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국 BBC, '크리스마스의 기적' 흥남철수 재조명
출생부터 생이별까지…한국전쟁 피난민 사연 소개 송고시간 2019-12-24 16:13
흥남철수 1950년12월
2017년 7월 7일 서울 서초구 서초동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에서 개막하는
'라이프 사진전'은 6·25 전쟁 당시 흥남철수 작전을 담은 사진 등 미국 사진잡지 '라이프'의 사진 130여 점
과 영상을 선보였다. 2017.7.3 [제이콘 컴퍼니 제공=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현혜란 기자 = 1950년 한국전쟁 당시 그저 살아남기 위해 미국 선박을 타고 고향을 등져
야 했던 '흥남철수' 피난민의 애끊는 사연을 영국 공영 BBC 방송이 크리스마스를 하루 앞둔 24일 조명했다.
흥남철수는 중공군의 개입으로 미국 제10군단과 한국군 제1군단이 궁지에 몰리자 1950년 12월 15일부터
24일까지 열흘간 함경남도 흥남항에 선박 100여대를 보내 병력과 물자 등을 실어나르며 피난민을 대피시킨
작전이다.
흥남항을 가장 마지막으로 떠난 메러디스 빅토리호는 최대 60명이 탈 수 있게 만들어졌지만, 피난민과 군인
등 총 2만여명을 태우고 3일간 파도를 가르며 부산을 거쳐 경상남도 거제항에 도착했다.
메러디스 빅토리호 선장은 군수물자 25만t을 버리고 피난민 1만4천여명을 태웠다.
이 배에는 마실 물도, 식량도 없었지만 숨진 사람이 한 명도 없어 '크리스마스의 기적'으로도 불린다.
문재인 대통령의 부모도 이 배를 타고 남측으로 내려온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흥남철수작전 중 배에서 태어난 송양영, 이경필 씨
2018년 4월 6일 '6·25 전쟁 흥남철수작전 메러디스 빅토리호 승선원 환영식'에서 당시 메러디스 빅토리호
에서 태어난 손양영, 이경필(왼쪽)씨가 참석해 대화를 나누고 있는 장면이다.
이 배에서 일어난 가장 큰 기적은 탯줄을 이로 끊어야 할 정도로 열악한 환경에서 태어난 아이만 5명이었다
는 점이라고 BBC는 소개했다.
한국식 이름을 모르는 미군은 아이들이 태어난 순서대로 숫자를 매겨가며 '김치'라고 불렀다.
가장 먼저 세상의 빛을 봐 '김치 1'로 불렸던 손양영(69) 씨는 북한에 남아 있는 얼굴 한 번 보지 못한,
손 한 번 잡아보지 못한 두 형을 일평생 그리워하며 살고 있다고 한다.
당시 손씨의 아버지는 가족 모두가 배에 탈 수 없다고 판단하고 9살, 5살 난 두 아들을 삼촌에게 맡기고
만삭의 아내와 탑승했다.
두 아들에게 꼭 돌아오겠다고 약속했지만, 아버지와 어머니는 그 약속을 지키지 못한 채 세상을 떠났다.
손씨는 같은 엄마 배 속에서 태어난 형제가 이렇게 떨어져 완전히 다른 삶을 살고 있다는 데 깊은 상실감을
느끼고 있다며, 하루빨리 통일이 이뤄져 형들을 만나고 싶다며 눈물을 보였다.
메러디스 빅토리호의 막내 이경필(69) 씨는 메러디스 빅토리호에서 태어난 뒤 지금 까지 거제도에서 살고
있으며 수의사가 되어 가축병원 원장을 하고 있고 "흥남철수작전 기념공원"건립에 힘을 모으고 있다.
'김치 5'라는 이름이 처음에 마음에 들지 않았으나 이제는 명함에 새기고 다닐 정도로 애착을 갖게 됐다.
어머니의 출산을 도왔던 미군을 만나봤다는 이씨는 흥남철수 이야기를 후대에 알리는 역할을 하고 있으며,
언젠가는 거제항에 있는 선박에 기념비를 세울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17살에 엄마와 여동생의 손을 잡고 배에 올라탔던 한보배(86) 씨는 죽느냐, 사느냐의 갈림길에 서 있었다
고 그때를 회상했다. 배가 어디로 향하는지 알 수 없었지만, 배를 타지 않으면 목숨을 잃는다는 것만은 확신
했던 순간이었다.
