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붕공사 】
■ 기와지붕해체
• 기와 지붕을 해체하기 전에 용마루곡, 내림마루곡, 귀마루곡, 앙곡, 안허리곡을 실측
한다.
• 해체전에 암막새, 숫막새, 망와의 문양(紋樣) 및 명문(銘文) 조사를 한다. 특히 명문 기
와는 탁본을 하여 별도 보관 한다.
• 해체된 기와를 지붕에서 내릴때는 가능한 인력으로 운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다
만 재사용재가 적을 경우는 앙각 60。 이하로 설치된 미끄름틀을 이용하여 내리되
낙하충격으로 인한 파손이 없도록 매트(mat)를 까는 등 충분한 안전조치를 취한다. 단
막새, 망와등 특수 기와는 보양하여 인력등으로 안전하게 내린다.
• 해체는 지붕하중이 한편으로 치우쳐 목구조에 무리를 주지않도록 전후 좌우 균형있게
해체해야 한다.
• 해체된 기와중 담당원이 지정하는 기와는 유형별(암기와,숫기와,암막새,숫막새,특수
기와 등)로 규격을 실측한다.
• 해체된 기와는 전면과 후면에서 내린 기와를 구별하여 담당원이 지정하는 장소에 안
전하게 보관한다. 또 해체된 기와는 매장마다 재사용 여부를 검사하여 규격별 시대별
로구분 정리하여 보관한다.
■ 기와 품질 및 검사
▣ 원료 및 제조
• 전통 한식기와의 제조에 사용하는 점토는 적당한 입도로 사력(砂礫)이 없고 불순물로
알카리(alkali)분, 유기물 등 유해량이 적은 것을 사용한다.
• 전통 한식기와의 제조에 사용하는 점토에 첨가하는 규사는 10% 미만으로 하되, 일정
입도, 유기물, 해로운 불순물 등의 함유량이 적은 것을 사용한다.
• 점토는 적당량의 물을 부어 인력으로 잘 혼합하여 형틀을 이용한 성형을 하여 건조한
다.
• 건조한 날기와는 가마속에 넣을때 간격을 두어 기와각면에 불길이 잘 오르도록 쌓은
다음, 작업출구를 막고 불을 지펴 굽는다.
• 가마속의 온도는 1000~1100℃로 최소 소성 온도를 3시간 이상 유지한 후 최종 단계
에서 훈화처리(燻化處理)한 후 (탄소를 표면에 정착시킴) 가마의 내부 온도가 360℃
이하로 내려가면 가마에서 꺼낸다.
▣ 규격 및 형태
• 표준기와 규격은 다음 [표 1]과 같다. 신축 건물이나 전량 교체되는 건물에는 표준기
와를 사용할 수 있으나 부분 보수를 하는 경우는 특기시방서에 의해 기존의 기와 규격
에 맞도 록 주문 제작하여 재래(在來)와 같은 형상(形狀)의 기와를 사용함을 원칙으로
한다.
[ 표 1 ] 표준 기와 규격
종 별 |
암 기 와 |
숫 기 와 |
앞넓이 |
길 이 |
두 께 |
앞넓이 |
길 이 |
두 께 |
중앙부 |
단 부 |
소 와 |
270 |
330 |
21 |
18 |
140 |
270 |
18 |
중 와 |
A |
300 |
330 |
25 |
21 |
150 |
300 |
21 |
|
B |
360 |
360 |
25 |
21 |
150 |
300 |
21 |
대 와 |
330 |
360 |
30 |
24 |
170 |
330 |
24 |
단, 기와의 오차 범위를 암,숫기와 모두 길이 및 폭은 ±10㎜, 두께는 ±3㎜로 한다.
• 막새는 기존 막새 중에서 담당원이 지정하는 형상으로 제작한다.
• 특수 부속기와의 제작은 원척도 또는 특기시방서에 의하되 담당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 품 질
• 기와는 균열, 모래구멍, 비틀림, 울퉁불퉁함이 없고 기타 사용상 지장이 없는 것으로
소성온도는 1000~1100℃로 기와의 태토(胎土)가 충분히 구워져야 한다.
• 기와의 흡수율 및 휨강도는 다음 [표 2]에 의한다.
