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트랜지스터의 개요
트랜지스터는 기본적으로는 전류를 증폭할 수 있는 부품이다.
아날로그 회로에서는 매우 많은 종류의 트랜지스터가 사용되지만, 디지털 회로에서는 그다지 많은종류는 사용
하지 않는다. 디지털 회로에서는 ON 아니면 OFF의 2치신호를 취급하기 때문에 트랜지스터의 증폭 특성에 대한 차이는 별로 문제가 되지 않는다. 회로 기능은 대부분이 IC로 처리하는경우가 많다. 디지털 회로에서 트랜지스
터를 사용하는 경우는 릴레이라고 하는 전자석 스위치를동작시킬 때 (릴레이는 구동전류를 많이 필요로 하기
때문에 IC 만 으로는 감당하기 어려운 경우가있다)나, 발광 다이오드를 제어하는 경우 등이다.
회로 기호는 PNP 타입은 , NPN 타입은 으로 표시한다.
트랜지스터는 반도체의 조합에 따라 크게 PNP 타입과 NPN 타입이 있다.
그리고, 트랜지스터는 용도와 상기의 타입에 따라 다음과 같은 명칭이 붙여진다.
2SA××× PNP 타입의 고주파용
2SB××× PNP 타입의 저주파용
2SC××× NPN 타입의 고주파용
2SD××× NPN 타입의 저주파용
PNP 타입과 NPN 타입에서는 전류의 방향이 다르다.
마이너스 전압측을 접지로, 플러스 전압측을 전원으로 하는 회로의 경우, NPN 타입 쪽이 사용하기쉽다.
2. 트랜지스터의 외관
트랜지스터의 외관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여기서는가장 일반적인 두 종류만 실었다.
사진에서 좌측의 트랜지스터는 2SC1815이라는 것으로, 디지털 회로에서 흔히 사용한다. 여러 용도에 사용할
수 있으므로 몇 개씩 낱개로 구입하기보다는 200개 가 들어 있는 팩으로 구입하면 경제적이다. 사진에서 우측
의 트랜지스터는 2SD880으로, 큰 전류를 취급하려는 경우에 사용한다.
전기적 특성은 각각 아래와 같다.
항 목 2SC1815 2SD880
VCEO(V) 50 60
IC(mA) 150 3A
PC(mW) 400 30W
hFE 70∼700 60∼300
fT(MHz) 80 3
VCEO : 베이스(B)를 오픈했을 때에 컬렉터(C)와 이미터(E)에 걸리는 최대전압.(단순히 VCE로 표시하는 경우도 있다)
IC : 최대 컬렉터(C) 전류.
PC : 주위온도(Ta)=25℃에서 연속해서 소비시킬 수 있는 최대 컬렉터(C) 손실(방열기 없음)
hFE : 이미터(E) 접지에서의 직류에 대한 전류증폭률(IC÷IB).
fT : 주파수를 높여가면 증폭 능력이 저하하는데, 베이스 전류(IB)와 컬렉터 전류(IC)가 같아지는주파수. [직
류증폭을 할 수 없게 되는 주파수(트랜지션 주파수)]
3. 트랜지스터의 리드
트랜지스터의 종류에 따라 리드의 내용이 다르기때문에 매뉴얼 등을 참조하여 확인할 필요가 있다.
2SC1815의 경우
품명이 인쇄되어 있는 평평한 면을 바라 보았을때
오른쪽 리드가 베이스
중앙의 리드가 컬렉터
왼쪽의 리드가 이미터 이다
2SD880의 경우
품명이 인쇄되어 있는평평한 면을 바라 보았을 때
오른쪽 리드가 이미터
중앙의 리드가 컬렉터
왼쪽의 리드가 베이스이며, 2SC1815와는 반대이다.
1. 다이오드의 개요
다이오드란 전류를 한쪽 방향으로만 흘리는 반도체 부품이다. 반도체란 원래 이러한 성질을 가지고있기때문에
반도체라 부르는 것이다. 트랜지스터도 반도체이지만, 다이오드는 특히 이와 같은 한쪽방향으로만 전류가 흐르
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반도체의 재료는 실리콘(규소)이 많지만, 그 외에 게르마늄, 셀렌 등이 있다.
다이오드의 용도는 전원장치에서 교류전류를 직류전류로 바꾸는 정류기로서의 용도, 라디오의 고주파에서 신호
를 꺼내는 검파용, 전류의 ON/OFF를 제어하는 스위칭 용도 등등, 매우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회로기호는
가 사용된다.
기호의 의미는 (애노드) (캐소드)로 애노드측에서 캐소드측으로는 전류가 흐른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다이오드 중에는 단지 순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는 성질을 이용하는 것 이외에, 다음과 같은 용도의 것이 흔히
사용된다.
정전압 다이오드(제너 다이오드): 회로 기호는 역방향으로 전압을 가했을 경우에 어떤 전압에서 안정하는 성질
을 이용하여, 일정한 전압을 얻기위해 사용한다.
발광 다이오드(LED): 회로 기호는 전류를 순방향으로 흘렸을 때에 발광하는 다이오드이다.
가변용량 다이오드(배리캡 또는 버랙터:varactor): 회로 기호는 전압을 역방향으로 가했을 경우에 다이오드가
가지고 있는 콘덴서 용량(접합용량)이 변화하는 것을이용하여, 전압의 변화에 따라 발진주파수를 변화시키는
등의 용도에 사용한다. 역방향의 전압을 높이면 접합용량은 작아진다.
위의 그래프는 다이오드의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순방향으로 전압을 가했을 경우, 약간의 전압에서도 순방향의 전류는 쉽게 흐른다는 것을 나타내고있다. 순방
향으로 흘릴 수 있는 전류는 다이오드에 따라 규정되어 있다. 그리고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다이오드 자체
의 저항성분에 의해 강하하는 전압은 0.6∼1V (VF) 정도이다 (실리콘 다이오드의 경우, 대략 0.6V).여러 개의
다이오드를 직렬로 접속하여 사용하는 회로에서는 이 전압강하도고려할 필요가 있다. 정류용으로 사용하는 경
우, 순방향의 전류 허용값은 중요한 체크 포인트이다.
