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좀비(zombie)는 부활한 시체를 일컫는 단어로, 아이티를 비롯한 여러 나라가 믿는 부두교에서 유래했다.
목차[숨기기] |
부두교에 따르면 좀비는 부두교의 사제 보커(bokor)가 인간에게서 영혼을 뽑아낸 존재이다. 보커에게 영혼을 붙잡힌 사람은 지성을 잃은 좀비가 되어 보커의 명령에 복종해야만 하며, 보커는 간혹 이 좀비들을 노동자로서 착취하거나 팔아버리기도 한다. 가끔씩 좀비가 정신을 차리는 경우가 있는데, 부두교는 이러한 현상을 '본제(아이티어: bondye, 착한 신)가 영혼을 되돌려 준 것'이라고 해석한다.
하버드 대학의 민속식물학자 웨이드 데이비스는 자신의 저서 더 서펜트 앤 더 레인보우(The serpent and the rainbow)에서 좀비화 과정을 과학적으로 연구했다. 데이비스의 주장에 따르면 보커가 약물 두 종류를 이용해 멀쩡히 살아있는 사람을 가사 상태로 만들어 좀비로 부릴 수 있었다. 아이티에서는 이런 식으로 만들어진 좀비들이 농장주들에게 노동자로 팔려나가는 범죄가 지금도 성행하고 있다고 한다.
대중 매체에서 비추어지는 좀비는 알 수 없는 원인으로 인해 다시 부활한 시체를 일컫는 단어이다. 호러 및 판타지 작품에 주로 등장하며 부패한 시체가 걸어다니는 모습으로 묘사되는 경우가 잦다.
어원적으로 좀비는 콩고 단어 은잠비(콩고어: Nzambi, 신)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측되며, 이 단어는 또한 부두교의 뱀 로아인 담발라 웨도의 또다른 이름이기도 하다.
좀비를 만드는 데 좀비 파우더라는 것이 사용되었다. 이것의 주성분은 복어의 독 성분인 테트로도톡신으로, 이 독소를 상처부위로부터 침투시킴으로써 가사(仮死)상태로 만들었다. 독소를 희석하는 정도에 따라 약과 시술에 의한 소생이 가능했고. 독이 다량으로 투입되면 죽음에 이른다. 가사상태로 있으면, 산소결핍에 의해 뇌(전두엽)에 손상을 남기게 되고, 자발적 생각이 없는 인간, 즉 좀비를 만들어내는 것이 가능하다. 이리하여 말 그대로 좀비는 노예로서 농사일에 사역을 당하는 일이 계속되었다.
죽은 자를 되살린다는 것보다 환각제의 종류를 준비해 살아있는 인간의 기억과 의지를 빼앗아 노동을 시키려 만든 기술이란 설도 있다. 그 외에도 마취제 종류 등을 준비해, 가사상태를 만들어 사망한 것처럼 보이게 하였고 급기야 마취가 깬 사람이 마치 살아난 듯이 보인 것이라는 설도 있다.
이 시술은 부두의 사제(신부역할)로 있는 보코에 의해 행해진다. 보코는 의뢰인으로부터 사람을 의뢰받아 조달하는 일을 생업으로 하고 있는 자다. 보코는 사체가 썩기 전에 무덤에서 파내어, 몇 번이고 시체의 이름을 불러댄다. 얼마 안 지나 시체가 무덤에서 일어섰을 때 양손을 묶어 농가 등에 노예로 팔아넘겨진다. 혼은 항아리 속에 담기고, 이후 좀비는 오랜 세월을 노예로 살게 된다.
죽은 자의 가족은 죽은 사람을 좀비로 만들지 않으려고 매장 후 36시간을 지켜보기도 하는 반면 시체에 독약을 입혀 처리하거나 사체를 갈라버리는 경우도 있었다. 사체에 칼붙이를 쥐어주어서 사체가 일어나기 시작하면 보코를 한 번 찌를 수 있도록 하는 경우도 있었다 한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이름을 부르는 것만으로 시체가 다시 되살아날 리도 없거니와, 농민들의 입에서 입으로 전해진 얘기에 지나지 않는다. 하지만 부두교를 믿고 있는 아이티 등 사이에서는 아직까지도「시장에서 좀비를 봤다」는 식으로 전해지는 얘기들이 많다. 또한 지적,정신적 장애인이 가끔 시체와 닮았다는 이유 때문에 좀비로 취급된 경우도 있었다고 한다.
앞서 말한 좀비파우더의 기원은 나이지리아의 소수민족인 에페크인과 카라발인에게서 유래한 것이라고도 한다. 서아프리카 사회에선 전통적인 형법으로서 이 독이 사용되고 있어, 이것이 노예들로 인해 서인도제도로 흘러들어갔다. 좀비 파우더엔 테트로드톡신이 함유되어 있다고 하지만, 실제 좀비파우더에 사용된 것은 독을 가진 복어가 아닌 하리센본이었다. 또한 좀비파우더의 사용법은 몸에 도포하는것이기 때문에, 테트로드톡신이 가사상태를 만든다는 가설엔 무리가 있다는 지적도 있다.
