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actures ⅠGeneral Principles 1. 골절의 분류 1) 해부학적인 위치에 따라 : 골단(epiphysis), 골간단(metaphysis), 골간부, 근위부, 중간부, 원위부 2) 골절의 정도에 따라 : 완전골절, 불완전골절 3) 골절의 방향에 따라 : 횡상, 사상, 나선상, 종상(longitudinal) 4) 개방창 동반여부 따라 :개방성골절, 폐쇄성골절 5) 골절편의 수에 따라 : 선상, 분쇄(골절편이 3편이상), 분절 (큰뼈에서 별도의 2개의 완전한 골절이 동시에 존재) 6) 골절의 안전성에 따라 : 안정골절, 불완전골절(정복후 다시 전위를 일으킴. 정복의 유지를 위해 금속 내 고정등이 요구됨) 7) 골편의 전위여부에 따라 : 비전위 골절, 전위골절(원위편으로 기술)
8) 손상기전에 따른 분류 (1) 직접외상에 의한 골절 : 타박골절(Tapping), 압좌(crush)골절, 관통골절 (2) 간접외상에 의한 골절 : 감입(impacted), 횡골절, 사횡상골절(butterfly), 나선상골절(spiral), 사상골절, 견인(traction)골절
2. 탈구 : 완전탈구, 아탈구 3. 골절의 치유 1) 골절의 치유과정 (1) 염증기(10%) : 골막손상, 골막하와 골절 끝에 혈종 형성 (2) 복원기(40%)- clinical union : 혈종의 기질화, 골절부에 연골형성과 골막하에 신생골 형성 (3) 재형성기(70%) - 방사선적 골유합 : 가골의 흡수, 골유합에 의한 고질화
2) 골절치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 나이 : 성인>소아 (예 대퇴골골절 : 신생아 3주, 8세 8주, 20세 20주) (2) 골간부 > 골간단부 (3) 횡골절 > 사상골절 (4) 전위골절 > 비전위골절
3) 골절의 치유과정에 맞는 치료방법 (스위스의 AO group) (1) 정확한 해부학적 정복 (2) 견고한 내고정 (3) 골과 주위조직의 손상을 최대한 적게 한다. (4) 주위 관절을 조기에 능동적 운동을 시킨다.
4) 부정유합 (1) 원인 ① 경련성 마비를 동반한 골절 ② 심한 연부조직 손상을 동반한 경우 ③ 부정확한 정복 ④ 불충분한 고정 ⑤ 치료자의 부주의
(2) 치료 ① 관절내 혹은 관절주위 변형은 정도가 경하더라도 심한 기능장애가능 ② 소아의 부정교합은 성장에 따른 자연교정을 관찰한 후 수술 ③ 교정수술은 골유합후 6-12개월후에 실시
5) 지연유합 : 충분한 기간동안 골절치료를 하였음에도 치유가 늦어지는 상태 (1) 원인 ① 불완전한 정복과 고정 ② 고정기간의 불충분 ③ 골절편의 상실 ④ 전신질환(예: 혈액질환, 소모성 질환) ⑤ 불유합의 원인이 비교적 경미하게 있을 때
6) 불유합 (1) 원인 ① 개방성 분쇄골절 ② 감염 ③ 불충분한 혈액공급 ④ 연부조직 삽입 ⑤ 관절내 골절 ⑥ 내고정물의 부식 ⑦ 병적골절
(2) 호발부위 ① 경골하 1/3 골절 ② 요골원위부 골절 ③ 대퇴골 경부골절 ④ 상완골 경부골절 ⑤ 척골 근위부 골절 ⑥ 주상골 골절
7) 골절의 치유기간 - 순조롭게 치유되는 경우에도 골절의 양상이나 개인차, 연령과 성별에 따라서 다를 수 있다. - 성인의 경우 수지골 3-4주, 수근골 6-12주, 전완부의 요골과 척골, 상완골 8 - 12주, 쇄골의 경우6-9주대퇴골 16-20주, 경골 12-16주, 족근골 8-12주, 족지골 6 - 8주
8) 골절 치유의 판정 - 방사선 판정과 실제 치유도와의 상관계수는 0.9정도로 알려져 있다. - 방사선 상 치유의 판정 ⑴ trabecula가 골절선을 지나는 경우 ⑵ 골절부위에서 medullary cannal이 복원된 경우 ⑶ 골절선이 소실된 경우 ⑷ 외가골이 골절선을 지나는 경우 4. 신경, 혈관손상
(1) 신경손상 여부는 일차적으로 정복 후에 예후를 관찰한다. (2) 혈관손상은 단순압박이면 정복을 신속히 함으로써 재순환이 될 수 있고, 혈종이나 석고 고정으로 인한 혈단의 수축성 긴장이 있을 때는 석고제거, fasciotomy 로 감압시켜 혈액순환을 도모한다.사지괴사와 관계가 있는 중요 혈관은 응급으로 재봉합, 혈관 성형술로 복원하여야 한다.
