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科友사랑방 원문보기 글쓴이: 탁기수
Ⅰ. 행사 개요 1. 주최(주관)기관: 대전발전연구원 2. 일시 : 2015. 12. 4(금) 10:00 –12:00 3. 장 소 :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2층 컨퍼런스홀 4. 참가자 범위 및 참가자 수 :대전발전연구원 황혜란 연구위원 등 50인 Ⅱ. 발표 및 패널 토론자 1. 주제 발표자 : 송위진(STEPI 사회기술혁신단장) 2. 패널토론 : 김종남(대전 시민사회연구소 부소장) 성지은(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연구위원) 정성영(ETRI 창의미래연구소장) 황혜란(대전발전연구원 책임연구위원)
| ||||||||||
Ⅲ. 주제 발표 등 개요 | ||||||||||
1. 주제발표(1) 제목 : 지역혁신 모델로서 리빙랩의 의미와 정책적 합의 | ||||||||||
주제발표 내용개요 | 1. 지역혁신에 대한 새로운 접근 가. 심화되는 한국사회의 문제점 1) 양극화 심화와 추락하는 삶의 질 나. 공공연구부문의 새로운 역할 정립이 필요 1) 산업혁신을 주도하는 민간부문의 성장과 발전 2) 민간혁신 주체의 발전에 따라 공공연구부문의 새로운 역할 필요 - 산업지원을 넘어 자신의 정체성 확립 필요 - 공공성 확립을 통한 공공연구기관의 위상정립 나. 시민사회의 능력향상 1) 디지털화에 따른 시민사회의 정보, 지식 접근 능력 및 활용능력 향상 -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메이커 운동 - 시민사회의 능력을 활용하는 Citizen Science - 사용자가 참여하는 개방형 실헙공간인 Living Lab 2. 산업혁신과 사회혁신 가. 사회혁신 1) 사회혁신은 보건복지, 의료, 교육, 위생, 환경, 안전분야 등에서 사회문제를 해결하고 사회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새로운 아이디어를 개발하고 구현하는 활동 2) 과학기술을 활용해서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활동으로서 ‘기술기반 사회혁신’이라고 할 수 있음. 3) 혁신의 유형에는 사회혁신(Social innovation)과 산업혁신(Industrial innovation)
- 특정주제가 주도하는 혁신:기업이나 공공기관이 주도하는 혁신 - 경제적 가치 칭출 주체들간의 경쟁 - 사회적 가치 창출 쥬체들간의 협력 - 다양한 주체들이 참여하는 혁신 : 시민사회, 사회적경제, 기업, 공공기관, 정부가 거버넌스를 형성
3. Living Lab과 지역사회혁신 가. 지역혁신정책의 성과와 한계 1) 지역산업 활성화를 위한 과학기술공급 중심의 지역혁신의 추진 2) 지역사회혁신에서 출발하는 지역혁신 정책인 ‘지역사회혁신’의 모색 필요 - 지역사회혁신과 지역산업혁신의 연계 - 사회문제 해결에 적합한 이론 개발 3) 지역의 소득, 고용, 복지, 환경, 에너지, 주거문제 해결을 위한 혁신 - 농업산업혁신 vs 농촌사회혁신 - 도시산업혁신 vs 도시사회혁신 4) 지역사회가 혁신활동을 주도하여 실질적인 분권화 실현 - 사회적경제의 혁신모델 개발 - 문제해결형 연구개발사업과 정책개발 •목표가 명확하고 기술구현에 초점이 맞추어진 임무지향적 연구개발사업과의 차이 •문제가 불명학하고 구성됨. 사회-기술혁신 나. 혁신주체의 다양화 1) 새로운 혁신주체의 등장 - 시민사회, 사회적경제 조직 - 중간조직의 중요성 2) 시민사회, 사회적 경제조직, 영리기업, 공공연구기관의 협업을 위한 기반 구축 - 지향점이 다른 조직들간의 상호작용을 촉진하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이나 learning-by-doing 프로그램의 개발 다. 사회문제 해결과 기술위험의 관리 1)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혁신활동과 함께 그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기술 위험의 관리 - 사회문제 해결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또 다른 문제를 염두에 둔 접근 2) 사회에 책임지는 혁신(Responsible Research and Innovation)적 접근 - 문제해결과 기술위험 대응을 위한 원리 라. 지역사회혁신 하부구조로서의 Living Lab 1) 사용자가 참여하여 지역사회문제를 구체화하고 함께 해결하는 기반 2) 사회혁신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플랫폼 가) 혁신능력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중소기업, 사회적 경제조직, 시민사회 조직을 지원 하고 전문기관과 연계해주는 역할 3) 지역사회혁신을 통한 산업혁신 기반 구축 마. 