역방향으로 전압을 가했을 경우, 역방향 전류는 흐르기 어렵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역방향으로 가할 수 있는 전압은 다이오드의 종류에 따라 여러 가지가 있으므로 용도에 따라 선택한다. 그리
고 역방향 전류는 매우 작어 수μA에서 수 mA이며, 다이오드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정류용으로 사용하는 경
우, 역방향의 전압 허용값은 중요한 체크 포인트이다.
2. 정류용, 스위칭용, 전압 안정용 다이오드
다이오드에는 어느 한쪽의 리드선에 띠 모양의 마크가 붙어 있다. 이 표시가 캐소드측을 나타 내고있다. 사진
의 경우, 우측에서 좌측으로는 전류가 흐르고, 좌측에서 우측으로는 전류가 흐르지 않게된다.
사진에서 맨 위에 있는 것과 두 번째의 것은 전류의 정류용이다.맨 위의 것이 6A의 전류가 흘릴 수있는 것이
고, 그 밑에 있는 것이 1A의 전류를 흘릴 수 있는 것이다.이 전류값은 최대정격이므로, 실제 사용할때에는 최
대라도 70% 정도 사용하는 편이 무난 하다.
세 번째의 적색을 띠고 있는 것은 1S1588이라 부르는 스위칭용 다이오드이다. 최대전류는120mA이지만, ON/OFF의 전환을 고속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스위칭용으로 사용되며,디지털 회로 에서 흔히 사용한다. 역방향 전압의 최대값은 30V로 되어 있다.
맨 아래에 있는 것은 제너 다이오드로 6V의 것이다. 역방향으로 전압을 가했을 경우, 약 6V에서 일정 하게 되
며, 입력전압을 더욱 높이려고 하면 다이오드를 흐르는 전류가 증가하고, 전압은 변하지않는다(약간 변한다).
그러나 흘릴 수 있는 전류는 30mA 정도에서 파괴되므로 너무 흐르지 않도록전류의 보호를 생각하지 않으면 안
된다.
전원의 안정화에는 통상 3단자 레귤레이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 다이오드의 용도는 순간적인 과전압(너무 높
지 않은 경우)으로부터 회로를 보호하는 용도 등에 사용한다.3단자 레귤레이터는 내부에서 제너 다이오드를 사
용하고 있다.
3. 다이오드 브리지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바꾸기 위해 정류용다이오드를 사용한다. 하나의 다이오드에서는반파정류(플러스와
마이너스가 교대로 변화하는 전압의 플러스측 또는 마이너스측 중에서 어느 한쪽만 사용한다)밖에 할 수 없지
만, 다이오드를 4개 조합하면 전파정류를 할 수 있다. 4개를 조합한 것이 다이오드 브리지(diode bridge)이
다.
좌측의 사진은 다이오드 브리지의 예이다.우측에 있는 것은 1A의 다이오드 브리지로,직경이 10mm, 높이가 7mm
의 원주형으로되어 있다. 사진의 좌측에 있는 것은 4A의다이오드 브리지로, 평판 모양을 하고 있다.폭 19mm,
높이 16mm, 두께 6mm이다.
우측의 사진은 대전력용 다이오드 브리지이다. 전류용량은 15A까지 흘릴 수 있다.또, 역전압 내압도 400V이다.
중심에 나사를 통과시키는 구멍이 뚫어져있으며, 이 정도의 전류용량이라면 방열을하기 위해 금속판에 나사로
고정할 필요가있다. 크기는 1변이 26mm, 모듈 부분의높이가 10mm이다.
4.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ed Diode)
발광 다이오드는 여러 종류가 있으므로 용도에 맞추어 선택할 수 있다.주로 적색, 녹색이 많지만,청색을 발광
하는 LED도 있다.
위에 나타낸 사진에서 맨 우측에 있는 LED는 하나의 LED에 적색과 녹색의 것이 함께 들어 있는것이다. 리드(다
리)가 3개 나와 있는데, 중앙에 있는 리드가 공통단자이고, 한쪽이 적색용, 다른한쪽이 녹색용이다. 제각기 점
등시킬 수도 있고, 양쪽을 동시에 켜면 오렌지색으로 된다.
발광 다이오드의 극성의 확인 방법은 신품의 경우에는 리드선이 긴 쪽이 애노드, 짧은 쪽이 캐소드이다. 극성
이 모르는 경우에는 1.5V의 전지를 접속하여 확인하거나, 테스터를 저항 측정 모드로해서 확인한다. 테스터로
확인하는 경우에는 저저항 측정 레인지에서 적색과 흑색의 테스터 봉을LED가 발광하도록 다이오드의 리드에 각각 접속한다. 발광하지 않을 경우에는 테스터 봉을 반대로접속한다. 발광하고 있는 다이오드에 접속하고 있는
흑색의 테스터 봉쪽이 애노드이다. 테스터에있어서 저항 측정 모드의 경우, 흑색 쪽에 플러스 전압이 나오고
있다.
발광 다이오드의 특이한 사용법으로 정전압을얻기 위해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발광 다이오드는 순방향의 전압강하(VF)가 거의 2V로 생각보다 일정하게 유지하고 있다.
1. 코일의 개요
코일이란 동선과 같은 선재(線材)를 나선 모양으로 감은 것이다. 회로기호는 으로 표시한다.
또, 코일의 성질 정도를 나타내는 단위로 헨리(Henry:H)가 사용된다. 선재를 감으면 감을수록 코일의성질이 강
해지며 헨리의 값도 커진다. 코일은 내부에 아무것도 넣지 않은 공심으로 하는 것보다 철심에 감거나 코어라
부르는 철분말을 응고시킨 것에 감는 편이 보다 큰 헨리값이 얻어진다. 통상 전기회로에서 사용하는 코일은 마
이크로 헨리(μH)부터 헨리(H)까지 폭넓게 사용된다.
코일을 인턱터(Inductor) 또는 인덕턴스(Inductance)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엄격히 말해서, 인덕턴스라고 하
는 것은 코일 성분의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며, 부품 그 자체를 나타내는 말이 아니다. 콘덴서의경우는 커패시
턴스(Capacitance), 저항의 경우는 레시스턴스(Resistance)라는 것이 각각 성질의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코일에 교류전류가 흐른 경우, 코일에 발생하는 자속이 변화한다. 그 코일에 다른 코일을 가까이 했을경우, 상
호유도작용(Mutual Induction)에 의해, 접근시킨 코일에 교류전압이 발생한다. 이 상호유도작용의 정도를 상
호 인덕턴스(단위는 헨리:H)로 표시한다.