[ 표 2 ] 흡수율 및 강도
종 별 |
암 기 와 |
숫 기 와 |
비 고 |
흡 수 율 |
강 도 |
흡 수 율 |
소 와 |
9 % 이하 |
280㎏/㎠ 이상 |
9 % 이하 |
|
중 와 |
A |
9 % 이하 |
280㎏/㎠ 이상 |
9 % 이하 |
|
B |
|
280㎏/㎠ 이상 |
9 % 이하 |
|
대 와 |
9 % 이하 |
280㎏/㎠ 이상 |
9 % 이하 |
|
▣ 검사방법
• 육 안 검 사 : 기와의 형태가 바른가? 뒤틀림이나 흠이 없는가? 광택이 좋은가? 를 육
안으로 구별하여 검사한다.
• 타 음 검 사 : 기건상태의 완형기와 일단(一端)을 잡고 수직으로 하여 나무망치로 기와
하단부를 가볍게 두들겨서 그 음색(音色)에 의하여 검사 한다. 단 암기와만 검사한다.
(검사결과 淸音이 나는 기와를 합격품으로 하고 濁音은 사용하지 않는다.)
• 흡수율 검사 : 검사용 기와를 건조기 속에 넣고 약 110~120℃ 온도로 24시간 이상 건
조하며, 함량이 될때의 중량을 건조시 중량으로 하고 이것을 수온 15~20℃의 물에 담
가 그 상면이 수면 밑 약 10㎝가 되도록 하며 최소한 6 시간 경과 후 꺼내서 각면을 닦
고, 달았을 때 중량을 흡수시 중량으로 하여 다음식에 의거 산출한다.
흡수시 중량 - 건조시 중량
흡수율(%) = ------------------------------ X 100
건조시 중량
상기 흡수율 검사는 암,숫기와 둘다 한다.
• 휨강도 검사 : 검사용 기와를 받침대 위에 수평으로 놓는다. 기와 받침대의 중심부에
평행하게 가력봉을 놓고 약 5㎏/sec의 속도로 균일하게 하중을 가한다(암기와만 검사
한다). 다만 받침대의 간격을 기와의 폭 270㎜미만일 때는 200㎜, 270~330㎜일때는
230㎜, 330㎜이상일때는 250㎜로 한다.
• 동파 검사 : 검사용 기와의 상면이 수면 약 10㎝가 위로 나오도록 하여 8 시간 경과한
다음 -20±3℃ 냉동고에 8 시간 이상 동결 시킨 후 다시 상온(18~20℃)에서 융해하는
작업을 1 회로 한다. 3회 이상 반복 실시하여 동파현상의 발생여부를 검사한다.
▣ 검사용 기와 선정 방법
검사용 기와는 1,000 매를 1 조로 하여 각 조에서 숫기와 2 매, 암기와 3 매를 해당공사
담당원이 임의 발췌 검사한다. 1 조중 1 매라도 불합격 할때는 그 조는 전량 불합격품으
로 한다.
▣ 기와의 표지
기와는 매장마다 제조년월 및 제조업자명을 표시한다. 암기와는 뒷면 복판에 가로 100
㎜, 세로 50㎜ 미만의 크기, 숫기와는 그내면에 가로 50㎜, 세로 25㎜미만의 크기로 한
다.
|
← 100㎜ → |
|
▪ 암기와표지
(뒷면복판) |
한 식 기 와
1994. 2.
( 상 호 )
|
↑
50㎜
↓ |
|
← 50㎜ → |
|
▪ 숫기와표지
(내면복판) |
한 식 기 와
1994. 2.
( 상 호 ) |
↑
25㎜
↓ |
■ 기와 잇기 재료
• 고정 및 결속선
고건축에 쓰이는 기와못(瓦釘)은 도면 또는 특기 시방서에 의하는 것 외에는 다음
[표 3]의 기와못을 사용한다.
동제(銅製)못, 동제 결속선(銅線)을 사용할 시는 담당원의 지시를 따른다.
[ 표 3 ] 기와 못 (고건축용)
종 류 |
품 질 |
치 수 |
사 용 개 소 |
비 고 |
2 자 못 |
단 조 |
재래 치수 |
취두 박기 |
필요에 따라 동선(#10-14)으로
결속한다. |
1 자 못 |
단 조 |
재래 치수 |
토수 박기 |
9치 광두정 |
단 조 |
재래 치수 |
잡상 박기 |
6치 광두정 |
단 조 |
재래 치수 |
방초박기, 암기와 숫기와 |
5치 광두정 |
단 조 |
재래 치수 |
방초박기, 암기와 숫기와
마감기와 |
• 방초막이 등은 특기시방서에 의하여 제작하되 재래 것이 있을때는 이에 준하여 재작
한다.
