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단풍미인 예술단 원문보기 글쓴이: 야인
하 |
나 |
아 |
두 |
우 |
울 |
세 |
에 |
엣 |
네 |
에 |
엣 |
빠르기는 보통 걷는 속도의 한배 정도 느린 빠르기이며 모든 호흡의 기본이 되는 호흡법이다. 몸의 긴장을 풀고 바르게 안거나 선다. 하나아를 입장단으로 하면서 몸을 움직이는데 그 장단에 몸이 내려갔다 올라온다. 앉은 자세에서는 단전이 중심이 되어서 몸 전체가 원을 만들 듯 하면 되다. 목에 힘을 풀어 자연스럽게 고개짓도 되게 한다. 두우울, 세에엣, 네에엣도 마찬가지로 움직여 준다. ‘하나아’의 길이에 몸이 꽉차게 움직여야 한다. 몸이 잠시도 쉬어서는 않된다.
2) 삼채형 하나아의 호흡법
하 |
나 |
아 |
두 |
우 |
울 |
세 |
에 |
엣 |
네 |
에 |
엣 |
두 |
우 |
울 |
두 |
우 |
울 |
세 |
에 |
엣 |
네 |
에 |
엣 |
빠르기는 보통걷는 속도의 빠르기다. 굿거리형 한 장단과 삼채형 한 장단은 배가 같다. ‘하나아’를 입장단으로 하면서 몸을 움직이는데 그 장단에 몸이 내려갔다 올라온다. 두우울, 세에엣, 네에엣, 두우울, 두우울, 세에엣, 네에엣도 마찬가지로 움직여 준다. 삼채형 장단이 빨라지면 호흡을 계속 내려 줄 수 없게 됨으로 ‘두우울’과 ‘네에엣’에서는 고개짓을 들어주어 자연스럽고 편하게 호흡을 하도록 한다.
3) 동살풀이형 하나아의 호흡법
하 |
나 |
두 |
울 |
세 |
엣 |
네 |
엣 |
1박이 3쪽이 아니라 2쪽으로 나누어진다. 빠르기는 보통 걷는 속도보다 약간 빠르다. 호흡법은 앞의 호흡법을 따르고 하나의 ‘하’에 누르고 ‘나’에 호흡을 일으킨다. 두울, 세엣, 네엣도 마찬가지로 움직인다. 힘찬 느낌을 줄 수 있다.
4) 이채형 하나아의 호흡법
하 |
나 |
두 |
울 |
세 |
엣 |
네 |
엣 |
1박을 3쪽이나 2쪽으로 나누어 있다. 여기서는 2쪽으로 나누어 보겠다. 빠르기는 보통 걷는 속도 보다 빨라 뛰어가는 속도이다. 동살풀이형 장단의 반장단과 같다. 호흡법은 앞의 호흡법과 동일하고 ‘하나’ ‘두울’에 호흡을 누르고 ‘세엣’ ‘네엣‘에 호흡을 일으킨다. 삼채와 마찬가지로 된박에 호흡을 내리는 것이 원칙이다. 가락의 빠름에 따라 자연스럽게 세엣 에서 호흡을 들어주는 것이다.