코일이 하나만 있는 경우에도 자신이 발생하는 자속의 변화가 자신에게 영향을 준다. 이것을 자기유도작용이라
고 하며, 그 정도를 자기 인덕턴스(Self Inductance)로 나타낸다.
헨리의 정의는 어떤 코일에 매초 1A의 비율(1A/s)로 전류가 변화할 때, 다른 쪽의 코일에 1V의 기전력을 유도
하는 두 코일간의 상호 인덕턴스를 1헨리(H)로 한다고 되어 있다.
자기 인덕턴스의 경우는 전류의 변화율이 1A/s일 때 1V의 기전력을 발생하는 경우의 자기 인덕턴스를1H로 한다
고 되어 있다.
2. 코일의 성질
선재를 나선 모양으로 감으면 원래의 선재가 지닌 특성과는 전혀 다른 여러 가지 특성이 나온다.
여러 특성 가운데서 몇가지 주요 특성에 대해 그 개요를 쉽게 설명하기로 한다.
전류의 변화를 안정시키려고 하는 성질이 있다
전류가 흐를려고 하면 코일은 전류를 흘리지 않으려고 하며, 전류가 감소하면 계속 흘릴려고 하는 성질
이다. 이것을 "렌츠의 법칙"이라 부르는데, 전자유도작용에 의해 회로에 발생하는 유도전류는 항상 유도
작용을 일으키는 자속의 변화를 방해하는 방향으로 흐른다는 것이다.
이 성질을 이용하여 교류로부터 직류로 변환하는 전원의 평활회로에 사용된다.
교류를 정류기에 의해 직류로 변환한 경우, 그대로는 맥류(리플:Ripp le)라고 하여 교류성분이 많은 직류이며
완전한 직류가 아니다.
플러스의 직류로 정류한 경우, 마이너스 전압성분은 없어 지지만,0V와 플러스 전압을 왕래하고 있다.
평활회로는 콘덴서와 코일을 조합한 회로를 사용하면 코일이 전류의 변화를 저지 하려는 작용을하고, 콘덴서
가 입력 전압이 0V로 되어도 축적한전기를 그때 토출하기 때문에 안정한 직류를 얻을 수 있다.간단한 평활회로
에서는 코일 대신에 저항기를 사용하여, 콘덴서의 평활 기능만 이용하는 경우도 있다.
상호유도작용이 있다
이것은 앞에서도 언급했지만, 두 코일을 가까이 하면 한쪽 코일의 전력을 다른쪽 코일에 전달할 수 있다는 것
이다.
이 성질을 이용한 것이 트랜스이다. 전력을 공급하는 쪽의 코일(입력)을 1차측, 전력을 꺼내는 쪽(출력)을 2차
측이라고 한다. 1차측 권수와 2차측 권수의비율에 따라 2차측의 전압이 변화한다.
전원트랜스 등은 2차측에서 권선의 도중에 선을 내어 ( tap 이라고 한다 ) 복수의 전압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 많다.
전자석의 성질이 있다
여러분이 잘 알고 있듯이, 전류가 흐르면 철이나 니켈을 흡착하는 성질이다.
이 성질을 이용한 것으로 계전기(릴레이)가 있다. 전류가 흐를 때에 철판을 끌어당겨철판에 부착된 스위치를
닫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차임벨도 전자석의 성질을 이용한 것이다.
공진하는 성질이 있다
코일과 콘덴서를 조합하면 어떤 주파수의 교류전류가 흐르지 않거나, 쉽게 흐르기도 한다. 라디오의방송국을
선택하는 튜너는 이 성질을 이용하여 특정한 주파수만을 선택하고 있는 것이다.
공진(共振)에 대하여 설명하기 시작하면 점점 깊은 부분까지 빠져들기 때문에 더 자세하게 알고 싶은분은 전문
서를 보기 바란다.
3. 각종 코일의 모양
사진은 소형 코일 부품의 예이다. 맨 좌측에 있는 것은 소북 모양의코어에 가느다란 동선을 감은 것으로, 100
μH의 것이다. 고주파의공진,고주파의 저지 등에사용한다
샘플로 구입한 것의 크기는 직경이약 4mm, 높이가 약 7mm였다.
저항기와 마찬가지로 컬러코드로값을 표시하고 있는 것도 있다.
종류는 1μH 정도부터 수백 μH까지 여러 가지가 있다.
1μH, 2.2μH, 3.3μH, 3.9μH,4.7μH, 5.6μH, 6.8μH, 8.2μH,10μH,15μH, 18μH, 22μH, 27μH, 33μH, 39μH, 47μH, 56μH, 68μH, 82μH, 100μH 등. 좌측에서 두 번째의 것은 봉 모양의 코어에 가는 동선을 감은 것으로, 용도는 앞서 언급한 것과 같다.
샘플로 구입한 코일의 값은 470μH였으며, 코어의 직경은 4mm, 높이는 10mm, 코일의 직경은 8mm였다.
우측에 있는 2개는 고주파용의 트랜스이다. 트랜지스터 라디오 등의 발진용, 중간주파수(455KHz)의 동조등에
사용된다.
고주파이므로 다른 회로로부터 자기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거나, 또는 주변 부품에 영향을 주지않도록
하기 위해 금속 케이스(차폐상자 또는 실드케이스라고 한다)에 수납되어 있다. 이 케이스는 반드시어스에 연결
하여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것은 동조용, 발진용이므로 인덕턴스값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4. 인덕턴스값의 조정
코일 중심의 코어부는 나사 모양으로되어 있어, 드라이버 등으로 돌리면코어가 코일에 들어가거나, 나오기도
한다. 따라서 코어의 상하 움직임에따라 코일의 인덕턴스값이 변화한다.
코일의 권수를 바꾸어도 되지만, 일일 이 그렇게는 할 수 없는 일이다.
FM 라디오의 튜너부 등은 87.5MHz∼108MHz 부근의 고주파를 취급 하기 때문에 코어에 감으면 인덕턴스 값이 너무 커지므로 공심 코일이 사용된다.