• 알매흙 및 홍두께흙은 차진 진흙을 쓰되 필요에 따라 백토, 마사토(풍화토) 등을 충분
히 짓이겨 뭉쳐서 던질수 있는 묽기로 한다.
알매흙(보토)의 배합 비율은 특기시방서가 없을 경우는 다음 [표 4]와 같이 한다.
[ 표 4 ] 알매흙 배합비 (1㎥당)
명 칭 |
단 위 |
수 량 |
비 고 |
생 석 회
마 사 토
진 흙 |
㎏
㎥
㎥ |
7.8
0.3
0.9 |
|
• 강회다짐
보토 위에 하는 강회다짐의 배합비는 특기시방서가 없는 경우 다음 [표 5]와 같이 한
다.
[ 표 5 ] 강회다짐 배합비 (1㎥당)
명 칭 |
단 위 |
수 량 |
비 고 |
생 석 회
마 사 (풍화토) |
㎏
㎥ |
128
1.1 |
|
• 와 구 토 (瓦口土)
와구토의 배합비는 특기 시방서가 없을 경우 다음 [표 6]과 같이 한다.
[ 표 6 ] 와구토 배합비 (1㎥당)
명 칭 |
단 위 |
수 량 |
비 고 |
백 시 멘 트
생 석 회
모 래 |
㎏
㎏
㎥ |
110
550
0.59 |
|
※ 백시멘트 : 생석회 : 모래 = 0.2 : 1.0 : 1.5
■ 산자 엮기 및 바탕 꾸미기
▣ 산자엮기
• 산자는 산자새끼를 평고대에서 용마루까지 늘이고 산자를 대고 엮어간다(못을 박아서
는 안된다).
• 산자는 알매흙이 잘 붙고 치받이흙(仰土)의 부착이 잘 되도록 산자굵기에 따라 간격을
잘 조정하여 엮는다.
• 산자의 이음은 서까래 위에서 하되 굵은 끝은 밑에 두고 가는 끝은 위로 가게 한다.
• 서까래 경사등이 심한 곳에서는 담당원의 승인을 얻어 힘살을 서까래에 직교하여 걸
고 못으로 고정한다.
• 박공부분, 합각부분 등 바로 옆에 서까래가 없을때에는 산자 받이재(자재)를 걸쳐댄
다.
• 산자재료 : 특기시방서가 없을 경우에 산자는 지름 3㎝ 정도의 긴 장작, 싸릿개비, 죽
더기 장작 등이나 두께 1.5㎝ 이상의 졸대를 사용한다.
산자새끼는 지름 6㎝ 정도로 하고 칡넝쿨, 등나무 덩쿨 등을 사용할 때는 담당원의 지
시에 따른다.
▣ 바탕 꾸미기
• 연암(연함:椽檻)은 암기와의 뒷면에 맞게 곡선지어 파고 평고대 위에 줄바르게 고정한
다.
• 연암은 기존 기와 및 신재 보충기와를 혼용할 경우 각각 이에 맞게 곡을 주어 판다.
• 연암과 평고대가 하나로 된 부재는 기존 부재와 같게 시공 한다.
• 적심은 부연 서까래위 끝에 견고히 가로 대고, 지붕 물매잡기에 알맞게 재래못으로 고
정한다. 산자 위에 지붕물매를 고려하여 보토(補土:새우흙)를 깐다. 보토는 진흙 또는
보통흙을 쓰되 이겨서 쓴다. 발비(서살목)는 사용장소가 지정되어 있거나 담당원이 승
인하는 곳에만 사용한다.
다만 서까래 위에 산자를 엮고 그위에 까는 발비는 특기시방서에 없는 경우 대패밥, 볏
집, 섞은새를 사용한다.
• 산자위에 지붕물매를 고려하여 보토(補土:새우흙)를 깐다. 보토는 진흙 또는 보통흙을
쓰되 이겨서 쓴다. 발비(서살목)는 사용장소가 지정되어 있거나 담당원이 승인하는 곳
에만 사용한다. 다만 서까래 위에 산자를 엮고 그 위에 까는 발비는 특기시방서에 없는
경우 대패밥, 볏짚, 섞은새를 사용한다.