(3) 흔한 손상 ① 견관절 탈구 : 액와정맥, 액와동맥, 척골신경 ② 상완골 간부골절 : 요골신경 ③ 주관절, 골절 및 탈구 : 척골,요골신경, 정중신경, 상완동맥 ④ 고관절 탈구 : 좌골신경 ⑤ 비골근위부 골절 : 총비골신경
5. 골절환자의 치료에 있어 범하기 쉬운 실수 1) 이학적 소견상 골절을 암시하지만 방사선 소견이 정상이라는 이유로 골절에 준하여 치료하지 않는 경우 2) 근위부 골절시 흔히 있을 수 있는 신경손상에 대해 조사하지 않는 경우 3) 정상 방사선 소견을 가지는 주상골(navicular) 골절 4) 정상 방사선 소견을 가지는 요골 두부골절 5) 견갑부의 후방골절 6) 부골을 골절로 치료한 경우 7) 경골의 상부골절이 외반을 잘 일으키는 것 8) 피로골절을 놓치는 것 9) 경골 극 골절(tibial spine fx)을 놓치는 것 10) 상완 상부 골절을 과잉치료하는 것 11) 전위된 측부 상완 과골절(lat. condylar fx)의 불안정성을 알지 못하는 것 12) 골연골 골절(osteochondral fx)을 놓치는 것 13) 병력이 의심되지 않는 경우에 비골골절을 놓치는 것 14) 적당한 간격으로 추적조사를 하지 못하는 것
6. 소아의 골절 1) 소아골절의 특성 ⑴ 변형력에는 잘 견디지만 가벼운 외상에도 골절이 쉽게 일어난다. ⑵ 골단판이나 골단골화 중심이 골절되면 성장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⑶ 인대손상의 빈도가 성인에 비해서 적다. ⑷ 골막이 강하여 심한 전위가 없다. ⑸ 골형성 능력이 크기 때문에 골절 치유가 성인에 비해서 빠르다. ⑹ 비수술적 정복이 원칙이다.( 예외. 관절내의 전위된 골절, 대퇴경부골절, 일부의 골단판 손상) ⑺ 과성장이 문제가 되며 bayonet apposition이 필요하기도 하다. ⑻ 치료 후 남는 변형은 대부분 교정되지만 회전변형은 교정되지 않는다.(표 1) ⑼ 외반, 내반 등의 변형이 잘 생기고 개방성 골절에 의한 골수염이 광범위해 진다.