이 경우의 조정은 코일의 권선 간격을 변화시켜 조절한다. FM 라디오 등을 분해하여 보면 코일이모두 한결같
이 일률적으로 되어 있지 않고, 코일의 간격이나 리드의 형태가 제각기 멋대로 되어있는 것을 볼 수 있을 것이
다.
1. 콘덴서의 개요
콘덴서란 전기를 축적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전기를 축적하는 기능 이외에직류전류
를 차단하고 교류전류를 통과시키려는 목적에도 사용된다. 회로도의 기호는 으로 표시한다.
콘덴서는 기본적으로는 2장의 전극판을 대향시킨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에 직류전압을 걸면, 각 전극에 전하(電荷)라고 하는 전기가 축적되며, 축적하고 있는 도중에는전류가 흐
른다. 축적된 상태에서는 전류는 흐르지 않게 된다. 10μF 정도의 전해콘덴서에 아날로그 미터식 테스터를 저
항 측정 모드하고 접속하면 순간 전류가 흘러 테스터의 바늘이 움직이는 것을 알수 있다. 그러나 바로 0으로
되고 만다. 테스터의 접속 방법(콘덴서의 리드에 접속하는 테스터의 측정봉)을 반대로 하면 역시 순간 전류가
흐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직류전압이 콘덴서에 가해진 경우, 순간적으로 전류가 흐르지만 후에는 흐르지 않기 때문에 직류를
통과시키지 않으려는(직류 커트) 용도에도 사용된다. 그러나, 교류의 경우에는 앞서 언급한 테스터의 측정봉
을 항상 교대로 바꾸어 접속하는 것과 같으므로 그 때마다 전류가 흐르게 되어,교류전류는 흐르는 것이다.
두 극판의 전극간에 절연체(유전체라고 한다)를 넣어(절연체를 전극으로 삽입한다) 콘덴서를 만드는데이 재질
에 따라 여러 종류의 콘덴서가 있다.
아무것도 삽입하지 않고 공기를 유전체로 하는 콘덴서도 있다.
콘덴서의 용량을 나타내는 단위는 패러드(farad: F)가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콘덴서에 축적되는 전하용량은 매
우 작기 때문에, μF(마이크로 패러드: 10-6F)나 pF(피코 패러드: 10-12F)의 단위가 사용된다.
최근에는 슈퍼 커패시터라는 명칭으로 패러드 단위의 용량을 가진 콘덴서도 등장했다.
콘덴서의 용량 표시에 3자리의 숫자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부품 메이커에 따라 용량을 3자리의 숫자로 표시
하든가, 그대로 표시하기도 한다.
3자리 숫자로 나타내는 경우에는 앞의 2자리 숫자가 용량의 제1숫자와 제2숫자이고, 3자리째가 승수가된다. 표
시의 단위는 pF(피코 패러드)로 되어 있다.
예를 들면 103이면 10×103=10,000pF=0.01μF로 된다.
224는 22×104=220,000pF=0.22μF이다.
100pF 이하의 콘덴서는 용량을 그대로 표시하고 있다. 즉, 47은 47pF를 의미한다.
그러면, 대표적인 콘덴서를 소개하기로 한다
2. 알루미늄 전해콘덴서(전해콘덴서, 케미콘)
단순히, 전해콘덴서 또는 케미콘(chemical condenser)이라고도 부른다.
이 콘덴서는 유전체로 얇은 산화막을 사용하고, 전극으로는 알루미늄을 사용하고 있다. 유전체를 매우
얇게 할 수 있으므로 콘덴서의 체적에 비해 큰 용량을 얻을 수 있다.
특징은 극성(플러스 전극과 마이너스 전극이 정해져 있다)이 있다는 점이다. 일반적으로 콘덴서 자체에
마이너스측 리드를 표시하는 마크가 붙어 있다. 또, 가할 수 있는 전압, 용량(전기를 축적할 수 있는 양)
도 표시되어 있다. 극성을 잘못 접속하거나, 전압이 너무 높으면 콘덴서가 파열(펑하는 소리가 나며, 매
우 위험)되고 만다. 절대로 실수해서는 안된다(통상, 회로도에도 + 극성을 표시한다).
이 콘덴서는 1μF부터 수천μF, 수만μF라는 식으로 비교적 큰 용량이 얻어지며, 주로 전원의 평활회로,
저주파 바이패스(저주파 성분을 어스 등에 패스시켜 회로 동작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다) 등에 사용된다.
단, 코일 성분이 많아 고주파에는 적합하지 않다(이것을 주파수 특성이 나쁘다고 말한다).
이 사진은 용량, 전압이 다른전해콘덴서의 예이다.
좌측부터 1μF(50V)[직경 5mm, 높이 12mm]47μF(16V)[직경 6mm, 높이 5mm]100μF(25V)[직경 5mm, 높이 11mm] 220μF(25V)[직경 8mm, 높이 12mm]1000μF(50V)[직경 18mm, 높이 40mm]의 전해콘덴서이다.
단, 크기에 대해서는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며, 메이커에 따라서도 다르다. 여기에 나타낸 것은 어디까지나 참
고로 하기 바란다.
전해콘덴서에는 우측 사진과 같이, 마이너스측 전극을 표시 하는 마크가 있다.실장할 때는 틀리지 않도록 주
의 해야 한다.
3. 탄탈 전해콘덴서(탄탈 콘덴서)
단순히, 탄탈 콘덴서(tantalum condenser)라고도 부르며, 전극에 탄탈륨이라는 재료를 사용하고 있는
전해콘덴서이다. 알루미늄 전해콘덴서와 마찬가지로, 비교적 큰 용량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온도 특성 (온도의 변화에 따라 용량이 변화한다. 용량이 변화하지 않을수록 특성이 좋다고 말한
다), 주파수 특성 모두 전해콘덴서 보다 우수하다.
알루미늄 전해콘덴서는 크라프트(kraft)지 등에 전해액이 스며 들게 한 것을 금속 알루미늄으로 삽입하여
감아 붙인 구조로 되어 있지만, 탄탈 전해콘덴서의 경우는 tantalum powder를 소결하여 굳혔을 때에 나
오는 빈틈을 이용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두루마리 구조가 아니므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특성이 우수
하다(이것은 어디까지나 알루미늄 전해콘덴서와 비교했을 때의 이야기).