『좀비화』는 미움을 받는 사람이나 죄를 지은 자에 대해 제제를 가하기 위한 행위였다. 또한 형벌이라는 측면에서 생각해본다면, 생물학적인 죽음이 아니라 공동체에 의한 보호나 권리를 빼앗기는 사회적 죽음을 암시한 건 아닐까 하는 설도 있다.
좀비는 전염병과 생물병기 등으로 인해 파멸된 존재로 픽션 속에서도 여러 차례 등장했다. 서두에서 얘기했듯이 좀비는 호러와 판타지 작품에 자주 등장한다. 작품 속에서는 본래의 「지칠 줄 모르는 노동력」을 가진 존재로 그려지는 게 아니라, 「인간을 적대시하는 몬스터」처럼 묘사되는 경우가 많다. 완전한 생각을 갖고 있지 않고, 타인에게 조종되거나 생전의 생물적인 본능과 반사행동에 의하여 움직이는 것이 많지만, 작품에 따라서는 육체적으로 점차 썩어가면서도 자아를 잃지 않고 자유활동을 하는 예도 있다.
이런 좀비의 틀을 결정지은 건 1968년 조지 A. 로메로의 미국영화 살아있는 시체들의 밤(Night of the Living Dead)였다. 이 작품에서 로메로는 부두교 좀비에 흡혈귀의 특징을 가미시켜, 새로운 공포의 대상인 ‘살아있는 시체’를 만들어냈다. 뒤에 나온 좀비는 거의가 이 "로메로 좀비"의 영향하에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로메로가 만든 같은 종류의 두 번째 작품인 시체들의 새벽(1978, 원제 : Dawn of the Dead[1])는 특히 유명한 작품으로, 이 영화로 인해「좀비」라는 말이 세간에 보급되었다.
SF 작품에서도 화학약품 등의 영향으로 좀비가 됐다는 설정은 이전부터 존재했지만, 근래엔 주술이나 마법적인 수법이 아니고, 화학실험과 특수한 바이러스 감염, 또는 기생충에 의해 좀비가 되었다는 식의 설정이 주를 이룬다. 의사 과학을 도입하는 데 대한 공포의 근원을 더욱 실감하도록 리얼리티를 표현하려는 목적에서였을 것이다. 그런 작품에서는 전염병 형태로 피해가 확대되는 패닉물의 양상을 띠는 경우도 많다.
일부에서는 이들 좀비를 부두교 좀비와 구별하기 위해, 로메로 영화에서 따온 '살아있는 시체'(Living Dead)로 분류하고 호칭하고 있다. 이 분류에는 인간 이외의 좀비도 존재하고, 썩어가는 육체를 가진 동물이 인간을 습격하는 등의 묘사도 등장한다. 작품에 따라 세부적인 사항은 달라지기도 한다. 전반적인 좀비의 특징에 따르면, 그다지 복잡한 행동을 할 수 없으며, 동작도 느릿느릿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다만, 최근의 영화에서는 인간을 달리기로 따라잡는 좀비도 등장하고 있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 머리부분과 등뼈를 파괴당하거나, 불태워지면 활동을 정지한다는 약점도 설정되어 있다. 또한 좀비에게 받은 상처를 통하여 무언가가 감염되어 부상자가 좀비로 변한다는 설정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마이클 잭슨의 유명한 MV 『Thriller』에선 마이클이 지휘하는 좀비 댄스팀이 춤을 추는 장면도 있다.
영화에서 ‘좀비’라는 호러 캐릭터를 만들어 낸 사람은 조지 A. 로메로이다. 한국에서는 강범구 감독이 최초로 괴시를 제작, 극장에서 개봉하였다.
세계를 혼란으로 몰고갈려구 전쟁 ,경제위기.재앙영화,좀비영화가 2012를 대비해서 엄청 만들어지더니 이제
좀비까지 등장했네여 미국fema수용서에서 12만개 이상의 플라스틱관들이 만들어진걸보면 시체를 파묻기위해서 가
아니라 좀비를 대량생산해서 각각 도시에 풀어줘서 극도의 혼란과 계엄령 선포와 동시에 베리칩의 낙인을 찍기위함이
아니겟습니까? 1년전 개봉한 월스미스의 나는 전설이다라는 영화가 생각이 나는군요
미국영국영화 4할 이상이 좀비 외계인 살인마 빼고는 영화자체가 말이안되는군요 좀비 카니발리즘 좀비계시록의 실현을
위해서 대중들을 마인드를 컨트롤 하기 위함이 아니겠습니까?