덴마크의 Egmont Living Lab 1) 배경 및 활동 가) 보조기술 영역에서 사용자 주도형 혁신을 구현하는 방법을 연구하는 공공 프로젝 트인 HandiVision Project의 일환으로 Living Lab 설치 - 이 프로젝트에는 기업, 장애인 관련, 연구기관이 참여 - 혁신의 전과정(제품개발에서 제품 시험, 기존제품 개선)에 사용자를 참여시킴 - Living Lab은 보조기술영역에서 공공민간-시민사회가 참여하는 개방형 혁신 플랫 폼으로 기능 나) 장애학생을 위한 Egmont 학교를 Living Lab으로 지정하고Innovative User과정 운영 - Egmont 학교는 고등학생들이 4∼10개월 정도 머물면서 자유로운 분 위기에서 다양한 분야를 공부하고 경험을 쌓는 기숙학교 - 덴마크 장애인단체가 설립했으나 일반 학생들도 재학하고 있으며, 장 애학생들의 사회복귀를 목표로 하고 있음. - HandiVision Project의 일환으로 The Innovative User 과정을 운영하 여 학생들에게 참여적 설계방법과 소통방법 교육 바. 대전의 리빙랩 프로젝트 : 건너유 1) 호우시 매번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해결하기 위해 리빙랩을 제안 가) 시민들의 아이디어를 통한 테스트 베드 나) 강을 건너기전에 갑천 범람을 스마트폰으로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를 시민들의 참여로 직접 개발 - 시민(User)의 불만이 제도권으로 전달되는 방식이 정치적 또는 행정절 차상의 해결이 아닌, 시민의 문제를 시빈 스스로 해결해 나가는 방식 - 디지털 사회혁신을 통해 누구나 문제해결 주체로 성장할 수 있는 가 능성 확인 -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시민들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해 나갈 수 있 는 시민주체성과 집단지성의 창의성을 통한 민주적 성취감을 반복적 으로 경험해나가는 것. | |||||||||
정책제안 내용
| 1.수요중심 지역혁신정책 추진 가.지역혁신정책의 관접 전환, 문제해결, 수요중심의 프레임 전환 -Driver로서의 기술에서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enabler로서의 기술 -도시재생, 보건의료시스템 혁신, 자원순환 시스템 구축 등 지역사회 문제 해결과 기술혁신의 연게 필요 나. 현장 밀착형 사회문제 조사, 분석 프로그램 운영 -지역기반 사회문제 조사 분석사업 2. 지역혁신 플랫폼으로서 리빙랩 모델 활용 가. 지역혁신조직+중간지원조직+내외부 과학기술전문조직의 협업 지향 3. 지역혁신 생태계의 확대 가. 지역기반 비영리조직, 사회경제 조직까지 지역혁신주체로 포괄 필요 4. 지역사회혁신과 산업혁신을 연계해야 함.
|
2. 패널토론자 주요 발표 및 제안 내용
제목: 김종남(대전시민사회연구소 부소장) 1. 과학기술전문조직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과학기반혁신 현장 특히 대덕연구기관들과의 실천기반 혁신을 통합할 수 있도록 대전시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함 2. 우리나라의 리빙랩 제도의 도입은 우선 정부주도로 시작을 하여 점차 민간을 융합하는 순서가 바 람직함. |
제목: 성지은(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연구위원) 덴마크의 리빙랩 사례에서와 같이 그 지역 시민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해야함 2. 프로젝트 시작부터 결과 도출까지 모든 과정에 시민이 활발하게 참여할 수 있어야 하며, 또한 민 간 기업이 적극참여 3. 리빙랩 운영을 총괄적으로 관리 조정할 수 있는 민관공동의 기업을 설립 운영이 필요함 |
제목: 정성영(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창의미래연구소장) 1. 사회문제 해결을 통해 새로운 비즈니스를 형성하는 공유가치창출(CSV)전략 발굴이 시급함 2. 리빙랩과 사회경제의 친화성을 활용해야함. |
제목: 황혜란(대전발전연구원 책임연구위원) 1. 리빙랩은 사용자 주도형 혁신이 가능함 고령인, 장애인, 일반인 누구나 참여 가능하고 실험실 R&D가 아니라 모든 사람이 연구 개발할 수 있도록 개방형으로 돼 있어 과학기술로는 해결이 안 되는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됨. |
3. 기타 참가자 주요 제안 내용
1. 보건복지문제, 자원순환문제, 문화 활성화 등 현장조직의 참여를 통한 리빙랩 활성화가 절대 필요함. 2. 리빙랩과 사회적경제의 친화성을 잘 활용해야 할 것으로 사료됨 |
4. 행사 스케치
○ 행사장에는 주로 대전발전연구원 등 대학생 참가자가 많아 리빙랩에 대한 별도 의견은 없었고, 새로운 제도에 대해서 청취하는 것으로 만족하였음.
5. 행사 장면
첨부 :
지역혁신모델로서리빙랩의 의미와정책적합의(12.4).hw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