이 콘덴서도 극성이 있으며, 통상, 콘덴서 자체에 +의 기호로 전극을 표시하고 있다. 탄탈 콘덴서도 절대로
극성을 잘못 접속해서는 안된다.
가격은 전해콘덴서 보다 비싸기 때문에 온도에 의한 용량변화가 엄격한 회로, 어느 정도 주파수가 높은 회
로 등에 사용한다. 또한, 알루미늄 전해콘덴서에서 발생하는 spike 형상의 전류가 나오지 않으므로 신호
파형을 중요시하는 아날로그 신호계에는 탄탈 콘덴서를 사용하는 것이 상식인 것 같다. 스파이크와 같은
불요 파형이 문제가 되지 않는 경우에는 전해콘덴서로도 충분하다.
좌측 사진은 탄탈 전해콘덴서의 외관을 나타낸 것으로 둥근 모양으로 되어 있다.
용량은 좌측부터
0.33μF(35V) 0.47μF(35V) 10μF(35V) 의 탄탈 콘덴서이다.
탄탈 콘덴서도 전해 콘덴서와 마찬가지로 플러스와 마이너스 극성을 가지고 있다.
전극(리드선)의 +측을 나타내는 기호가 콘덴서 자체에 표시되어 있다.
4. 세라믹 콘덴서
세라믹 콘덴서는 전극간의 유전체로 티탄산 바륨(Titanium-Barium)과 같은 유전율이 큰 재료가 사용되고 있
다. 이 콘덴서는 인덕턴스(코일의 성질)가 적어 고주파 특성이 양호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고주파의 바이패스(고주파 성분 또는 잡음을 어스로 통과시킨다)에 흔히 사용된다.
모양은 원반형으로 되어 있으며, 용량은 비교적 작다.
사진의 좌측에 있는 것은 용량이 100pF의 콘덴서로, 원반의직경이 3mm 정도이다.
우측에 있는 콘덴서는 103이라고 인쇄되어 있는데, 이것은10×103pF이므로 0.01μF가 된다.원반의 직경은 약
6mm였다.
전해콘덴서나 탄탈 콘덴서와 같이 전극의 극성은 없다.
사진보다 더 큰 외형의 세라믹 콘덴서도 있다.세라믹은 강유전체의 물질로 아날로그 신호계 회로에사용하면 신
호에 일그러짐이 나오므로 이와 같은 회로에는 사용할 수 없다.
5. 적층 세라믹 콘덴서
적층 세라믹 콘덴서는 전극간의 유전체로 고유전율계 세라믹을다층 구조로 사용하고 있으며, 온도 특성, 주 파
수 특성이 양호하고, 게다가 소형이라는 큰 특징이 있다.
디지털 회로에서 취급하는 구형파(펄스파) 신호는 비교 적 높은주파수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이 콘덴서는 주
파 수 특성이 양호하고, 소형이라는 점 때문에 바이패스용 으로 흔히 사용된다.
온도 특성도 양호하므로 온도변화를 꺼려하는 회로에도 사용된다.
사진의 좌측에 있는 것은 용량이 104로 표시되어 있으므로10×104pF=0.1μF의 용량이며, 폭 4mm, 높이 3mm, 두
께 2mm의 콘덴서이다. 사진 우측에 있는 것은 용량이 103(10×103pF=0.01μF)의 콘덴서로, 둥근 부분 의 직경
이 2mm, 높이가 4mm였다. 고밀도 실장을 하는 데에는 우측에 있는 형상의 콘덴서가좋은 경우도 있다.전극의 극
성은 없다.
6. 스티롤 콘덴서
전극간의 유전체로 폴리스티렌(polystyrene)필름이 사용되고 있다.
이 콘덴서는 필름을 감은 구조이므로 인덕턴스(코일) 성분이 크다. 따라서 고주파에는 사용할수 없으며, 수백
kHz 이하의 필터 회로나 타이밍회로 등에 흔히 사용된다.
사진에 나타낸 스티롤 콘덴서는 전극에 동박을사용하고 있어, 적색을 띠고 있지만, 전극으로알루미늄박을 사용
하는 것도 있으므로 은색을띠고 있는 것도 있다.
동박을 사용한 쪽이 약간 비싸고, 주파수 특성이좋은 듯 하며, 엄격한 용도가 아니면 적색이든 은색이든 별로
문제는 없을 것으로 생각한다.
사진에서 좌측에 있는 콘덴서는 100pF로 굵기가5mm,높이 10mm이다. 가운데 있는 콘덴서는 1000pF로 굵기
5.7mm, 높이 10mm이다.우측에 있는 콘덴서는 10000pF로 굵기 10mm, 높이 24mm이다.전극의 극성은 없다.
7. 슈퍼 커패시터
이것이 경이적인 콘덴서, 슈퍼 커패시터(Super Capacity)이다. 용량은 0.47F (470,000μF)로 초대용량 콘덴서
이다.
이와 같은 대용량의 콘덴서를 전원회로 등에 사용할 때에는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그 이유는 콘덴서가 텅비
어 있을 때에는(전기가 축적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전류가 계속 유입하므로 정류기 등이 과전류로 인해 파괴
되는 경우가 있기때문이다.
통상적인 전원회로의 평활 콘덴서는 1,000μF 정도이므로,콘덴서는 순간적으로 충전되지만, 이러한 콘덴서를
사용하면충전이 완료되기까지 회로가 쇼트되어 있는 것과 같다.
보호회로를 설치하지 않으면 위험하다.
용량이 크기 때문에 단시간의 백업(배터리 정도의 장시간은아니지만) 등에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초대용량인
데 비해비교적 형태가 작으며, 직경이 21mm,높이 11mm이다. 전극에 극성이 있으므로 주의할 필요가 있다.
8. 폴리에스테르 필름 콘덴서(마일러 콘덴서)
마일러(Mylar) 콘덴서라고도 하며, 얇은 폴리에스테르(poly ester) 필름을 양측에서 금속으로 삽입하여, 원통
형으로 감은 것이다.
저가격으로 사용하기 쉽지만, 높은 정밀도는 기대할 수없다. 오차는 대략 ±5%에서 ±10% 정도이다.