아니라 다를까 살이 썩어들어간다는 괴질까지 돈다니
이번에 등장한 좀비도 희안하게 흑인이더군요 1970년대 에이즈가 미국사회로 전파하는데 샌프란시스코의 게이들이
아이티의 남창과 합쳐져서 게이 병이 흑인한데서 전염되어서 미국에 전파된걸로 나오는데 좀비의 고향인 아이티라니 웃기군요
월래 좀비는 강신술의 일종으로서 복어독과 그런걸합쳐서 일종의 가사상태로 만들어서 죄인들을 훈육하는 수단이었는데
미국에 가서는 영화 드라마 각종 사회현상과 맞물려서 좀비가 하나의 신드롬으로 만들어졌져
에이즈가 가짜이것이 이번좀비라는것도 약물과 심리 컨트롤로 충분히 대량생산 가능해지겟군요
한국에서도 인육 짱개와 인육캡슐로 사회가 뒤숭숭하니
첫댓글 청나라 를 욕보이게한 있지도 않는 강시랑 비슷해보입니다
이상하게 fema수용서가 많은 플로리다 쪽에는 kkk 단 나치 백인인종주의자들이 넘치는곳이더군요
에이즈가 흑인이랑 동성애자들한데 걸린다는 거짓말을 퍼트린것처럼 좀비들을 대량으로 시민들이 살고있는곳에
풀어놓는게 아닐런지 요
좀비를 이토록 세뇌시키는 까닭은 역시 괴질(怪疾)을 퍼트리려는 의도 같습니다.
좀비라는게 부관참시 당한 억울함을 구실로 떠도는 강시 같습니다.
예수회 신부와 청나라 관리들이 공통으로
목에 걸던 염주라는 것이 불교에서 온 것이라 부두교(붓다=부처)라 불리는 게 아닌가 합니다. 형벌에 처해졌을 때, 억울함이 죽어서도 없어지지 않은 원한이라는 사회적인 복수의 병균을 생물학적으로 이용한 전염병을 퍼트려 결국 한 사회와 국가 전체를 무너뜨리는 목적으로 자주 사용되던 수법 같고요.
새로운 질병은 꾸준히 개발되고 있다고 봐야겠습니다. 철학과 종교가 생노병사 하듯이요.
21세기 문화 코드는 좀비일겁니다 영혼을 상실하고 사는 자들 천지에다가
열도의 방사능좀비 짱개국의 인간좀비등 한국사회의 좀비들은 친일 친미 장로들과 가짜 진보 이 뿌리는 찌라시에 영혼을 강탈당해서 아직도 이들이 말하는 소통과 변화따위가 일어날거라고 믿는거일겁니다
어리석게
아이러니 하게 5월달에 캐나다 이민국에서 비자국이 취소된 국가에는 일본이 포함되는게
성소수자들에게 해방? 일반인들에게 소통?을 말하는 게이축제?가 한반도에서도 이제 막열리더군요
좀비(zombie)라는 것은 업(業=life)을 좀(zom) 먹는 현상 같습니다. 죽은 원혼이 산 사람을 괴롭히는 것이지요.
유태인들이 인육을 먹어 인간 흉내를 내는 업(業=life, 끊어서 거꾸로 읽어, 일 업)을 짓지 못하게 시체를 없애는 일이 화장이었던 것 같고요.
인육이 고의로 훼손된 것을 염려하지 않는다면,화장이란 문화 자체가 쓸데없는 사치인 것 같습니다.
노동 시장에 팔 수 밖에 없는 일(labor) 자체가 올바른 사회를 앓게 하는 일(ill)이라는 데 심각한 문제가 있는
것입니다. 백색 마약을 먹고 환각 상태를 빠지지 않아도, 이미 세상의 일(業)들이 정신(통일성) 없이 남겨진
시신(corpse,고려를 없애는)에 대한 확인사살을....
살아있는 팔다리나 시신의 팔다리의 차이는 중추신경을 통한 뇌와 연관된 통일성의 차이일 것입니다.
즉, 시신훼손은 정치적,문화적,종교적인 통일성이 상실된 세력에 대한 확인 사실인 부관참시인 것일 뿐입니다.
아편을 비롯한 여러 종류의 마약들은 육체의 통일성을 없애기 위해서 대량으로 살포되고, 종교라는 마약도 동시에 흥하는 것이고요. 이 나라의 기독교를 비롯한 주요 종교들이 하는 역할이라는 것이,통일성의 회복인 고려사의 복원을 방해하는 것이 주 목적일 것입니다. 불교,천주교도 마찬가지 백색마약의 역할을 독톡히 하고 있는 것이고요. 사실 더 한심한 것인 그 백색마약 보다도 한심한 종교들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