2) 소아의 특수한 골절 (1) buckle 골절 : 전위나 각형성이 거의 없으므로 한쪽 피질의 융기만이 관찰됨 (2) 굴골절(greenstick fracture) : 한쪽 피질골의 연속성만 파괴되고 다른쪽 피질 골을 휘어지기만 함 (3) 골단판 골절 : 소아의 경우 항상 골단판 골절이 있을 수 있다는 사실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흔한 부위는 요골원위부, 경골원위부, 기절골 골절, 상완골 근위 부의 순서이다. 방사선 촬영은 양쪽을 찍어 비교하여야 한다. (그림 1) ① 제 1 형 골단분리 : 도수정복 ② 제 2 형 골단골절분리 : 도수 정복 (가장 빈도가 많다) ③ 제 3 형 골단부분골절 : 수술적 정복(d/t 관절면을 침범) ④ 제 4 형 골단 및 골간단골절 : 정확하게 정복하지 않으면 성장장애 초래 --> 수술적 정복 ⑤ 제 5 형 골단부 좌멸 : 예후가 가장 나쁘다. 의심이 되면 3주이상 체중 부하를 삼가고 1년이상 관찰하여야 한다. 도수 정복 후의 변형 허용범위 연령 각형성 회전변형 단축 1- 5 세 20-30˚ 0˚ 15mm 5-10 세 10-15˚ 0˚ 10mm 10-15 세 0-10˚ 0˚ 5mm
7. 방사선 진단 1) 골절이 의심되는 뼈가 다 나오게 찍어야 하고 양끝의 관절을 포함해야 한다. 2) 최소한 서로 직각되는 두 방향에서 촬영하여야 하고 뼈의 크기가 작거나 척수인 경우에는 특별히 사면 촬영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3) 특별한 검사가 필요한 경우 (1) Bone Scan ① 방사선 진단이 해부학적으로 어려운 곳(예 : 주상골, 요골두, 대퇴경부) ② Occult fracture(non-displaced or stress fracture) : 피로골절의 경우 방사선 촬영상 나타나기 2주일 전에 관찰할 수 있다.
(2) 컴퓨터 단층촬영 ① acetabulum involve가 의심되는 pelvic fracture ② femoral head and neck fracture ③ tibial plateau injuries
Ⅱ 상지골절 1. 쇄골골절 - 전체골절의 10-15% - 대부분 소아 드물게 노령층 - 80% 정도는 중 1/3 혹은 중외 1/3의 경계부. - 이 골절은 전위가 아무리 커도 신경, 혈관손상이 없는 한 보전적 요법으로 치료 그러나 원위 1/3의 골절은 오구쇄골 인대 손상이 많으므로 정형외과로 의뢰 방사선 촬영 : 전후방, 45도 사면 촬영(cephalad), stress view(오구쇄골인대 손상 여부를 알기 위해 양손에 5kg의 추를 들고 촬영 치료 : 8자형 붕대. 장착한 뒤 신경혈관기능을 재평가 하고 3-5일 후에 재조정 소아의 경우 3-4주, 성인의 경우 5-6주
2. 외과경골절(Surgical neck of humerus) - 주로 중, 고령자 - 외과경골절의 의심되는 환자가 견부 외전된 상태로 왔을 때 방사선 촬영시 무리하게 내전시키면영구적 신경손상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주의 - 방사선 촬영 : AP, Axillary view, Transcapular view - 치료 : sling & swathe으로 고정, 진통제, 거상등의 처치로 대부분 충분함. 고정으로 인한 강직을 피하기 위하여 circumduction 운동을 조기에 시키고 2주후 에는 피동적 운동을 시킨다. 분쇄골절의 경우에는 응급으로 의뢰.
3. 상완골 골간부 골절 - 전 골절의 5% 정도. - 혈행이 풍부해서 골유합은 잘되지만 지연유합, 불유합, 신경손상(radial N), 위관절의 빈도가 높다. - 치료는 전위가 없으면 sugar tong spint대고 의뢰하며 전위가 있으면 hanging splint 대고 응급으로 의뢰한다.