• 보토 위에 충분히 피운 강회를 써서 강회다짐을 하되 누수가 되지 않도록 밀실하게 펴
다진다.
• 박공, 합각박공은 목수가 시공하되 와공과 협의 설치한다.
■ 기와잇기
• 잇기는 지붕하중이 한편으로 치우쳐 목구조에 무리를 주지 않도록 전후, 좌우 균형있
게 잇기를 하여야 한다.
• 명문(銘文)의 기와는 기와 해체전 위치에 재사용 하거나 별도 보관 한다.
▣ 알 매 흙
• 되게 이긴 양질의 진흙을 다시 개어 기와바탕(산자엮음, 널깔기, 강회다짐 등)위에 지
붕 물매를 잘 잡아 2㎝ 이상 두께로 편편하게 펴바른다.
• 암기와를 깔 때는 그 밑 양 옆에 알매흙이 가득 차도록 채워 넣으며 암기와의 밑면이
잘 붙도록 한다.
▣ 암기와 깔기
• 암기와를 깔되 암막새(내림새)의 처마 끝장 또는 그 받침장 기와는 연암골에 잘 맞는
기와를 골라서 사용한다.
암막새도 받침장 위에 잘 맞는 것을 골라 깐다. 받침기와 잇기는 연암과 양옆면이 서로
맞닿을 정도로 한다.
• 암기와는 바닥과 양 옆에는 알매흙을 가득 채워 넣어 고정 시키며, 골의 줄을 바르게
하여 암막새(내림새)에서 마루턱까지 깔아 올라간다.
• 암기와는 중앙부에서 곡을 잡아 양측면으로 깔아 나가되, 겹치기는 3 겹 잇기를 원칙
으로 하며, 건물의 물매를 고려하여 잇는다.
• 암기와는 골의 줄이 바르고 옆장과 서로 맞닿을 정도로 깔되, 그 사이는 15㎜이상 벌
어지지 않도록 한다.
• 암기와의 윗장 밑으로 아래장의 윗면과 잘 맞는 것을 골라서 사용하며, 양 옆에 알매
흙을 충분히 채워넣어 건들거리거나 기울어지지 않게 깐다. 또 처마끝장 암막새 및 물
매 센곳의 암기와는 와정이나 동선을 사용하여 견고하게 고정한다.
▣ 숫기와 잇기
• 숫기와는 마구리가 서로 잘 물려, 줄 바르고 물매 곡선에 잘 맞도록 잇고, 암기와에 닿
을 정도로 내려 눌러 홍두깨흙이 숫기와속에 가득 차도록 한다.
• 암기와와 숫기와가 잘 밀착 되도록 하여 홍두께 흙이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 숫막새는 암막새(女幕斯 : 내림새)에 잘 맞고, 기와골은 일정하게 깔고 기와못이나 결
속선으로 고정한다.
특기시방서에 없을때 기와못의 길이는 18㎝ 이상으로 한다. (다만 중와일때 한함)
• 처마끝에 막새를 쓰지 않을 때는 숫기와의 반지름 만큼 암기와 끝에서 들여 놓아 와구
토(瓦口土)의 물림 여유를 둔다.
▣ 지붕마루
• 용마루, 박공마루, 추녀마루, 합각마루, 새끼마루 등 각종 지붕마루는 기존에 맞추어
시공하고 기존 지붕마루를 확인할 수 없을때는 특기시방 서에 따라 시공한다.
• 지붕마루 틀기의 당골(當谷:단골)막이, 착고(着固)막이, 부고, 적새의 겹수는 기존 지
붕마루 틀기에 맞추어야 한다.
다만 기존 지붕마루를 확인할 수 없을 때는 특기시방서에 의한다.
• 잡상(雜像), 토수(吐首), 용머리는 특기시방서에 의한다.
• 양성은 도면 또는 특기시방서에 의한다.
• 당골막이
지붕마루를 틀 때에 숫기와 사이의 기와골에 잘 맞게 반동강 낸 숫기와를 쓴다. 다만
구기와를 사용할시는 담당원의 확인을 득한 후 사용하고 회백토반죽 또는 진흙을 빈
틈없이 채워넣어 모두 가지런하고 한모양(일매짐)이 되도록 쌓는다.
