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탁구와 구마준의 화해와 협력은 불륜으로 시작되어 거성가에서 벌어졌건 기나긴 갈등과 욕망의 고리를 끊어버렸습니다. 팔봉빵집으로 돌아간 김탁구와 양미순의 소박하지만 따뜻한 사랑, 여행을 떠난 구마준과 신유경의 화해와 용서를 말해준 러브라인의 최종 결말은 줄곧 이어졌던 청춘 주인공들의 방황과 갈등을 제자리로 돌려 놓았구요. 악역이지만 일방적으로 미워할 수만은 없는 멋진 악역, 서인숙과 한실장의 몰락과 고립은 통쾌함과 짠한 연민을 전해 주었습니다. 마지막 회를 앞두고 제작진이 살짝 알려준 힌트대로 작은 조연까지도 모두가 행복한, 그리고 적절한 최종회였어요.
하지만 그중에서도 제게 가장 만족스럽고 합당하게 느껴졌던 결말, 나름의 반전은 따로 있었습니다. 바로 잘못된 시작, 왜곡된 편견, 모든 문제들의 출발점을 바로 잡았던 것은 네 명의 청춘 주인공들도, 이 드라마의 기둥이자 실질적인 주인공이었던 관록의 중년 배우들도 아니었어요. 바로 김탁구와 구마준의 협력으로 새로운 거성의 대표로 선출된 거성가의 장녀, 구자경의 이야기가 바로 그것입니다. 그녀의 거성그룹 대표 등극으로 제빵왕 김탁구는 비로소 잘못 시작했던 첫 번째 단추를 제자리로 끼워 맞출 수 있게 되었으니까요.
이 드라마를 관통하고 있던 비극의 출발점은 서인숙과 한실장의 불륜도, 구일중 회장과 김미순의 불륜도 아닙니다. 그룹의 후계자는 반드시 남자여야 한다며 이들을 그렇게까지 몰아붙였던 구회장 어머니의 남아선호사상이었죠. 시어머니의 가혹한 집착 때문에 이미 사랑하는 두 딸의 어머니였던 서인숙은 한실장에게 손을 내밀었고, 구일중 회장의 비난받아야 할 불륜은 정당화되었습니다. 악역들이 삐뚤어졌던 이유도, 김탁구 모자가 숱한 고난을 당했던 이유도, 구마준의 영혼에 상처를 주고 그것이 신유경에게까지 전염되었던 이유도 따지고 보면 모두 남자가 최고라는 잘못된 고집과 편견 때문이었어요.
그러니 동생들의 도움으로 거성 그룹의 후계자로 정점에 오른 구자경의 이야기야말로 이 드라마의 모든 잘못을 바로잡는 가장 유쾌한 반전이었던 셈이에요. 애초에 그렇게 되었어야 마땅했던, 가장 기분 좋은 결말이었습니다. 다른 이들의 마무리처럼 그 타당성을 꾸준하게 쌓아 올렸기에 충분히 납득할 수 있는 것이기도 했구요. 마무리가 좋다면 다 좋다는 말처럼 과정의 중요함을 무시하는 무식한 말도 없지만, 이 드라마의 결말만큼은 중간 중간 언뜻 보였던 허술함과 아쉬움을 모두 날려버릴 만큼 훌륭한 끝맺음이었습니다. 수목드라마의 제왕다운, 정말 기분 좋고 깔끔한 마무리였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