4. 과상골절 - 4-11세 정도의 유소아의 남자에게 많다. - 대부분 신전형(원위골편이 후상방으로 전위됨) - 방사선 소견 : 대부분 소아가 많아 양쪽을 같이 촬영해야 한다. * Fat pad sign : 정상적으로 주관절 활막은 얇게 보이는데 피가 차게 되면 fat shadow의 전위가 생긴다.(전방 : coracoid fossa쪽, 후방 : Olecranon fossa쪽) - 치료 : 요골신경, 정중신경, 지연성 척골마비등이 흔하다. --> 의뢰하는 것이 좋음. 치료시 너무 꽉낀 석고고정을 사용하면 Volkman's ischemic contracture가 올있다.(5 P sign : pain, pallor, pulselessness, paresthesia, paralysis). 그밖에 주관절 내반변형, 외상성 화골성 근염 등이 잘 생긴다.
5. 요골두 및 경부골절 - 방사선 검사상 잘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많아 fat pad sign이나 10-12일후 나타나는 healing line이 도움이 될 경우가 많음 - 소아의 경우는 전위가 경미할 경우에는 주관절 90도 굴곡, 전완은 중립위치로 석고 고정을 한다.성인의 경우는 대부분 보전적 요법으로 치유가 되지만 심할 경우에는 요골두 제거술이 요구되기도 한다.
6. Pulled Elbow - 손목을 갑자기 끌어당겨 요골윤상인대가 찢어져 요골두가 일과성으로 아탈구 된 것 - 소아가 주관절을 약간 굴곡시키고 전완을 회내전한 위치에서 팔을 쓰지 않는다. - 주관절 전완을 회외전하면 쉽게 정복된다. 약 2주간의 sling이 필요하며 보호자에게 팔을 잡아 당기지 않도록 교육시킨다.
7. 전완부 골절 - Monteggia's fracture : 척골 간부골절과 요골두의 탈골 - Galeazzi's fracture : 요골 원위부 골절과 원위요척골 관절의 탈구 - 대개 수술이 필요하므로 정형외과로 의뢰한다. 8. 원위요골의 골절(Colles' Fracture) - 성인골절의 10-15%정도. 골조송증이 빈발하는 중년기 이후의 여성에게 호발 근위대퇴부 골절, 척추압박골절과 발생 연령, 빈도등에서 비슷하다. - 후방으로 전위된 경우를 말하며 전방으로 전위된 경우는 smith fracture라 한다. - 50%에서 하요척관절의 침범 및 척골의 styloid fracture를 동반한다. - 방사선 소견 : 원위요골의 전방경사 및 내측경사가 소실된다. ulnar styloid fracture, ulnar neck fracture, radioulnar joint, radiocarpal joint, distal radio ulnar subluxation등 동반될 수 있는 다른 손상을 관찰한다. - 치료 : 전위가 심하지 않으면 견인으로 골절면을 맞추고 전완은 supination, 수근부는 15도정도굴곡, 20도 정도 내전시킨 상태에서 sugar tong spint로 고정한다. 지나친 굴곡은 정중신경을 압박할 수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 반적인 예상과는 달리 예후가 그리 좋지 않다. 각종 부정유합이 잘 생기는데 대개 다른 손상이 같이 동반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다른 손상이 동반되어 있으면 정형외과로 의뢰하는 것이 좋다. - smith 골절은 수술이 필요하므로 의뢰하는 것이 좋다.
