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연주곡 악보를 받아서 보니깐 보이는건 흰종이위에 가로줄 5개랑 검은콩나물뿐이라는...ㄷㄷㄷ
그래서 공부좀 할려고 인터넷 뒤지다가 좋은 자료가 있어 공유합니다. 저처럼 초급자분께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악보보는법의 가장 기초는 계이름입니다.
즉 도레미파솔라시도 입니다.
그것만 볼줄아시면 나머지는 그것에서
조금만 더 아시면 간단하게 보실수있습니다.
계이름인 도레미파솔라시도의 순서에서
그대로 말하면 음이름은 CDEFGABC 순서입니다.
한국.. 다 라 마 바 사 가 나 다
영국,미국 .. C D E F G A B C
이탈리아... 도 레 미 파 솔 라 시 도
Do Re Mi Fa Sol La Si Do
이런식으로 계이름과 음이름이 있습니다.
D라면 계이름 레를 말하는것이죠.
장조는 장음계, 단조는 단음계를 의미합니다.
아주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장조는 밝은분위기의음악이고
단조는 슬프고 우울한 분위기의 음악입니다.
조표라는것은 그 음이름을 으뜸음으로 하는것을
말합니다.다장조는 도가 으뜸음이고
라장조는 레가 으뜸음입니다.
그렇게 이해하시면 됩니다.하지만 단조는 좀 다른게요
단조는 계이름 라가 처음입니다.
장조는 계이름 도가 처음시작이지만 단조는 라가 처음입니다.
그러니 D단조는 D음,그러니까 레보다 3음위가 원래의
그 조표를 입니다.그러니까 D음인 레의 3음위인
레미파,즉 파음이 으뜸음인 바장조의 나란한조입니다.
바장조는 시에b이 붙는 장조입니다.그러니 D단조의 곡을
악보상으로 보실때는 아마도 바장조인 F장조의 계이름으로
보셔야할겁니다.만약 더 궁금하시거나 제 설명이 부족하거나
이해가 어려우신게 있으시면 알려주세요.제가 아는부분까지
설명해 드리겠습니다.도움이 되셨으면합니다.
음표와 쉼표
|
 |
음표 : 음의 길이와 높이를 나타내는 표로 머리, 기둥, 꼬리, 점으로 되어있다. |
|
|
 |
|
 |
쉼표 : 음을 내지 않고 쉬는 때를 알리는 표를 쉼표라고 부른다. |
민음표와 민쉼표
|
|
민음표 |
길이(
를 기준으로) |
민쉼표 |
이름 |
모양 |
모양 |
이름 |
온음표 |
 |
∥――∥――∥――∥ ――∥ (4박) |
 |
온쉼표 |
2분음표 |
 |
∥――∥――∥ (2박) |
 |
2분쉼표 |
4분음표 |
 |
∥――∥ (1박) |
 |
4분쉼표 |
8분음표 |
 |
∥―∥ (1/2박) |
 |
8분쉼표 |
16분음표 |
 |
∥∥ (1/4박) |
 |
16분쉼표 |
32분음표 |
 |
∥·∥ (1/8박) |
 |
32분쉼표 | |
점음표와 점쉼표
|
|
점음표 : 음표의 오른쪽에 점이 붙은 음표를 말하며, 이점은 앞 음표의 절반의 길이를 더하여 갖는다. |
|
 |
점쉼표 : 점음표와 같은 길이를 갖지만 잘 쓰이지 않는다. |
|
|
점음표 |
점쉼표 |
점온음표 |
 |
점온쉼표 |
 |
점2분음표 |
 |
점2분쉼표 |
 |
점4분음표 |
 |
점4분쉼표 |
 |
점8분음표 |
 |
점8분쉼표 |
 | |
|
|
※온쉼표는 박자표에 상관없이 한 마디 전체를 쉴 때에도 사용된다. |
|
|
겹점음표와 겹점쉼표 : 음표(쉼표)의 오른쪽에 작은 점이 2개 붙어 있는 음표(쉼표)로서 뒤의 점은 앞점의 1/2의 길이이다. |
음표와 쉼표의 적기
|
|
음표는 셋째 줄을 기준으로 하여 그 위의 음은 기둥(대)을 아래로 적고, 둘째 칸 음이하는 위로 적는다. |
|
 |
기둥의 길이는 한 옥타브의 길이가 좋다. |
잇단음표
|
 |
셋 잇단음표 : 본디 2등분 해야 할 음표를 3등분한 것으로 가장 많이 사용된다. |
|
|
 |
|
 |
두 잇단음표 : 3등분 해야 할 음표를 2등분한 것으로 셋 잇단음표와 반대이다. |
|
|
 |
박자와 리듬
|
|
박자 :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셈여림



