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악산 대청봉>에서 계속
소청대피소전망쉼터에서 황철봉(우)에 눈을 맞춘다.

그 오른쪽으로 마등령, 그 앞으로 용아장성릉. 오른쪽으로 공룡능선인데 구름이 덮었다.

공룡능선 오른쪽 위로 눈을 크게 뜨면 울산바위도 보인다.

봉정암을 향해 내려간다. 덱도 만나며 고도를 낮춘다.

얹힌 바위를 지나니

오른쪽 돌계단 위로 건물이다.

나무사이로 모습을 드러낸 봉정암.

오른쪽 돌계단으로 올라가니 건물기둥에 <이 문 안에 들어오거든 안다는 것을 버리라>는 글귀다.

봉정암을 호위하는 바위. 2002년 9월29일 <한계령-중청-봉정암-백담사>산행(12시간30분)이후 다시 만난 봉정암.

이렇게 큰 건물도 있다.

양쪽으로 걸린 연등사이 돌계단으로 올라가니 산신각. 산신각을 지나면 삼거리에 놓지기 쉬운 이정표를 만나는데 오른쪽으로 오세암이다. 일단 직진하니 길 끝에 참배단이다.

삼거리로 돌아와서 왼쪽 오세암으로 올라간다. 고개에 올라서면 오른쪽으로 거대한 바위. 바위아래는 이정표와 긴급신고 및 구조요청 안내판도 있다.

바위를 쳐다보면 이런 그림이다.

이정표는 오세암4km. 돌아보니 중청봉의 공도 보인다. 가운데 왼쪽으로 봉정암 건물도.

밧줄도 잡으며 가파르게 내려가니 내려서는 덱도 기다린다.

거대한 바위기둥을 만나 오른쪽으로 우회한다.

아래로 보였던 용아장성릉이 왼쪽건너에 와 있다.

기다리는 덱으로 내려가니 오른쪽에서 내려오는 계곡을 만난다. 암반계곡이라 내려오는 물이 와폭모습이다. 이어지는 철 난간을 잡고 조심스레 내려가서 줄을 잡고 계곡도 건넌다. 올라오는 5,6명의 탐방객을 자주 만난다. 오세암에서 숙박하고 오늘밤은 봉정암에서 머물 거란다.

널빤지다리로 계곡을 건넌다.

흐르는 물을 보며 점심. 따뜻한 물이 그립다. 돌아본 점심자리.

아름이 넘는 나무를 심심찮게 만난다.

합수점에서 만난 무지개다리.

고개에 올라서니 오세암 2.1km. 돌계단으로 내려가서 넘어진 고사목에 발걸음을 멈춘다.

계곡을 건너 5분후 치솟는 덱. 휴식중인 탑방객도 보인다. 널빤지다리를 건너 고개에 올라서니 오세암1.1km 이정표.

덱으로 올라가니 오른쪽 마등령(1.4km)에서 오는 길이 합친다. 2005년 <미시령-황철봉-마등령-백담사>산행(10시간)때 내려왔던 길이다.

오세암에 내려선다.

두려움과 걱정을 없애주는 집이란다.

오세암의 큰법당.

고개를 넘어서 만난 이정표.

봉정암-오세암 구간보다 오세암 이후는 부드러워진 길이다. 아름이 넘는 거목도 만난다.

영시암을 400m 앞두고 만난 119구조표지.

초소를 만나니 갈림길이다. 왼쪽 수렴동대피소에서 오는 길이 합친다.

영시암이정표.

영시암에 들어선다.

돌아본 영시암.

여기부턴 하천을 왼쪽에 끼고 백담사로 향한다.

철다리를 두 번 건너 덱도 만난다. 하산하는 탐방객보다 올라오는 탐방객 훨씬 많다.

이름모르는 꽃도 만난다.

유네스코설악산생물권보전지역 비석도.

산길을 벗어나니 오른쪽으로 설악산국립공원백담탐방안내소.

하천 건너에 모습을 드러낸 백담사.

백담사입구에 자리한 이정표.

왼쪽 백담사로 향한다. 백담교에서 왼쪽으로 본 하천은 돌탑들이 즐비하다.

만해기념관을 오른쪽 뒤로 보내면 정면에 만나는 극락보전.

백담사 대문.

다시만난 백담교를 건너니 왼쪽 아래로 셔틀버스승강장이다.

나 뒤에 선 사람까지 승차하니 만석이라 바로 출발한다.

용대리에 들어서며 차창 밖 그림.

하차하여 돌아본 백담사방향. 7km 거리에 승차시간은 15분, 요금은 어른 2500원.

진행방향으로 몇걸음 가서 오른쪽으로 만난 식당. 사진에선 보이지 않지만 식당왼쪽에 주차장이다. 주차장에서 기다리는 버스를 만나며 무박산행을 마친다.

이 식당에서 황태진국으로 때이른 저녁. 오색에서 대청봉까지 걸린 시간을 비교하니 2008년엔 3시간01분, 오늘은 2시간57분이다. 얼마나 긴장됐으면 결과는 4분이나 단축.
돌아오는 도로는 정체현상이 없어 생각보다 귀가시간이 빨라졌다.
#승차이동(17:43)-홍천요금소(18:49)-치악휴게소(19:28-38)-현풍휴게소(21:49-22:07)-칠원요금소(22:39)-창원도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