- 치료 ① occult fracture : thumb spica cast 2 wk후 방사선 촬영(골절선 관찰) ② 비전위골절 : long arm thumb spica cast 6wk후 short arm thumb spica cast로 바꾸고 총 8-12주 고정 ③ 전위골절 : volar splint만 대고 정형외과로 의뢰 ④ 무혈관괴사, 지연유합, 외상성 관절염등의 합병증이 잘 발생한다. 무혈관성 괴사는 근위 1/3골절에서 잘 발생한다
10. 중수골골절 - 골두골절, 경부골절, 골간부골절, 기저골절의 네가지로 분류된다.이중 경부골절을 Boxer's fracture라고 한다. - 제 2.3 중수골은 해부학적으로 운동이 거의 없지만 제 4 및 제 5 중수골은 전후방 운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 2,3중수골 골절은 정확한 정복이 요구되므로 정형외과에 의뢰하는 것이 좋다. - position of function(수근관절 30도 배부굴곡, 중수지관절 60도 굴곡, 지관절 약간 굴곡) 으로 ulnar gutter splint를 2-3주후 능동적 운동을 시킨다.
11. 원위지골 골절 - 수부골절의 반이상. 중지 무지의 순서 - 손톱에 혈종이 생기면 구멍을 뚫어 주고, alminium splint등으로 간단한 외고정 - 근위지 관절은 굴곡되고 원위지 관절은 과신전 되는 Buttonhole 변형, 원위지 관절의 굴곡이 일어나고 근위지 관절이 과신전되는 mallet finger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Ⅲ 하지 골절 1. 경골 및 비골골절 - 분쇄골절이나 나선골절인 경우 정복이 어렵다. - 중하 1/3부위는 순환이 좋지 않기 대문에 지연치유나 위관절로 되기 쉽다. - 전위가 없으면 장하지 석고고정으로 치료한다(약 10-13주). 골절면이 50%이상 접하게 되면 골유합에는 큰 문제가 없다. 그러나 10도이상의 각형성이나 회전 변형은 허용되지 않는다. - 석고붕대후 1-2일 정도에 동통이 심해지면 구획증후군을 의심해야 한다. 그러한 이유로 하지골절 환자는 반드시 입원시켜서 치료한다.
2. 족관절 골절 - 내과골절, 외과골절, 양과골절, 3과골절, 탈구골절등이 있다. - 안정골절은 정복이 필요하지 않으며 post. splint, 거상, 얼음찜질, non-weight bearing exercise를 해주고 부기가 가라앉으면 발을 중립위로 하고 walking cast 로 4-6주간 고정한다. - 불안종 골절은 수술이 필요하며 여러가지 합병증이 잘생기므로 정형외과로 의뢰한다.
3. 종골의 골절 - 추락시 발 뒷꿈치에 체중이 작용할 때 일어나며 족근골 골절 중 가장 흔하다. 10-15%에서 척추의 골절을 종반한다. - 치료가 어렵고 치료 후에도 합병증이 많이 발생하므로 즉시 정형외과로 의뢰하는 것이 좋다.
4. 족지골절 - 대개 직접손상에 의한 경우가 많다. - 엄지를 제외하고는 손상된 발가락을 큰 쪽 발가락과 거즈를 사이에 두고 테이프로 고정시키고나서 2-4주 정도의 비체중 부하 운동을 하면 된다. 엄지발가락의 경우에는 둘째 발가락을 splint 삼아서adhesive plster taping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 전위가 심한 골절이나 관절내 골절은 오랜 시간동안 견인하여 정복하고, 잘 되지 않으면 수술이필요하므로 정형외과로 의뢰한다.
Ⅳ 여러 부위의 염좌 1. 용어 - strain(근 염좌) : 근육의 손상 - sprain(염좌) : 인대의 손상 - 1도 근염좌 : 근육의 과신전에 의함. 근육의 압통과 자발통 - 2도 근염좌 : 근육의 부분파열. RICE( rest, immobilization, cold compression, elevation) 통증이 소실되기 전까지는 손상된 근육을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 Early ambulation은 잦은 근좌상 재발의 원인이 된다. - 3도 근염좌 : 인대의 완전손상. 수술적 치료를 요한다.