2. 호흡에 의한 기초 타법 연습
1) 굿거리형 하나아의 호흡법에 의한 타법연습
(1) 굿거리형 하나아의 호흡에 의한 ‘궁’ 연습
궁 |
|
|
궁 |
|
|
궁 |
|
|
궁 |
|
|
(2) 굿거리형 하나아의 호흡에 의한 ‘딱’, ‘따’ 연습
딱 |
|
|
딱 |
|
|
딱 |
|
|
딱 |
|
|
※ 강하게 밀어쳐 울음을 잡아줌
따 |
|
|
따 |
|
|
따 |
|
|
따 |
|
|
※ 바로 열채를 떼어 울음을 열어줌
(3) 굿거리형 하나아의 호흡에 의한 ‘다’ 연습
다 |
|
|
다 |
|
|
다 |
|
|
다 |
|
|
덩 |
|
|
덩 |
|
|
덩 |
|
|
덩 |
|
|
(5) 굿거리형 하나아의 호흡에 의한 다양한 타법 연습
① |
궁 |
|
|
따 |
|
|
궁 |
|
|
따 |
|
|
② |
궁 |
|
|
딱 |
|
|
궁 |
|
|
딱 |
|
|
③ |
궁 |
|
|
다 |
|
|
궁 |
|
|
딱 |
|
|
④ |
궁 |
|
딱 |
궁 |
|
따 |
궁 |
|
딱 |
궁 |
|
다 |
⑤ |
궁 |
|
다 |
궁 |
|
딱 |
궁 |
|
다 |
궁 |
|
딱 |
⑥ |
궁 |
|
다 |
딱 |
|
|
궁 |
|
다 |
딱 |
|
|
⑦ |
궁 |
|
|
딱 |
|
궁 |
궁 |
|
|
딱 |
|
궁 |
⑧ |
궁 |
|
다 |
딱 |
|
궁 |
궁 |
|
다 |
딱 |
|
궁 |
⑨ |
궁 |
|
다 |
궁 |
|
궁 |
따 |
|
궁 |
궁 |
|
딱 |
⑩ |
덩 |
|
덩 |
덩 |
|
덩 |
덩 |
|
따 |
궁 |
|
따 |
⑪ |
덩 |
|
따 |
궁 |
|
따 |
궁 |
|
따 |
궁 |
딱 |
|
⑫ |
덩 |
|
따 |
궁 |
따 |
궁 |
덩 |
|
따 |
궁 |
딱 |
|
2) 삼채형 하나아의 호흡에 의한 타법 연습
(1) 삼채형 하나아의 호흡에 의한 ‘궁’ 연습
궁 |
|
|
궁 |
|
|
궁 |
|
|
궁 |
|
|
(2) 삼채형 하나아의 호흡에 의한 ‘딱’, ‘따’ 연습
딱 |
|
|
딱 |
|
|
딱 |
|
|
딱 |
|
|
따 |
|
|
따 |
|
|
따 |
|
|
따 |
|
|
(3) 삼채형 하나아의 호흡에 의한 ‘다’ 연습
다 |
|
|
다 |
|
|
다 |
|
|
다 |
|
|
(4) 삼채형 하나아의 호흡에 의한 ‘덩’ 연습
덩 |
|
|
덩 |
|
|
덩 |
|
|
덩 |
|
|
① |
궁 |
|
|
궁 |
|
따 |
궁 |
|
따 |
궁 |
|
|
② |
궁 |
|
다 |
궁 |
|
다 |
궁 |
|
따 |
궁 |
|
|
③ |
궁 |
|
따 |
궁 |
|
따 |
궁 |
|
따 |
궁 |
딱 |
|
④ |
덩 |
|
|
덩 |
|
따 |
궁 |
|
따 |
궁 |
딱 |
|
⑤ |
따 |
궁 |
|
따 |
궁 |
|
덩 |
|
따 |
궁 |
따 |
|
⑥ |
덩 |
|
다 |
덩 |
|
다 |
궁 |
|
따 |
궁 |
따 |
|
⑦ |
덩 |
|
다 |
덩 |
|
다 |
덩 |
|
따 |
궁 |
따 |
|
⑧ |
더 |
덩 |
|
덩 |
|
다 |
덩 |
|
따 |
궁 |
따 |
|
⑨ |
궁 |
|
궁 |
궁 |
|
궁 |
궁 |
|
구 |
궁 |
따 |
|
⑩ |
덩 |
|
궁 |
궁 |
따 |
|
덩 |
|
궁 |
궁 |
따 |
|
⑪ |
덩 |
|
따 |
궁 |
따 |
따 |
궁 |
따 |
따 |
궁 |
따 |
|