 |
|
|
박자표 : 악곡에서 음자리표와 조표 다음에 표시되는 분수 꼴
 |
|
 |
박자의 갈래 |
|
|
갈래 |
2박자 계통 |
3박자 계통 |
4박자 계통 |
박자젓기 |
홑박자 |
2/2, 2/4, 2/8 |
3/2, 3/4, 3/8 |
4/2, 4/4, 4/8 |
민음표를 한 박으로 하여 박자젓기 한다. |
겹박자 |
6/2, 6/4, 6/8 |
9/2, 9/4, 9/8 |
12/2, 12/4, 12/8 |
점음표를 한 박으로 하여 박자젓기 한다. |
섞임박자 |
5/4(2/4+3/4, 3/4+2/4), 7/4(3/4+4/4, 4/4+3/4) |
여러 종류의 박자젓기를 섞어서 박자젓기를 한다. | |
|
|
 |
혼합박자의 셈여림 |
박자젓기
|
|
2박자 계통 |
3박자 계통 |
4박자 계통 |
6박자 계통 |
 |
 |
 |
 | |
리듬
|
|
당김음(Syncopation) : 쉼표나 기호, 붙임줄 등에 의해 셈여림의 위치가 바뀌는 리듬의 형태를 말한다. |
|
 |
쉼표에 의한 당김음
 |
|
 |
엑센트에 의한 당김음
 |
|
 |
붙임줄에 의한 당김음
 |
|
 |
리듬에 의한 당김음 |
|
|
 |
마디
|
 |
마디 : 보표 위에 셈여림을 표시하기 위해 그어 놓은 세로줄과 세로줄 사이 |
|
 |
세로줄 : 셈여림의 되풀이를 나타내기 위해 강박 앞에 그은 줄 |
|
|
겹세로줄 : 악곡 도중에 박자표나 조표가 바뀔 때와 전주 또는 간주가 끝나는 부분에서 사용 |
|
 |
끝 세로줄 : 악곡이 완전히 끝날 때 사용 |
|
 |
 |
|
 |
갖춘마디 : 박자표대로 박자의 수가 갖추어진 마디이며 센내기로 시작한다. |
|
 |
못갖춘마디 : 박자표대로 작자의 수를 갖추지 못한 마디이며 여린내기로 시작한다. |
|
 |
 |
셈여림표
|
 |
셈여림표 : 음의 셈여림 정도를 변화시키는 표를 말한다. |
|
|
표 |
pp |
p |
mp |
mf |
f |
ff |
원말 |
pianissimo |
piano |
mezzopiano |
mezzoforte |
forte |
fortissimo |
발음 |
피아니시모 |
피아노 |
메조피아노 |
메조포르테 |
포르테 |
포르테시모 |
뜻 |
매우여리게 |
여리게 |
조금여리게 |
조금세게 |
세게 |
매우세게 | |
|
 |
셈여림을 변화시키는 표 |
|
|
① 점점 세게 : crese.(크레센도) 또는

② 점점 여리게 : decrese.(데크레센도) 또는 dim.(디미누엔도),

③ 그 음을 특히 세게 : sf, sfz, fz(스포르찬도) 또는 >.∨ .< (악센트)
④세게 곧 여리게 : fp(포르테 피아노) |
빠르기말
|
 |
빠르기말 : 악곡의 빠르기 정도를 나타내는 말 |
|
|
 |
|
|
빠르기표 : 악곡의 빠르기의 정도를 나타내는 표로 악곡 첫머리에 멜첼(J.N.Malzel)이 만든 메트로놈(Metronome)의 약자인 M.M.과 함께 ♩= 96으로 표시한다. |
|
 |
악곡 일부의 빠르기를 나타내는 말 |
|
|
rit.(리타르단도) : 점점 느리게
rall.(랄렌탄도) : 점점 느리게
accel.(아첼레란도) : 점점 빠르게
a tempo.(아 템포) : 본디 빠르기로 |
나타냄말
|
 |
악곡의 표현을 나타내는 말로 악곡의 머리에 쓰인다. |
|
|
원어 |
읽기 |
뜻 |
원어 |
읽기 |
뜻 |
Aanimato |
아니마토 |
생기 있게 |
Comodo |
코모도 |
쉽게 |
Amabile |
아마빌레 |
사랑스럽게 |
Dolce |
돌체 |
부드럽게 |
Appassionato |
아파시오나토 |
정열적으로 |
Espressivo |
에스프레시브 |
표정있게 |
Brillante |
브릴란테 |
화려하게 |
Grazioso |
그라지오소 |
우아하게 |
Cantabile |
칸타빌레 |
노래하듯이 |
Maestoso |
마에스토소 |
장엄하게 |
Con brio |
콘 브리오 |
활기있게 |
Marcato |
마르카토 |
똑똑하게 힘을주어 | |
나타냄표
|
 |
숨표( , ) : 가락의 도중에 잠깐 숨을 쉬라는 표 |
|
|
늘일표(
Fermata) : 음표나 쉼표 위에 있을 때에는 그 길이를 2~3배 길게 늘이는 표이고 겹세로줄 위에 있을 때에는 악곡의 마침표로 사용된다. |
|
 |
테누토( -, ten, Tenuto ) : 음표의 길이를 충분히 연주 |
|
 |
이음줄( slur ) : 높이다 다른 2개 이상의 음을 부드럽게 연주 연주 |
|
 |
붙임줄( tie ) : 높이가 같은 2개의 음을 합하여 한 음같이 연주 |
|
 |
스타카토( , staccato) : 음을 짧게 끊어서 연주하라는 표
 |
|
 |
줄임표 : 같은 가락이 반복될 때 악곡을 줄여서 기보하는 표



도돌이표 : 악곡의 한 부분을 두 번 되풀이할 때 사용한다.