2. 흔한 염좌 (1) 족관절 염좌 - 가장 흔한 손상중하나 또한 가장 잘못 치료되고 있는 손상중하나 - inversion stress(85%), Eversion stress(15%) - 구조 손상의 순서 inversion stress eversion stress ↓ ↓ Ant. talofubular lig. Avulsion of Medial Malleolus or deltoid lig rupture ↓ ↓ Calcaneofibular lig. Ant. inf. tibiofibular lig. ↓ ↓ Post.talofubular lig. interosseous membrane
- 분류 ① 제 1 도 염좌 : 기능손상이나 동통, 부종등이 거의 없고 손상된 인대에 긴장을 줄 때만 약간의 동통이 있다. ② 제 2 도 염좌 : 인대의 부분손상. 정상운동시 동통을 호소하고 경도의 부종과 출혈이 발견되며 손상된 인대에 긴장을 줄 때에 심한 동통을 호소한다. ③ 제 3 도 염좌 : 인대의 완전파열. stress test양성이고 잘 움직일 수 없다. 완전히 파열되면 오히려 통증이 없기도 하다.
- 치료 RICE ① 제 1 도 염좌 : 단순압박붕대 또는 반창고 붕대(그림 2) ② 제 2 도 염좌 : 석고 부목고정 혹은 단순압박붕대 고정 이후 조기 운동법 ③ 제 3 도 염좌 : 석고고정을 하거나 심한 경우 수술적 봉합 ④ 1/4정도의 환자는 재발성 관절불안정을 호소하는데 대부분 수술이 필요하다. 무릎에서의 인대손상과는 달리 이 경우는 시간이 지난 뒤에 수술해도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⑤ 대개는 2-3일 정도의 거상과 얼음찜질이 필요하다. ⑥ 4-5일후 통증이 없어진 이후에는 재발을 방지하기 위한 운동을 실시한다. ⑦ 석고 고정은 경직과 기능부조에 빠질 위험이 있으므로 반창고 붕대로 불안정하면 수술이 필요하다는 견해도 있다. (Rakel)
(2) 손가락의 염좌 - 손가락의 염좌는 원위수지골절, 수지관절탈구등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따라서 손의 손상이 있을 때는 우선 압통이 있는가 관찰하고, 각 관절의 능동 수동운동을 실시해 보고 stress test를 실시한 뒤 방사선 촬영을 실시한다.
- 수지부의 인대牽裂(avulsion) ① Mallet finger : 신전근의 견열로 생기며 dorasl splint로 5-6 주간 고정한다. ② 신전건 건열 : 모르고 지나가는 수가 많아 영구적 기능부조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정형외과로 의뢰하여 수술 받도록 해야 한다. ③ Buttonhole deformity : PIP joint 주위의 인대손상으로 생기며 여기에 손상을 받은 것이 의심되면 일단은 3-6주정도의 extensor cast를 하는 것이 좋다.
Ⅴ 골절과 관련된 몇가지 문제점 1. 골절환자의 후처치 및 재활 ① 손상 후 부종은 그대로 두면 유착이 생겨 관절강직까지 생길 수 있으므로 거상, 국소근육의 적 운동을 통하여 정맥순환을 촉진시킴으로써 최소화 시킨다. ② 불용성 위축을방지하기 위하여 고정된 관절의 근육은 등척성 운동을 다른 육은 등력성 운동을능동 실시하게 한다. ③ 외고정 기간이 끝나면 근력과 관절운동범위가 정상으로 회복될 때 까지 능동적운동을 계속한다. ④ 일상생활과 작업을 위해서 작업치료가 필요하기도 하다.