한씨는 갑판에서 바라본 흥남항은 "불바다"였다고 묘사했다. "항구에 남아있던 사람들이 배에 타지 못했다는
사실이 마음을 미어지게 한다"는 그는 "전쟁은 절대 다시 일어나서는 안 된다"는 말을 반복했다.
서울=연합뉴스 현혜란 기자 송고시간 2019-12-24 16:13
위 기사중에 군수물자 25만톤을 버리고 라는 내용은 확 눈에 띄는 오보 기사로 보인다.
위 한씨의 증언처럼 불바다가 된 아래의 흥남부두 모습. 배를 못탄 피난민들은 어찌 됐을지.. 저 불바다를 피했
을지...말로는 다 표현 못할..마냥 안타까울 뿐이다. 역사의 뒤안길에는 보이고 싶지 않은 이면도 있는 것 같다.
흥남 철수시 피난민 승선으로 수송선에 적재할 자리가 없어 4백 톤의 폭약과 차량, 장비 등 5백 60만 톤의
장비가 유기되었으며, 승선이 끝난 후 해군 함대와 폭격기가 집중사격을 가하여 폭파시켰다.
남겨진 흥남부두의 장비와 탄약을 폭파하는 모습 (1950년12월)
위에 보이는 배는 USS Begor(APD-127)고속 수송선이다.
문재인대통령이 2017년6월 미국방문시 “메르디스 빅토리호에 오른 피난민 중에 제 부모님도 계셨다.
2년 후 저는 메르디스 빅토리호가 내려준 거제도에서 태어났다. 흥남철수작전의 성공이 없었다면
제 삶은 시작되지 못했을 것이고 오늘의 저도 없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영화 "국제시장"의 덕수(황정민)도 메러디스 빅토리호를 타고 흥남에서 부산으로 피난왔다.
거제시청에서 흥남철수작전 기념공원을 거제도 장승포에 설립할 계획을 추진 중인데 메러디스 빅토리호
는 폐선되어 없어져서 조형물로 복원하여 전시하고 미국에서 역사박물관으로 사용중인 레인 빅토리호는
거제시와 부산시에서 인수를 추진중이라고 하는데 지방자치단체간의 경쟁여부 그 귀추가 주목된다.
인수 추진중인 흥남철수 당시 활동한 수송선 레인 빅토리(Lane Victory)호 모습
흥남부두의 피난민들 1950년12월
흥남부두에서 후송하기 위해 대기중인 장비와 탄약들 1950년12월
메리더스 빅토리호 선상의 피난민들
부산항에 정박중인 "기적의 배"라 불리는 메리더스 빅토리호 (SS Meredith Victory)모습, 1950년10월
2019.12.24 영국 BBC방송 기사 원문과 한글 반역본
The US Ship of Miracles that saved 14,000 North Korean refugees - Laura Bicker / BBC News
BBC 서울 특파원 로라 비커 기자는 69년 전의 흥남철수작전을 기사로 자세히 소개했다.
사진은 흥남에서 거제도로 이동하는 배 안에서 태어난 일명 '김치5' 이경필씨의 어릴 때 모습과
아래 흥남철수 취재영상 모습
Almost 70 years ago, a US merchant marine ship picked up more than 14,000 refugees in a single trip from
a North Korean port. This is the story of that journey, and some of those on board.
It was Christmas Day in 1950, and this was no ordinary birth.
The mother was one of 14,000 North Korean refugees crammed into a US merchant marine ship, fleeing the
advancing guns of the Chinese army.
There was barely enough room on board to stand - and there wasn't much medical equipment, either.
"The midwife had to use her teeth to cut my umbilical cord," Lee Gyong-pil tells me some 69 years on.
"People said the fact that I didn't die and was born was a Christmas miracle."
Mr Lee was the fifth baby born on the SS Meredith Victory that winter, during some of the darkest days of
the Korean War.