• 착고(着固) 막이
착고막이는 기와골 숫기와와 숫기와 사이에 잘 맞게 별도 제작하여 쓰는 것을 원칙으
로 한다.
다만 숫기와를 다듬질하여 쓸 때에는 기와골에 잘맞게 다듬어 쓰고, 또한 구기와를 사
용할 시에는 담당원의 확인을 받아 사용하고 이음새는 숫기와의 중심에 오게 한다.
착고는 위가 약간 안으로 기울게 옆세워 대고 안에는 회백토 반죽 또는 진흙을 빈틈없
이 채워넣어 면바르게 가지런한 모양(일매짐)이 되도록 쌓는다.
• 부 고
부고는 착고막이 위에 옆세워, 위는 약간 안으로 기울게 대고 이음은 착고와 엇갈리게
한다.
부고 사이에는 회백토 반죽 또는 진흙을 빈틈없이 다져 넣는다.
• 적새(積瓦, 的斯), 숫마룻장
적새(암마루장)는 도면 특기시방서 또는 담당원의 지시에 따라 겹수를 정하고 이음은
아래 윗장이 서로 엇갈리게 한다.
지붕적새 쌓기는 강회반죽을 얇게 채우고 쌓되, 끝머리는 그 지역 또는 당해 건물의 원
형을 고증하여 마루곡선의 특징을 살린다.
적새는 필요에 따라 결속선으로 밑바탕에 연결 고정한다. 숫마루장은 적새위에 강회
반죽(회백토반죽)으로 채워 고정한다.
• 망새, 용머리, 잡상, 용두박이, 토수, 귀면설치
- 망새(望斯, 望瓦), 용머리 : 지붕마루 끝에는 도면 또는 특기시방서에 의하여 담당원
이 지정하는 망새 또는 용머리 기와를 설치한다.
그 고정방법은 고정못 또는 연결동선으로 견고히 설치하고 그 주위는 강회반죽(회
백토반죽)으로 비가 새지않게 바른다. 망새를 쓰지 아니할 때는 담당원의 승인을 받
아 암막새(내림새)를 엎어쓸 수 있다.
- 잡상, 기타 : 잡상, 토수 기타는 특기시방서에 의하여 견고히 설치한다.
- 토 수 : 추녀, 사래 끝을 토수 안구멍에 맞추어 깎아 끼우고 좌, 우, 상, 하에서 고정
못을 박는다.
• 지 붕 골
고삽판(회첨부의 삼각판)은 서까래 끝위에 걸치고 평고대에 튼튼히 못박아 댄다. 회
첨골은 특기시방서가 없을 때에는 2골로 한다.
골옆 좌우면의 암기와 옆에서 9㎝ 정도 내밀어 놓는다.
• 와구토, 머거불
- 와구토 : 와구토는 숫기와 첫장(처마끝장)을 가만히 들쳐 올리고 숫기와의 안쪽으로
일정량(5㎝이상)이 들어가도록 견고히 부착시킨다.
와구토의 마감은 4분구형 또는 2분원뿔형으로 곱고 미끈하게 바른다.
- 머거불 : 지붕마루 끝머리에는 착고 부고와 같은 모양으로 숫기와를 옆세워 물리고 틈
서리는 회백토반죽으로 모두 가지런하고 한모양으로 바른다.
• 합각벽(合閣壁)
합각벽은 흙벽바름, 목조, 풍판(風板) 벽돌 또는 기와장 쌓기 등으로 하되 도면 또는
담당원의 지시에 따른다.
합각벽의 밑은 반 용마루 틀기로 하여 우수가 건물내에 흘러 들어가지 않게 물 흘림,
물 끊기 등을 철저히 한다.
침수 우려가 있는 부분은 모두 회반죽 또는 방수모르타르 등으로 빈틈없이 채워넣고
바른다.
합각벽에 무늬를 돋혀 쌓거나 모양을 새겨 넣을 때에는 특기시방서에 의한다.
• 누리개(累里介) 설치
연목과 부연 윗목에는 누리개를 설치하여 편심하중이 작용하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누리개는 길이가 길고 지름이 큰 부재로 연목과 부연 뒷목에 견고하게 고정시켜야 한
다.