사진의 좌측부터
용량: 0.001μF(.001K로 표시)
폭:5mm, 높이:10mm, 두께:2mm
용량: 0.1μF(104K로 표시)
폭:10mm, 높이:11mm, 두께:5mm
용량: 0.22μF(0.22K로 표시)
폭:13mm, 높이:18mm, 두께:7mm
메이커에 따라 용량을 표시하는 방법이 다르므로주의할 필요가 있다.
좌측의 사진도 폴리에스테르 콘덴서이다.용량은 좌측으로부터
용량: 0.0047μF(472로 표시)
폭:4mm, 높이:6mm, 두께:2mm
용량: 0.0068μF(682로 표시)
폭:4mm, 높이:6mm, 두께:2mm
용량: 0.47μF(474K로 표시)
폭:11mm, 높이:14mm, 두께:7mm
전극의 극성은 없다
9. 폴리프로필렌 콘덴서
폴리에스테르 콘덴서 보다 높은 정밀도가요구되는 경우에 사용한다. 유전체 재료는폴리프로필렌
(polypropylene) 필름을 사용하며, 100kHz 이하의 주파수에서 사용하면거의 용량의 변화가 없다고한다.
사진에 나타낸 것은 오차가 ±1%의 것이다.
메이커에 따라 다를지도 모르지만, 용량 표시다음의 기호가 오차를 나타내고 있는 것 같다.
K가 ±10%, F가 ±1% 사진의 좌측부터
용량: 0.01μF(103F로 표시)
폭:7mm, 높이:7mm, 두께:3mm
용량: 0.022μF(223F로 표시)
폭:7mm, 높이:10mm, 두께:4mm
용량: 0.1μF(104F로 표시)
폭:9mm, 높이:11mm, 두께:5mm
용량을 실측했더니, 측정기의 오차도 있어, 확실하다고는 말할 수 없지만, 대략 +0.2% 정도였다.
이 콘덴서도 전극의 극성은 없다.
10. 마이카 콘덴서
유전체로 운모(mica)를 사용한 콘덴서이다. 운모는 온도계수가 작고 안정성이
우수하며, 주파수 특성도 양호하기 때문에, 고주파에서의 공진회로나 필터회로등에 사용된다. 또한, 절연내압
도 우수하므로 고압회로에도 사용된다.이전에는 진공관식 무선송신기 등에는 흔히사용되었다. 결점으로는 용량
이 그다지크지 않고, 비싸다.
좌측의 사진은 diped mica condenser 이라 부르는 것으로 내압이 500V이다.
용량은 좌측부터 47pF(470J로 표시)
폭:7mm, 높이:5mm, 두께:4mm220pF(221J로 표시)
폭:10mm, 높이:6mm, 두께:4mm1000pF(102J로 표시)
폭:14mm, 높이:9mm, 두께:4mm
전극의 극성은 없다.
11. 메털라이즈드 폴리에스테르 필름 콘덴서(시멘스 MKT 적층 콘덴서)
시멘스 MKT 적층 콘덴서라고도 하며, 전극으로 증착금속피막을 사용한 폴리에스테르필름 콘덴서로, 전극이 얇
기 때문에 소형화가 가능하다.
사진좌측부터
용량: 0.001μF(1n으로표시. n은나노 10-9)
내압: 250V폭:8mm, 높이:6mm, 두께:2mm
용량: 0.22μF(μ22로 표시)
내압:100V폭:8mm, 높이:6mm, 두께:3mm
용량: 2.2μF(2μ2로 표시) 내압: 100V
폭:15mm, 높이:10mm, 두께:8mm
이 콘덴서는 리드가 떨어지기 쉽기 때문에 취급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한번 떨어져 버리면 사용할수 있는 방
법이 없으며, 버릴수 밖에 없다.전극의 극성은 없다.
12. 가변용량 콘덴서
용량을 변화시킬 수 있는 콘덴서이며, 주로 주파수 조정등에 사용한다.좌측의 사진에 나타낸 것은 트리머(trimmer)라 부르는 가변용량 콘덴서이며, 유전체로세라믹(자기)를 사용하고 있다. 그 외에도 폴리에스테르필름 등을 유전체로 사용한 것도 있다.
프린트 기판에 실장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다.
부착할 때의 주의 사항으로, 전극 극성은 없지만 용량을조절하는 나사 부분이 어느 한 쪽의 리드선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리드선의 한 쪽이 어스에 접속되는 경우에는조절 나사가 연결되어 있는 리드선을 어스측으로 한
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조절할 때의 드라이버의 용량이 영향을 주므로 잘 조절되지 않는다.
또한, 이러한 조절을 할 때에는 전용의 조절용 드라이버((나사를 돌리기 위한 절연체 드라이버로, 아크릴과 같
은절연물로 되어 있다)가 있으므로 그것을 사용하는 편이무난하다. 조절 나사가 어느 쪽 리드선에 연결되어 있는지는 살펴 보면 알 수 있지만, 그래도 모를 때는 테스터 등으로 확인한다.
사진에서 좌측의 트리머는 용량: 20pF(3pF∼27pF 실측) 굵기: 6mm, 높이: 4.8mm그 외에, 청색:7pF(2∼9), 백
색:10pF(3∼15), 녹색:30pF(5∼35), 갈색:60pF(8∼72)가 있다.
위의 사진에서 우측의 트리머는 용량: 30pF(5pF∼40pF 실측) 폭(길이): 6.8mm, 폭(짧은 쪽):4.9mm, 높이: 5mm
아래의 사진에 나타낸 것은 배리콘이라 부르는 가변용량 콘덴서로 라디오의 튜너 등에 사용된다.
사진에서 좌측의 배리콘은 공기를 유전체로 하고 있으며, 3개의 독립된 콘덴서를 조합하고 있다 (3련 배리콘
이라고 부른다). 용량은 각각 2pF∼ 18pF까지 변화했다. 조정축을 돌리면 3개의 콘덴 서의 용량이 동시에 변화
한다. 크기는 폭, 높이 모두 17mm, 깊이 29mm(조정봉은 제외)
이러한 배리콘은 여러 종류가 있으므로, 목적에 적합한 것을 선택한다.사진에 나타낸 것은 소형 배리콘이다.