D.C(다 카포) : 처음으로 돌아가서 겹세로줄 위의( )나 Fine에서 마치라는 표이다.
 |
|
|
D.S(달 세뇨) : ( )(세뇨)표로 돌아가서 겹세로줄 위의( )나 Fine에서 마치라는 표이다.
 |
&기악
악기의 분류
|

|
현악기 : 목제의 동체에 줄을 치고 활로 켜거나 손으로 퉁겨서 소리내는 악기.
①활로 켜는 악기: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더블베이스. |
|
|
 |
|
|
②손으로 퉁기는 악기: 하프, 기타. |
|
 |
관악기 : 나무나 금속의 관에 바람을 불어넣어 그 진동으로 소리를 내는 악기로 금관 악기와 목관 악기가 있다.
①금관 악기: 음색의 특징과 생김새에 따라 여러 가지가 있으며 힘찬 음색을 갖고 있다. |
|
|
 |
|
 |
②목관 악기: 리드(떨림판) 부분이 나무로 된 것을 목관 악기라 하며 차차 금속으로 바뀌어 졌다. 금관 악기에 비해 부드러운 음색을 갖고 있다. |
|
|
 |
|
 |
타악기 : 나무, 금속, 가죽통 등을 두드려 소리내는 악기이며 리듬 악기와 가락 악기로 나눈다. ① 가락 악기 : 실로폰(나무), 철금, 벨 ② 리듬 악기 : 심벌즈, 탬버린, 트라이앵글, 캐스터네츠, 큰북, 작은 북, 팀파니
|
|
 |
건반악기 : 건반에 의해서 소리를 내는 악기. 줄을 퉁겨서 소리를 내는 악기(피아노)와 바람으로 리드(떨림판)을 움직여 소리 내는 악기(오르간, 아코디언)가 있다. |
기악의 연주형태
|
 |
기악의 연주형태 |
|
 |
독주(solo) : 한 사람이 악기를 갖고 연주하며 보통 피아노 반주가 있다. 관현악 반주에 의한 것도 독주에속한다 |
|
 |
중주(Ensemble) :두 사람 이상이 각기 다른 악기로 함께 연주하는 것. |
|
|
① 3중주(Trio)
㉠ 현악 3중주 :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 피아노 3중주 : 바이올린, 첼로, 피아노
② 4중주(Quartet)
㉠ 현악 4중주 : 제 1 바이올린, 제 2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 피아노 4중주 :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피아노
③ 5중주(Ouintet)
㉠ 피아노 5중주 : 현악 4중주에 피아노가 하나 더 있다.
㉡ 목관 5중주 : 플루트, 오보에, 클라리넷, 바순, 호른(금관 악기임) |
|
|
합 주 : 여러 가지 악기로 연주하는 것을 합주라고 하며 합주의 형태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
|
|
① 관악 합주(브라드 밴드) : 목관 악기, 금관 악기, 타악기로 편성된 합주로 군악대·학교 밴드가 이에 속하며 행진곡 연주가 알맞다.
② 현악 합주(스트링 오케스트라) : 현악기로만 편성된 합주로 실내에서의 연주가 많다.
③ 관현악 합주(오케스트라) : 현악기, 관악기, 타악기로 편성된 가장 규모가 큰 형태이며 교향곡, 오페라, 서곡 등의 연주 형태로 때로는 피아노나 하프 등이 함께 연주되기도 한다. |
기악곡의 종류
|
 |
소나타 : 17~18세기에 완성된 기악곡으로 4개의 악장을 가진 기악 독주곡이다.
1악장 - 소나타 형식
2악장 - 가요 형식
3악장 - 겹세도막 형식
4악장 - 론도 형식 또는 소나타 형식 |
|
|
교향곡 : 보통 4개의 악장으로 된 소나타를 오케스트라로 연주하는 곡을 말하며, 기악곡 중 규모가 가장 크다. |
|
 |
협주곡 : 관현악과 독주 악기의 협연으로 3악장으로된 소나타를 연주한다. |
|
 |
행진곡 : 보통 겹세도막 형식으로 작곡되며, 2박자 계통(2/4, 4/4, 6/8)이 많다. |
|
|
춤곡 : 탱고(아르헨티나), 마즈르카.폴카(폴로네이즈), 왈츠(오스트리아), 미뉴에트.가보트(프랑스), 볼레로(에스파니아), 폴카(보헤미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