The Meredith Victory's three-day voyage saved thousands of lives, including the parents of the current
President of South Korea, Moon Jae-in.
It also earned the cargo freighter a nickname - the Ship of Miracles.
In December 1950, some 100,000 UN troops were trapped in the North Korean port of Hungnam. They had
been overwhelmed by Chinese forces in what became known as the Battle of Chosin, and were lucky to
make it out of the mountains alive.
They had faced an army almost four times their size. But now there was only one way to get to safety.
By sea. And they had very little time to do it: the Chinese were closing in.
But the troops were not alone. Thousands of North Korean refugees had also fled to the freezing beach.
Many had walked miles through deep snow with young children in the hope of being saved.
They were cold, exhausted and desperate.
Around 100 US ships, including the SS Meredith Victory, had sailed to Hungnam to pick up the troops,
supplies and ammunition and take them to the South Korean ports of Busan and Geoje Island.
Rescuing refugees had never been part of the plan.
Colonel Edward Forney of the US Marine Corps worked with others to try to make it part of the mission.
His grandson Ned lives in Seoul.
"If you want to win a war - your job is not to rescue civilians," Ned, a marine veteran, tells me. "It's a nice
thing to do. But the military does come first."
"Somehow it just happened," he explains. "These guys there at Hungnam listened to their better angels
and did what I like to say was the right thing, for the right reasons, in a very difficult situation."
It took several days to get everyone aboard the ships. The refugees huddled together on the shoreline,
waiting and hoping for their turn.
Among them was a then 17-year-old Han Bo-bae with her mother.
"It was a live or die situation," she says. "We didn't think of anything else other than we need to get on
this ship or we will die.
"We didn't know where it was heading, but it didn't matter. We only knew that we might live if we get on
the ship." But leaving her hometown was difficult.
"Looking at the beach moving away from me, my young heart was saddened. I am leaving now, I thought."
Conditions on board each of the ships were, to say the least, difficult. Refugees were crammed between
vehicles, boxes of ammunition and supplies.
There was no food or water. The biggest ship, the SS Meredith Victory, was designed to carry 60 crew at
the most. Now it had 14,000 refugees - as well as the cargo.
Han Bo-bae was exposed on the deck of one small ship. Her mother managed to bring a blanket, but very
little else.
"My mum, my younger sister and I were bundled up together. So many people were on the ship. We were
all jammed. "The waves would shower over me, and my mum was worried we were going to drown and
become sea spirits."
No one died aboard the ships. All 200,000 who made that perilous journey to South Korea - around half of
them refugees, half of them troops - reached land alive.
It was the largest sea-borne, military evacuation of civilians under combat conditions in American history.
And, as the SS Meredith Victory sailed into Geoje island harbour, there were five new lives on board.
The US crewmen didn't know any Korean names, so they called each of the babies Kimchi. Mr Lee was
Kimchi number 5.
"I didn't really like it at first. Because Kimchi 5? I have my own name. But when I thought of it deeply, I didn't
mind it and now I thank the person who named me."
Mr Lee still lives on the island of Geoje where the Meredith Victory docked nearly 70 years. He became a
vet and still has a business card with the name Kimchi 5 on it.
He helps keep the story of the Hungnam evacuation alive, and has met some of the former crew members
of the Meredith Victory - including the one who helped his mother give birth.
He hopes one day to create a memorial to the ships in Geoje harbour.
No one knows what happened to Kimchi numbers 2, 3 or 4.
But the parents of the first baby born on board, Kimchi 1, better known as Sohn Yang-young, made a heart
breaking decision at Hungnam that would haunt them all their lives.
Most of the refugees thought they'd only be gone a few days - perhaps a few weeks at the most. The
plan was always to return. But none of them did.
Sohn Yang-young's parents had two other children at that time. Taeyoung, aged 9, and Youngok, aged 5.
It was bitterly cold. The port was in chaos.
Mr Sohn's father looked at his heavily pregnant wife and knew she had to get on board. He decided to
leave his two other children with their uncle and reassured them that he'd be back in North Korea soon.
They never saw one another again. Even when the fighting stopped and an armistice was signed, the
peninsula was divided. The two Koreas are officially still at war.
