좋은 식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흑염소에는 지방질의 함량이 적은 반면 단백질과 캄슘 그리고 철분이 많이 들어 있습니다.
임산부 뿐만 아니라 회복기의 환자나 어린이에게 아주 좋은 식품입니다.
철분은 빈혈을 막아주며, 칼슘은 임산부가 태아에게 빼앗긴 칼슘 보충 되고 성장기에 있는 어린이에게는 직접 필요한 영양소가
되는 것입니다
*참고문헌 : 도경본초, 신농본초경, 체험기록
카페 게시글
다음검색
출처: 사포나루 芮(예) 審(심) 이 삶의 행복 더하기
원문보기
글쓴이: 예서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