⑫ |
따 |
쿵 |
따 |
쿵 |
따 |
쿵 |
쿵 |
따 |
쿵 |
쿵 |
따 |
|
3) 동살풀이형 하나아의 호흡에 의한 타법 연습
(1) 동살풀이형 하나아의 호흡에 의한 ‘궁’ 연습
궁 |
|
궁 |
|
궁 |
|
궁 |
|
(2) 동살풀이형 하나아의 호흡에 의한 ‘딱’, ‘따’ 연습
딱 |
|
딱 |
|
딱 |
|
딱 |
|
따 |
|
따 |
|
따 |
|
따 |
|
(3) 동살풀이형 하나아의 호흡에 의한 ‘다’ 연습
다 |
|
다 |
|
다 |
|
다 |
|
(4) 동살풀이형 하나아의 호흡에 의한 ‘덩’ 연습
덩 |
|
덩 |
|
덩 |
|
덩 |
|
(5) 동살풀이형 하나아의 호흡에 의한 다양한 타법 연습
① |
궁 |
|
궁 |
|
궁 |
따 |
궁 |
따 |
② |
궁 |
|
다 |
다 |
딱 |
|
딱 |
|
③ |
덩 |
|
덩 |
|
덩 |
덩 |
따 |
따 |
④ |
더더 |
덩 |
더더 |
덩 |
덩 |
덩 |
따 |
따 |
⑤ |
덩 |
궁 |
다 |
다 |
딱 |
|
다 |
다 |
⑥ |
궁 |
궁 |
따 |
궁 |
궁 |
따 |
딱 |
|
⑦ |
따 |
궁 |
궁 |
다 |
따 |
궁 |
궁 |
|
⑧ |
따 |
궁 |
궁 |
따 |
궁 |
따 |
궁 |
|
3) 이채형 하나아의 호흡에 의한 타법 연습
(1) 이채형 하나아의 호흡에 의한 ‘궁’ 연습
궁 |
|
궁 |
|
궁 |
|
궁 |
|
(2) 이채형 하나아의 호흡에 의한 ‘딱’, ‘따’ 연습
딱 |
|
딱 |
|
딱 |
|
딱 |
|
따 |
|
따 |
|
따 |
|
따 |
|
(3) 이채형 하나아의 호흡에 의한 ‘다’ 연습
다 |
|
다 |
|
다 |
|
다 |
|
(4) 이채형 하나아의 호흡에 의한 ‘덩’ 연습
덩 |
|
덩 |
|
덩 |
|
덩 |
|
① |
덩 |
|
덩 |
|
쿵 |
|
쿵 |
|
② |
궁 |
따 |
궁 |
|
쿵 |
따 |
쿵 |
|
③ |
덩 |
|
쿵 |
|
궁 |
따 |
궁 |
|
④ |
덩 |
|
덩 |
|
쿵 |
따 |
쿵 |
|
⑤ |
덩 |
|
따 |
다 |
쿵 |
따 |
쿵 |
|
⑥ |
궁 |
따 |
궁 |
다 |
쿵 |
따 |
쿵 |
|
⑦ |
궁 |
따 |
궁 |
다 |
쿵 |
따 |
쿵 |
다 |
⑧ |
덩 |
|
덩 |
따 |
쿵 |
따 |
쿵 |
|
3. 기초 가락
※ 장구 치기 준비 자세와 궁채, 열채 쥐는법, 장구 치는법 등은 4. 풍물연주법의 3) 장구편을 참조할 것.
《 인사굿 》
쇠 |
당 |
당 |
|
당 |
당 |
|
다다 |
당 |
당 |
당 |
|
딱 |
장구 |
덩 |
덩 |
|
덩 |
덩 |
|
더더 |
덩 |
덩 |
덩 |
|
딱 |
북 |
둥 |
둥 |
|
둥 |
둥 |
|
두두 |
둥 |
둥 |
둥 |
|
딱 |
▶ 풍물로 인사하는 장단이다.
▶ 굿을 시작할 때나 끝맺음을 할 때 관중들을 향하여 친 후 인사를 한다.
《 일 채 》
쇠 |
당 |
|
당 |
|
당 |
당 |
당 |
당 |
당당 |
당당 |
당당 |
…… |
장구 |
덩 |
|
덩 |
|
덩 |
덩 |
덩 |
덩 |
덩덩 |
덩덩 |
덩덩 |
…… |
북 |
둥 |
|
둥 |
|
둥 |
둥 |
둥 |
둥 |
둥둥 |
둥둥 |
둥둥 |
…… |
▶ 굿판의 처음에 굿의 시작을 알리는 장단이다.
▶ 처음엔 작고 느리게 치다가 점점 빠르고 세게 치다가 난타로 풀어준다.