사진의 우측에 것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유전체로 한 것으로, 2개의 독립된 콘덴서를 조합하고있다(2련 폴리
배리콘이라고 한다). 용량은 한 쪽이 12pF∼150pF, 다른 한쪽이 11pF∼70pF까지변화했다. 크기는 폭, 높이 모
두 20mm, 깊이 11mm(조정봉은 제외)사진에 나타낸 것은 각 콘덴서에 다시 소형의 트리머가 내장되어 있으며,
15pF 정도의 미세조정을 할 수 있다.
1. 저항기의 개요
저항기란 전류의 흐름을 억제하는(흐름을 곤란하게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회로도의 기호로는으로 표시한
다. 저항값의 단위는 ohm(Ω:옴)이 사용된다.
그리고, 1000Ω은 1kΩ(킬로옴), 1000kΩ은 1MΩ(메가옴)이라 부른다.
저항기는 크게 고정저항기와 가변저항기로 나누어진다(이에 대해서는 나중에 설명한다). 그리고사용하는 재료
에 따라 탄소계와 금속계로 분류된다.
저항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중요한 포인트는 저항값은 물론이거니와, 정격전력, 저항값 오차가 있다정격전력이
란 저항기가 견딜 수 있는 소비전력(W:와트)으로, 전력은 전류의 제곱(I2)×저항(R)으로구할 수 있으며, 이 이
하로 사용하지 않으면 저항기가 열을 발생하게 되고 결국 타버리는 경우도 흔히 있다. 전자회로에서 흔히 사용
되는 것으로 1/8W, 1/4W, 1/2W 등이 있다.
전자회로의 신호회로(미약전류)에서는 너무 의식할 필요없이 1/8W로 충분하지만, 전원회로, 발광다이오드의 전류제어용과 같은 저항기에는 생각보다 큰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정격전력을 염두에둘 필요가 있다.
2. 정격전력
탄소계 저항기보다 오차가 적은 높은 정밀도의 저항값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된다.
오차는 ±0.05% 정도의 것도 있지만, 일반적인 전자회로에서는 그다지 고정밀도가 요구되는 저항기는
사용되지 않으며, 고정밀도라고 해도 ±1% 정도의 저항기로 충분한 것 같다. 그리고 금속피막 저항기는
비싸기 때문에 꼭 필요한 경우에 부분적으로 사용하면 좋을 것이다.
금속피막 저항기의 저항체 재료는 Ni-Cr(nichrome) 등이 사용되고 있는 것 같다. 금속피막 저항기의
용도는 브리지 회로, 필터와 같이 저항값의 오차가 회로의 성능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경우, 그리고 아
날로그의 잡음이 마음에 걸리는 회로 등에 사용한다.
기본적으로는 소비전력의 2배 정도에 해당하는 정격전력의 저항기를 사용하는 편이 무난하다.1/8W의저항기로
는 어느 정도의 전류를 취급할 수 있는지를 계산해 보면,
47kΩ 저항의 경우, √0.125W÷47KΩ=√2.66×10-6=1.63×10-3=1.63mA로 된다. 전자회로의 신호회로에서 47kΩ
에 이러한 전류가 흐르는 경우는 드물다 (흐를 때는 1.63mA×47kΩ으로 되어 76.6V가 걸리는 경우이다).
3. 저항값
저항값의 표준에 대해서는 우리나라 KS 규격으로도 정해져 있지만, KS 규격은 그 대부분이 일본 JIS 규격을 모
방하고 있으며, 실제로 업계에서는 JIS 규격을 훨씬 많이 이용하고 있다.
그래서 여기서도 JIS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저항값의 표준은 JIS C5001에서 E 표준 계열로 정해져 있다.
이것은 10을 대수적으로 몇 등분하여 정해져 있다.
예를 들면 E3의 경우, 10을 대수적으로 거의 3등분하여 [1], [2.2], [4.7], [10]으로 하고 있다. E6의 경우는
[1], [1.5], [2.2], [3.3], [4.7], [6.8], [10]으로 된다.
E12는 [1], [1.2], [1.5], [1.8], [2.2], [2.7], [3.3], [3.9], [4.7], [5.6], [6.8], [8.2], [10]으로 된다.
저항값이 언뜻 보기에 제각기 무질서한 값으로 보이는 것은 이와 같은 이유 때문이다. E 계열은 3, 6, 12 이외
에 24, 48, 96, 192라는 계열이 있지만, 저항값으로는 통상은 E12 계열을 사용하고 있는 것 같다.(특수한 경우
에는 그 이상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
저항값의 표시는 숫자로 인쇄하기 위해서는 부품이 작기 때문에 컬러코드(color code)라고 하는 색깔로표시하
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 1/2W 이하의 저항기은 대부분 컬러코드로 표시하게 때문에 컬러코드를 읽는 법도 꼭
알아 둘 필요가 있다(컬러코드를 읽는 방법은 나중에 설명한다).
고정저항기 - 고정저항기란 명칭과 같이 저항값이 고정된 것으로, 전자회로에 널리 사용된다.
4. 탄소피막 저항기
가장 일반적이고 저가격의 저항기이다. 저항값의 오차는 ±5%의 저항기가 가장 많다. 정격전력으로는1/8,
1/4, 1/2 등이 많다.
탄소피막 저항기는 잡음이 심하다고 하는 결점이 있기 때문에, 아날로그 회로에는 금속계의 저항기를 사용하
는 경우도 많다.경험적으로는 아날로그 회로의 미소한 신호를 증폭하는 곳에는 가급적 금속계 저항기를 사용하
고, 일반 디지털 회로에서는 저렴한 탄소계 저항기를 사용해도 잡음 때문에 고민하는 경우는없었다.
저항기의 크기는 대개 아래 사진과 같이 되어 있다. 사실은 규격이 있겠지만, 실제 구입할 때는 크기를 보고
가늠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구입시 가늠의 기준으로 생각하기 바란다.
이 저항기는 저항 어레이라 부르는 것으로, 여러 개의 같은 값을 가진저항기가 일체형으로 만들어져 있다.
각 저항기의 한쪽이 내부에서 접속되어 있는 것도 있다.여러 개의 발광다이오드 전류를 제어하는 경우 등, 실
장 공간이 적게 해결되어 편리하다.
위측사진의 저항기는 8개의 저항기가 아래 좌측 그림과 같이 되어 있다.단지 저항값만(470Ω이라는 식으로) 표
시되어 있는 것은 이 타입이다.