• 적심 채우기
적심목은 길이 6~12척 정도의 통나무를 반으로 켜서, 연목에 재래못으로 고정 시켜야
한다.
• 강회다짐
적심목 위에는 적정 두께의 강회다짐을 하여 누수를 방지한다.
• 끝청소
기와 잇기가 완료된 후에는 잘못 이은 부분은 수정 보완하고 깨진 기와 등은 갈아 끼운
다. 기와에 묻은 진흙, 강회, 회반죽 등은 충분히 청소한다. 남은 기와는 모두 지붕에서
내려 놓는다.
■ 초가이엉잇기
▣ 재 료
• 산자 : 산자는 싸릿개비, 갈대, 대나무쪽, 가는 나뭇가지 등을 사용하여 발로 엮어서
걸쳐 댄다. 특히 아토를 바르지 않는 삿갓천정의 경우는 재래와 같은 재료와
수법으로 한다.
• 새끼 : 산자새끼, 마름새끼 또는 용마름에 쓰이는 새끼는 보통새끼(지름 9~12㎜)보다
가는 새끼(지름 7.5~9㎜)를 쓰며, 고사새끼 매기는 보통 새끼를 쓴다.
- 용마름에 쓰이는 새끼는 용마름을 엮을때에 한줄 날새끼 위에 짚을 엇걸어서 엮는데
쓴다.
- 마름새끼는 이엉(떼적)엮기를 할 때에 쓰이며 한줄 제날배기(줄이엉)로 엮을때에는
쓰지 아니한다.
• 군새 : 군새(썩은이엉)는 알매흙을 바른위에 초가의 물매를 잡으며 바탕이 되게 펴까
는 탈곡하고 나온 흐트러진 짚, 대패밥 또는 낡은 이엉의 지푸라기 등을 사용한
다.
• 알매흙, 짚여물
- 알매흙 : 진흙 또는 진흙기가 있는 밭흙을 짓이겨 깐다.
- 새굴매기 : 찰흙에 모래나 매흙을 섞어 건조시 크게 갈램이 생기지 않아야 한다.
- 짚여물 : 알매흙이나 새굴매기에 섞어넣는 것으로 짚을 길이 6~9㎝ 로 잘라 이것을
진흙에 섞어 짓이겨 균열을 막는다.
• 연죽 : 지름 3~5㎝ 정도의 긴 통나무 또는 통대로, 처마 서까래 끝부분 밑이나 지붕
이엉 위에 처마 기슭 가까이에 돌려 맨다.
• 가스락 보강 : 갈대, 대나무쪽, 나뭇가지 등을 길이 60~90㎝정도로 짧게 잘라 엮어 새
굴매기 위에 새로 깔고 이엉을이어 올려 볏짚 끝이 처져 내리는 것을 방
지한다.
• 볏짚과 마름 : 볏짚의 길이는 90~120㎝ 정도의 볏짚을 사용하여 마름을 만든다.
▣ 산자엮기
초가의 산자엮기는 지붕공사의 산자엮기에 준한다.
▣ 처마마름 설치
• 알매흙을 깐 위에 길이 1~1.5m 길이의 대나무쪽이나 겨릅대를 발로 엮어 기스락에
돌려 댄다.
• 처마 마름 엮기 및 설치
- 처마마름재 끝에서 약10~15㎝ 들여서 이엉만들기 방법과 같이 발을 엮는다.
- 처마 마름재의 머리끝은 연목 끝에서 약15㎝ 정도 내밀어 마름발을 돌려 펴깔고 지붕
면에 접하는 마름에는 굳지않는 알매흙에 눌러 고정시킨다.
- 지역에 따라서 처마마름을 발같이 설치하지 않고 통대나무를 약30~45㎝ 간격으로
연목방향으로 걸쳐대고 그 끝부분 위에 직각으로 직재의 통대나무나 나뭇가지를 걸
쳐 고정하고 새짚매기를 하기도 한다.
▣ 이엉잇기
• 지붕면에 약1~1.5m의 등간격으로 고사 새끼를 전후 연목에 고정한다.
• 이엉의 초장은 짚의 밑동 부분이 처마쪽으로 향하도록 하여 이엉을 처마마름 보다 약
5㎝ 내밀어 처마 전체에 돌려 잇는다.
이엉을 돌리면서 지븡면에 설치된 고사 새끼마다 이엉을 고정시킨다.