For years, Mr Sohn's mother begged her husband to go back for their children, and yet she knew she
was asking the impossible.
Every morning she would take a bowl of sacred water and rice and pray in front of them as an offering for
her lost children. "I am living proof of the sorrow and pain a divided family carries," says Mr Sohn.
"My family was torn apart. I have my own kids and grandchildren now and I check every day when I return
home from work if my kids are ok.
"I am still at a loss to understand how one baby had the luck of staying with his parents - while the other
babies who came out of the exact same womb were separated from theirs and went through so much.
"They must have waited in hope their mum and dad would return."
Mr Sohn has applied through the International Red Cross to see his brother and sister as part of the rare
meetings of separated families allowed by North Korea.
He cannot hold back tears as he tells us that he wishes for the peninsula to be unified in the hope he can
see them again. "As long as they are still alive, I will find them," he says.
He shows us a picture of him as a baby with a handwritten note attached. "Keep good care of this photo
until you meet your big brother Taeyoung," the note from his father reads.
There are thought to be around a million descendents of the Hungnam evacuation living in South Korea
and around the world. It is a story of survival. But there is deep sorrow too for those left behind.
As the Americans sailed away from Hungnam for the last time on Christmas Eve, Rear Admiral James Doyle
looked through his binoculars.
"He saw at least as many refugees on the shore as the US had rescued," says Ned Forney, who is writing
a book to document the evacuation.
But the US said it had no choice. They had to blow up the port to ensure the Chinese army would not take
any remaining supplies or assets.
Han Bo-bae watched from the deck of her ship and described the port as a "sea of fire". Not long after the
explosions, the Chinese army infiltrated the town.
"So many were still waiting at the port. So many couldn't make it to the ship," she tells us.
"There were still many waiting and they must have perished. It hurts my heart, the artilleries, the bombs.
War shouldn't happen. War shouldn't happen."
Mr Sohn still hopes his family is alive. After all, he himself came from the Ship of Miracles. Now he wishes
for just one more, and has this message for his brother and sister.
"Our parents missed you every single day they were alive. Even though they're now in heaven I believe
they're still looking for you.
"I do hope our dream will come true in the very near future. I do hope." (끝)
한글 번역본
14,000 명의 북한 난민을 구한 미국 기적의 배-Laura Bicker / BBC News
거의 70 년 전, 미국 상선 한 선박이 북한 항구에서 한 번의 여행으로 14,000 명 이상의 난민을 태 웠습니다.
이것은 그 여정의 이야기와 기내의 일부 이야기입니다.
1950 년 크리스마스였으며 평범한 탄생은 아니 었습니다.
어머니는 14,000 명의 북한 난민 중 한 명으로 미국 상선에 배를 타고 중국 군대의 전진을 피해 도망 쳤다.
기내에 충분한 공간이 없었으며 의료 장비도 많지 않았습니다.
"조산사는 제 탯줄을 자르기 위해 이빨을 사용해야했습니다."이경필이 69 년 전에 나에게 말했다. "사람들은
내가 죽지 않고 태어났다는 사실은 크리스마스의 기적이라고 말했다."
이씨는 그해 겨울, 한국 전쟁의 가장 어두운시기에 SS 메러디스 승리에서 태어난 다섯 번째 아기였습니다.
메러디스 승리의 3 일간의 항해는 현 한국 대통령 문재인의 부모를 포함하여 수천명의 생명을 구했습니다.
또한 화물선의 별명을 "기적의 배" 로 명명 받았습니다.
1950 년 12 월, 10 만여 명의 유엔군이 북한의 흥남 항구에 갇혔다. 그들은 조선의 전투로 알려진 중국
군대에 압도 당했으며, 산에서 살아 남아서 운이 좋았습니다.
그들은 거의 4 배나 큰 군대에 직면했다. 그러나 이제 안전을 얻는 한 가지 방법이있었습니다. 바다로. 그리고
그들은 할 시간이 거의 없었습니다. 중국인들이 문을 닫고있 었습니다.
그러나 군대는 혼자가 아니었다. 수천 명의 북한 난민들도 얼어 붙은 해변으로 도망 쳤다. 많은 사람들이 구원
받기를 희망하면서 어린 아이들과 함께 깊은 눈길을 걸었습니다.