2. 골절의 합병증 1) 구획증후군 (1) 개념 : 근막이 근육을 공간 없이 꽉싸고 있는 근육은 손상등의 원인으로 부종이 생기게 되면 모세혈관순환이 저하됨. 결국 근육의 괴사가 생겨서 구축이 발생하게 된다. (2) 호발부위 : interossi of hand, volar and dorsal of the forearm, gluteus medius, anterior compartment of the leg, peroneal and deep posterior compartments of leg (3) 증상 : 부적절한 통증, 감각증상, 근육약화가 있으면 의심해야 함 감각을 볼 때는 통각보다는 촉각이 도움이 되고 근력검사를 실시한다. 피동운동시 통증이 악화되고 맥박이 약해지는 증상이 특징적이다. (4) 6시간이 지나면 근육에 12시간이 지나면 신경에 불가역적인 변화가 생기므로 조기진단과 감압으로 빨리 모세혈관의 순환을 회복시켜 주어야 한다. (5) 만성 구획증후군은 운동에 의하여 구획 내에 압력이 증가되어 순환 장애, 동통 그리고 신경마비까지 초래되는 질환으로 휴식으로 증상이 호전되었다가 다시 운동하면 재발되는 상태를 반복한다.
2) 교감신경 반사성 위축 (1) 손상으로부터 회복되는 과정에서 증상이 호전되지 않고 예상외로 심한 동통, 감각 및 기능장애가 나타나는 현상. 교감신경의 흥분상태로 설명되기도 하나 정확한 정설은 없다.
(2) 임상적 단계 제 1 단계 : 초기 (사지의 작열통) 제 2 단계 : dystrophic 제 3 단계 : atrophic( 피부의 위축과 구축, 근육과 관절의 운동제한)결국 혈관축소, 조직무산소증,동통증가, 운동증가, 부종, 섬유화, 강직등의 악순환이 생긴다.
(3) 치료 지속적인 동통성 병변의 제거, 물리요법(수동운동, 마사지, 열치료, TENS), 교감 신경 반사의 제거, 부신피질호르몬제, valium, Elavil등
(4) 방사선 소견 : 점상골 조송증 3 통상적 치료기간(전치) - 치료기간은 의사가 의학적인 약품 및 시설을 사용하여 손상이나 질병을 원상으로 회복하는데 걸리는 기간으로 진단서 기재등에 문제가 된다.(표 2) 여러 손상에 있어서의 통상적 치료기간 성인 소아 골절부위 고정기간 재활기간 고정기간 재활기간 지골,족골 4 2 중수골,중족골 5 3 전완골 원위부 6 3 3 2 상완골 10 6 3 2 전완골(골간부) 12 12 3 1 척추(압박) 12 12 척추(탈골) 16 6 척추(횡돌기) 6 2 대퇴골(경부) 24 24 10 4 대퇴골(간부) 20 12 8 3 대퇴골(대전차부) 12 6 경골 상1/3 8 4 6 2 중1/3 12 8 하1/3 16 8 비골 4 2 3 1 족관절 8 8 종골8 8 반월상 6 4 연골파열 쇄골 4 2 3 1 견비골 5 2 늑골 4 2 흉골 6 2 하악골 8 2 주상골 16 8 슬개골 6 4 비골 2 골반골 장골 8 2반골 4 2 치골 4 2 비골 12 6 월상골 6 2 탈구 슬관절 6 4 견비관절 4 2 오축쇄골관절 6 4 장지관절 3 2 지골간관절 2 2 주관절 4 4 월상골 4 2
4. 부목과 석고붕대(Splints & Casts) 1) 만드는 방법 (1) 석고붕대(Cast) ① Stockinette를 적절한 부위에 착용시킨다. 주름이 잡힐 것 같은 부위는 관절부 위에서 자른다. 석고붕대로 덮 힐 부위보다 위,아래로 몇 인치씩 길게 착용. ② 면 솜을 그 위로 감는다. 뼈가 튀어나온 부위는 면 솜으로 felt padding을 댄다. ③ 석고붕대를 물에 담근 뒤 꺼내서 가볍게 짠 뒤 감는다. 원위부에서 근위부로 감는다. - 정맥혈의 울혈을 줄임 50%정도 서로 겹치게 감는다. ④ 양쪽 끝의 남는 stockinette를 석고붕대위로 당겨 접은 후 그 위로 몇 번 더 석고붕대를 감는다.