• 초장 다음 장의이엉은 밑동부분이 지붕위로 향하도록 이엉을 돌려 이엉을 잇되 각 고
사 새끼마다 이엉을 고정시켜 흘러내리지 않게 얽어매고, 각 이엉은 연결하여 용마루
까지 이어올린다.
• 지붕 귀마루 부분이나 회첨부분에서는 가지런한 짚이나 기존재의 이엉 조각을 깔고
난 후 이엉을 잇는다.
• 이엉의 상하 간격은 20~25㎝ 간격으로 이어 올린다.
• 용마루 부분의 이엉은 전후이엉을 맞대어 잇고 일정간격으로 얽어매어 고정시킨다.
• 기존의 초가지붕위에 이엉을 이을때는 기존의 용마름은 걷어내고 지붕면의 이엉 상태
가 양호할때는 지붕면을 깨끗이 청소하고 속고살(이엉잇기 전에 지붕위에 건너 질러
서 맨새끼줄)을 설치한 후에 이엉잇기를 한다.
초가 지붕면이 침하되거나 부식되어 있는 부분은 짚으로 주위 면과 같이 속을 채워 넣
은 후 이엉잇기를 한다.
속고살매기 및 이엉잇기는 상기(上記) 고사새끼(초가집의 지붕을 이을때 먼저 지붕위
에 잡는 버릿줄)매기와 이엉잇기와 동일하다.
• 기존 초가 위에 이엉잇기 할때는 지붕면이 완전 건조된 상태에서 하여야 한다.
▣ 용마루 잇기
이엉잇기가 완료된 후 용마루위에 용마름을 덮은 후 용마름 하부 좌,우 지푸라기로 용
마름위를 얽어 맨다.
▣ 기스락 자르기
• 이엉을 잇고 나면 기스락을 처마마름보다 약5㎝ 내밀어 일매지게 가지런히 이엉 끝을
자른다. 낫이나 전정가위로 지붕면과 직각으로 자른다.
• 방구매기로 처리된 추녀부 지붕 귀에서는 둥그스름하게 돌려 자른다.
• 회첨에 고삽판을 댄 때에도 둥그스름하게 자른다. 방구매기나 고삽판을 쓰지 아니한
것은 귀나 회첨부분에서 직각으로 꺾어 돌릴 수도 있으나 이엉만이라도 둥글게 돌려
자르는 것이 편리하고 또는 초가지붕의 부드러운 표현에 합치되는 것이다.
▣ 연 죽
• 처마 끝이나 박공옆에는 고사새끼를 잡아매는 대나무 또는 가느 통나뭇가지 등을 가
로댄다.
이것을 연죽이라 하고 보통 서까래 밑에 못으로 고정하지만 지붕 위 처마끝 부분에 가
로댈 수도 있다.
• 지붕위에 연죽을 설치할때는 연죽을 고사새끼와 일정간격으로 얽어매어 고정한다.
• 연죽재는 지름 3㎝ 정도의 통나무 또는 대나무로 하고 굵지 아니한 것을 쓴다. 연죽은
박공옆이나 박공처마 밑에 대기도 한다.
연죽은 길게 겹쳐 이어서 가는 새끼로 묶고 방구매기에서는 휘어돌린다.
▣ 새끼엮기
• 가로 고사새끼 동여매기는 새끼를 처마기스락에 평행으로만 걸고 세로는 가로줄이 늘
어지지 아니할 정도로 서너줄 맨다.
일반적으로 가로줄은 처마끝에서 20㎝ 정도 위에 두고 중간에는 간격 60㎝ 정도로 한
다.
• 처마끝에 매는 가로줄은 때로는 동아줄처럼 굵은 새끼를 쓸때도 있다.
• 세로로도 동일한 간격 또는 그 배정도 되는 간격으로 동여맨다.
• 가로, 세로 동여매는 간격은 보통 40㎝ 정도로 하지만 세로는 2배가 되는 80㎝ 정도로
하기도 한다.
• 용마름동여매기는 먼저 용마름의 날새끼를 길게 하여 처마밑 연죽에 가로줄에 잡아맨
다.
• 용마름이 날개에 뒤집히지 않도록 그 날개 밑부분의 이엉에 가로줄로 동여맨다.
• 세로 가로 고사새끼가 교차되는 곳은 모두 걸어매어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