《 굿거리 》
쇠 |
당 |
|
다 |
당 |
|
다 |
당 |
|
그랑 |
당 |
|
다 |
당 |
당 |
|
당 |
|
다 |
당 |
|
그랑 |
당 |
|
다 | |
장구 |
덩 |
|
기닥 |
덩 |
다다 |
다 |
덩 |
|
기닥 |
궁 |
|
따 |
덩 |
|
덩 |
덩 |
다다 |
다 |
덩 |
|
기닥 |
궁 |
딱 |
| |
북 |
둥 |
|
|
둥 |
|
|
둥 |
|
둥 |
|
|
|
등 |
둥 |
|
둥 |
둥 |
|
둥 |
|
둥 |
|
(둥) |
|
《 양산도 》
▶ 황해도 민요인 양산도와 가락이 같다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 흥겨운 느낌을 주며 반주에 많이 쓰임(진도아리랑)
쇠 |
당 |
|
|
당 |
|
다 |
다 |
당 |
|
다 |
당 |
|
당 |
|
다 |
다 |
당 |
| |
| |||||||||
다 |
당 |
|
당 |
|
다 |
다 |
당 |
| |
다 |
당 |
|
당 |
|
|
닥 (허이) |
|
|
장구 |
덩 |
|
|
덩 |
|
따 |
쿵 |
따 |
|
더 |
덩 |
|
덩 |
|
따 |
쿵 |
따 |
| |
| |||||||||
더 |
덩 |
|
덩 |
|
따 |
쿵 |
따 |
| |
더 |
덩 |
|
덩 |
|
|
딱 (허이) |
|
|
북 |
둥 |
|
|
둥 |
|
|
|
|
|
|
두 |
둥 |
|
둥 |
|
|
|
|
|
두 |
둥 |
|
둥 |
|
|
|
|
| |
두 |
둥 |
|
둥 |
|
|
닥 (허이) |
|
|
《 삼 채 》
▶ 풍물장단 중에서 가장 이름 있는 장단으로 느린 장단에서 빠른 장단까지
▶ 여러형태의 장단이 있다. 사람의 일반적인 걸음의 빠르기라 흥겹고 신명을
돋구는 장단이다.
- 좌도삼채
쇠 |
당 |
|
그 |
당 |
|
그 |
당 |
|
그 |
다 |
당 |
|
다 |
당 |
|
당 |
|
그 |
당 |
|
그 |
다 |
당 |
| |
장구 |
덩 |
|
기 |
덩 |
|
기 |
덩 |
|
따 |
쿵 |
따 |
|
더 |
덩 |
|
덩 |
|
기 |
덩 |
|
따 |
쿵 |
따 |
|
- 우도삼채
쇠 |
당 |
|
그 |
다 |
당 |
|
당 |
|
그 |
다 |
당 |
|
다 |
당 |
|
다 |
당 |
|
당 |
|
그 |
다 |
당 |
| |
장구 |
덩 |
|
따 |
궁 |
따 |
구 |
궁 |
따 |
구 |
궁 |
따 |
|
따 |
쿵 |
따 |
쿵 |
따 |
쿠 |
쿵 |
따 |
쿠 |
쿵 |
따 |
|
《 오방진 》
▶ 느리게 칠 때는 흥겨운 느낌을 주며 빠르고 힘차게 칠 경우에만 힘찬 행진곡
느낌이다.
▶ 행진곡과 구성이 같은 가락으로 3장단이나 4장단으로 구성한다.