(2) 부목(Splint) ① 면 솜을 적당한 두께와 길이로 준비 ② 석고붕대를 적당한 길이와 두께로 미리 준비해 놓은 후 물에 담구었다가 건져 그 위에 면 솜을대고 잘 다듬는다. 상지의 경우 석고붕대를 6-8겹으로 준비, 하지 의 경우 8-10겹으로 준비 ③ 원하는 신체부위에 갖다 대어 각 부위의 굴곡을 맞춘다. ④ 압박붕대로 감고 잘 말라 딱딱해질 때까지 적당한 지지를 해준다.
2) 일반적 주의점 (1) 부종이 심한 경우는 석고붕대(cast)는 하지 않는다. (2) 고정하고자 하는 부위보다 한 관절씩 아래 위까지 포함시켜야 한다. (3) 압박에 의한 조직괴사에 주의한다. 특히 가장자리 부분, 뼈나 관절의 튀어나온 부분,등과 둔부(누워있는 경우)등을 주의한다. (4) 혈액순환을 수시로 확인한다. (5) 부종과 그로 인한 신경,혈관이 손상을 막기 위해 손상부위를 심장보다 높게 올리게 한다. (6) 고정되어 있지 않은 부위는 강직과 근위축을 막기 위해 운동을 시킨다.
3) 흔히 보는 부목(splint)의 예 (1) Sling & swathe bandage ; 견관절 탈구, 상완골 골절, 주관절 골절(일부) (2) 장상지 후부목(Long arm posterior splint) ; 주관절이나 전완부의 손상 (3) 전후 부목(Antero-posterior splint) - 전완부 원위부의 골절시, sling과 함께 사용 - 전완부 중간부위의 골절시는 부목의 범위를 팔꿈치 위까지 올린다. (4) Sugar tong splint: 전완부의 골절 특히 Colles' fracture시 sling과 함께 사용 (5) Gutter splint - 중수골이나 지골의 골절시 사용 - 위치에 따라 +- radial gutter splint +- ulnar gutter splint로 나뉨 - 이때 +- 중수지절관절(M-P joint)는 50-90˚굴곡 +- 지절간 관절(I-P joint)는 15-20˚굴곡시킨다. (6) Dorsal & volar finger splint : 지골의 골절시 pad가 붙어있는 금속 부목을 손가락의 앞 또는 뒤에 대서 고정 (7) Dynamic finger splint : 주로 지골간 관절의 인대 손상시 사용 - 다친 손가락을 옆의 정상 손가락에 고정시킴 (8) Hairpin splint : 원위지골 골절시 사용
5) 흔히 보는 석고붕대(cast)의 예 (1) 단상지 석고붕대(Short arm cast) : 주관절부의 골절 (2) 장상지 석고붕대(Long arm cast) : 전완부나 주관절의 골절, 원위부 상완골 골절 (3) 상지 원통상 석고붕대(Arm cylinder cast) ; 주관절 탈구시 사용 - 주관절에서 상완부까지 덮음 (4) 단하지 석고붕대(Short leg cast) : 족관절부위의 골절, 심한 족관절부 염좌 및 손상 (5) 장하지 석고붕대(Long leg cast) ; 경골근위부, 주관절, 대퇴골 원위부의 골절 - 슬관절의 탈구 및 손상 (6) 하지 원통상 석고붕대(Leg cylinder cast) :슬관절의 골절, 탈구 및 연조직 손상시 사용 (7) Shoulder spica cast : 견관절의 탈구 혹은 손상시 (8) Hip spica cast - 단하지(short leg) - 선천성 고관절 탈구 - 일측성 장하지(unilat. long leg) - 대퇴골 골절 - one and a half - 대퇴골 골절, 고관절 수술후 - 양측성 장하지(bilat. long leg) - 고관절부 골절. 고관절 수술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