9개의 리드(다리)가 있으며, 저항값의 인쇄면에서 보았을 때, 맨 좌측의리드가 공통(common) 리드이다.
같은 모양이면서, 4S470Ω이라는 식으로 머리에 4S를 붙여 표시하고 있는저항 어레이도 있다. 이 타입은 리드
가 8개로 아래 그림의 우측과 같이 독립된 저항기가 4개 내장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저항기의 정격전력은
대략 1/8W 정도라고 생각된다.
사이즈는 9개의 리드가 있는 타입의 경우, 폭 23mm, 높이 5mm(검은 부분), 두께 1.8mm이며, 8개의 리드가 있
는 타입은폭 20mm, 높이 5mm, 두께 1.8mm였다.
5. 금속피막 저항기
탄소계 저항기보다 오차가 적은 높은 정밀도의 저항값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된다.
오차는 ±0.05% 정도의 것도 있지만, 일반적인 전자회로에서는 그다지 고정밀도가 요구되는 저항기는사용되지
않으며, 고정밀도라고 해도 ±1% 정도의 저항기로 충분한 것 같다. 그리고 금속피막 저항기는비싸기 때문에
꼭 필요한 경우에 부분적으로 사용하면 좋을 것이다.
금속피막 저항기의 저항체 재료는 Ni-Cr(nichrome) 등이 사용되고 있는 것 같다. 금속피막 저항기의용도는 브
리지 회로, 필터와 같이 저항값의 오차가 회로의 성능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경우, 그리고 아날로그의 잡음이
마음에 걸리는 회로 등에 사용한다.
정격전력(W) 굵기(mm) 길이(mm)
1/8 2 3
1/4 2 6
1 3.5 12
2 5 5
사진의 상측부터
1/8W(저항값 오차 ±1%), 1/4W(저항값 오차 ±1%) ,1W(저항값 오차 ±5%) ,2W(저항값 오차 ±5%) 의 저항기이
다.
6. 가변저항기
가변저항기는 일반적으로 볼륨(variable ohm)이라 부르는 경우도 많다. 라디오의 음량조정과 같이 용이하게 저
항값을 바꿀 수 있는 것과, 전자회로에서 부품의 오차에 의한 동작 상태를 조정(adjust: ADJ)해야하는 경우 등
에 사용하는, 통상 저항값을 바꾸지 않는 반고정 저항기가 있다.
통상적인 가변저항기, 반고정 저항기는 회전할 수 있는 각도가 300도 정도이지만, 저항값을 세밀하게 조정하
기 위해 기어(gear)를 조합하여 다회전(10∼25회 정도)시킬 수 있는 퍼텐쇼미터(potentiometer)라는 것도 있
다.
사진의 우측에 있는 것은 음량조정과 같이, 저항값을 용이하게 바꿀 수 있는 가변저항기이다. 중앙에 있는 4개
는 여러 가지 형태의 것이 있는데, 프린트 기판 등에 실장하는 반고정 가변저항기이다.
좌측에 있는 2개는 퍼텐쇼미터(potentiometer)라 부르는 것으로, 좌측에 있는 나사를 돌려 저항값을 변화시킨
다. 퍼텐쇼미터의 형태는 이 사진과 같은 것 이외에, 맨 우측의 형태에 가까운 것도 있다. 용도에 따라형상을
선택할수 있다. 회로기호는 으로 표시한다
7. 수광소자(Cds)
빛에 의해 저항값이 변화하는 부품이 있다. 카드뮴을 사용한 것으로, 빛이 닿으면 저항값이 작아진다.수광감
도, 크기, 저항값 등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다.
사진과 같은 것은 원통형의 직경이 8mm, 높이가 4mm의 크기로,빛이 닿지 않을 때에는 2MΩ 정도, 빛이 닿으면
200Ω 정도로 저항값이 변화한다. 빛이 닿는 강도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한다.
이 Cds 소자는 자동차의 헤드라이트의 점등 확인 장치에도 사용되고 있다.
8. 기타 저항기
탄소피막 저항기, 금속피막 저항기 이외에 흔히 사용되는 저항기의 종류로는 권선저항기가 있다.
권선저항기는 금속의 미세한 선을 재료로 사용한 것으로, 선의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정밀한 저항값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굵은 선재를 사용할 수 있어, 대전력용의 저항기를 만들 수 있다. 실제로는 정밀한 저항값을얻는 것보
다 대전력용 저항기의 용도가 많을 것으로 생각한다. 결점으로는 선을 절연체에 코일 형태로 감아 붙이기 때문
에, 주파수가 높은 회로에는 사용할 수 없다.
흔히 볼 수 있는 것으로는 저항기를 법랑으로 덮은 할로우(hollow) 저항기와, 세라믹 케이스에 삽입하여 특수
한 시멘트로 굳힌 시멘트 저항기 등이 있다. 1∼2W부터 수십 W의 것까지 다양한 종류가 있다.
대전력용 저항기를 사용하는 경우, 다량의 열이 발생하기 때문에(저항기는 열에 견딜 수 있도록 되어있지만,
열은 발생한다) 방열을 충분히 고려할 필요가 있다.
왼쪽의 사진은 할로우 저항기인데, 상측이 10W의것으로, 굵기 13mm, 길이 45mm, 하측이 50W의것으로, 굵기
29mm, 길이 75mm이다. 상측은 부착 고리를 붙인 상태이다. 절연하기 위해애자로 된 구조로 되어 있다.
오른쪽사진은 시멘트 저항기이며, 5W용으로, 폭 22mm,길이 9mm, 높이 9mm이다
9. 컬러코드(color code)를 읽는 방법
색깔 수치 비 고
흑색 0 제1, 2, (3)숫자, 승수
갈색 1 제1, 2, (3)숫자, 승수, 오차
적색 2 제1, 2, (3)숫자, 승수, 오차
등색 3 제1, 2, (3)숫자, 승수
황색 4 제1, 2, (3)숫자, 승수
녹색 5 제1, 2, (3)숫자, 승수
청색 6 제1, 2, (3)숫자, 승수?
자색 7 제1, 2, (3)숫자
회색 8 제1, 2, (3)숫자
백색 9 제1, 2, (3)숫자
금색 5% 오차
은색 10% 오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