그들은 차갑고 지치고 절망적이었습니다.
SS 메러디스 빅토리호를 포함한 약 100 대의 미국 선박이 흥남으로 항해하여 병력과 보급품, 탄약을 싣고
부산과 거제 섬의 한국 항구로 가져 갔다.
난민 구출은 계획의 일부가 아니었다.
미 해병대의 에드워드 포니 대령은 다른 사람들과 함께 미션의 일부가되도록 노력했습니다. 그의 손자 Ned는
서울에 산다.
해병 베테랑 인 네드 (Ned)는“전쟁에서 이기고 싶다면 민간인을 구출하는 것이 아니다. "좋은 일이다. 그러나
군대가 먼저 온다."
"어떻게 됐는지"그는 설명했다. "흥남에있는이 사람들은 그들의 더 좋은 천사의 말을 듣고, 내가 말하고 싶은
것을 옳은 이유 때문에, 매우 어려운 상황에서 옳은 일이었습니다."
모든 사람들이 배에 탑승하는 데 며칠이 걸렸습니다. 난민들은 해안선을 따라 모여서 자신의 차례를 기다렸다.
그 중에는 17 살인 한보배가 어머니와 함께있었습니다.
그녀는“이것은 라이브 또는 다이 상황이었다. "우리는이 배를 타야하는 것 외에는 아무것도 생각하지 않았다.
그렇지 않으면 죽을 것이다.
"우리는 그것이 어디로 향하고 있는지는 몰랐지만 문제가되지 않았다. 우리는 배를 타면 살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그러나 그녀의 고향을 떠나는 것은 어려웠다.
"해변에서 저를 떠나는 해변을 바라 보면서 어린 마음이 슬퍼졌습니다. 지금 떠나고 있습니다."
말할 것도없이, 각 선박의 선상 조건은 어려웠다. 난민들은 차량, 탄약통, 보급품 사이에 끼어있었습니다.
음식이나 물이 없었습니다. 가장 큰 선박 인 SS 메러디스 빅토리호는 최대 60 명의 승무원을 수송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이제 14,000 명의 난민과 화물이있었습니다.
한보배는 작은 배 한 척의 갑판에 노출되었다. 그녀의 어머니는 담요를 가져올 수 있었지만 다른 것은 거의
없었습니다.
"엄마, 여동생과 함께 묶여있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배에 있었습니다. 우리는 모두 갇혔습니다.
"파도는 저를 샤워 할 것이고, 우리 엄마는 우리가 익사하여 바다의 영혼이 될까봐 걱정했습니다."
배에서 아무도 죽지 않았습니다. 한국으로의 위험한 여행을 한 2만 명은 난민이 절반, 군인이 절반
모두가 살아있는 땅에 도달했습니다.
그것은 미국 역사에서 전투 조건 하에서 민간인의 가장 큰 해상, 군사 대피였습니다.
그리고 SS 메러디스 빅토리호가 거제 섬 항구로 항해하면서 5 명의 새로운 삶이 생겼습니다.
미국 승무원은 한국 이름을 몰랐기 때문에 각 아기를 김치라고 불렀습니다. 이경필씨는 김치 5 번이었습니다.
"처음에는 마음에 들지 않았습니다. 김치 5 때문에 나만의 이름이 있습니다.하지만 깊이 생각했을 때 마음에
들지 않았고 지금은 저를 지명 한 사람에게 감사합니다."
이씨는 여전히 메러디스 빅토리호가 거의 70 년전에 도킹 한 거제 섬에 살고 있습니다. 그는 수의사가 되었지만
여전히 김치 5라는 명함이 붙어 있습니다.
그는 흥남 대피에 관한 이야기를 살아있게 해주 며, 어머니의 출산을 도운 메러디스 승리의 전 승무원을 만났다.
그는 언젠가 거제 항구에있는 배들에게 기념관을 만들길 희망한다.
김치 2, 3, 4 번에 무슨 일이 있었는지 아무도 모른다.
그러나 손양영으로 잘 알려진 첫 번째 아기, 김치 1의 부모는 가슴 앓이를 만들었습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