쇠 |
당 |
|
그 |
락 |
닥 |
당 |
|
그 |
락 |
닥 |
장구 |
덩 |
|
끼 |
닥 |
따 |
덩 |
|
끼 |
닥 |
따 |
북 |
둥 |
|
|
|
둥 |
|
|
|
쇠 |
당 |
|
당 |
|
당 |
당 |
(읏) |
당 | ||
|
다 다 |
당 |
다 다 |
당 |
당 |
당 |
(읏) |
당 | ||
당 |
|
그 |
랑 |
당 |
읏 |
그 |
랑 |
당 |
당 | |
당 |
|
그 |
랑 |
당 |
읏 |
그 |
랑 |
당 |
당 |
장구 |
덩 |
|
덩 |
|
덩 |
덩 |
따 |
따 | ||
|
더 더 |
덩 |
더 더 |
덩 |
덩 |
덩 |
따 |
따 | ||
덩 |
|
끼 |
닥 |
따 |
쿠 쿵 |
따 |
쿠 |
쿵 |
따 | |
덩 |
|
끼 |
닥 |
따 |
쿠 쿵 |
따 |
쿠 |
쿵 |
따 |
북 |
둥 |
|
둥 |
|
둥 |
둥 |
|
|
|
둥 |
|
둥 |
|
둥 |
둥 |
|
|
둥 |
|
|
|
둥 |
(둥) |
둥 |
| |
둥 |
|
|
|
둥 |
(둥) |
둥 |
|
《 진오방진 》
▶ 동, 서, 남, 북, 중앙 다섯군데에 진을 짜면서 치는 가락으로 자진 오방진이라고도
하며 매우 빠른 이채류의 장단이다.
▶ 싸움터에서 진격을 하는 병사와 같이 힘차게 뛰면서 치는 장단이다.
쇠 |
당 |
다 당 |
(읏) 다 |
당 |
다 다 |
다 당 |
(읏)다 |
당 |
장구 |
덩 |
다 다 |
쿵 따 |
쿵 |
따 구 |
궁 따 |
궁 따 |
궁 |
북 |
둥 |
두 |
둥 |
두 |
둥 |
두 |
둥 |
두 |
《 이채 1 (휘모리) 》
쇠 |
당 |
그 |
당 |
그 |
당 |
그 |
당 |
그 |
장구 |
덩 |
|
덩 |
|
쿵 |
따 |
쿵 |
|
북 |
둥 |
|
둥 |
|
두 |
|
두 |
|
《 이채 2 》
쇠 |
당 |
|
다 |
당 |
(응) |
다 |
당 |
|
장구 |
덩 |
|
다 |
다 |
쿵 |
따 |
쿵 |
|
북 |
둥 |
|
두 |
|
둥 |
|
두 |
|
《 이채 3 》
쇠 |
다 |
다 |
당 |
|
다 |
다 |
당 |
|
장구 |
궁 |
따 |
궁 |
|
쿵 |
따 |
쿵 |
|
북 |
둥 |
|
두 |
|
둥 |
|
두 |
|
《 이채 4 》
쇠 |
당 |
|
다 |
다 |
당 |
|
다 |
다 |
장구 |
궁 |
따 |
궁 |
따 |
쿵 |
따 |
쿵 |
따 |
북 |
둥 |
|
두 |
|
둥 |
|
두 |
|
▶ 내는 장단(시작)이나 맺는 장단으로 많이 쓰인다.
▶ 천천히 치다가 빨리 몰아 줄 수 있는 장단이다.
▶ 강하게 휘몰아 준다는 의미로 “휘모리”라고도 일컫는다.
▶ 신명을 불러 일으킬 때 쓰인다.
▶ 긴장되는 분위기나 급박한 느낌을 줄 때 쓰인다.
3. 꽹가리 기초
※ 꽹가리 악기 설명, 연주자세, 연주법, 그리고 호흡법은 1.풍물의 이해편의 4.풍물(굿물)연주법과 2. 장구의 기초편의 1. 호흡법을 참조 하시기 바랍니다.
※ 일러두기 ... 갠, 갱, 당, 라에는 막음쇠가 들어가고
.지, 다, 그, 응, 웃는 막음쇠가 들어가지 않는다.
.다만, ‘지’ 나 ‘다’가 맨 앞에 올 때는 막음쇠가 들어간다.
.갯, 닷은 치고 울음을 잡아주고
. 뜻, 깩, 딱은 잡고 쳐주는 것을말한다.
※ 꽹가리의 성질을 이해하고 연주하면 다양한 표현 방법을 터득할 수 있다.
가장 강한 소리를 내야 할 때는 ‘중앙부위’를 연주하고
보통 소리를 낼 때는 ‘치는 부위’를 친다.
‘튀는 부위’는 쇠가락을 꾸며주는 기술이 요할 때 사용되는 부위이다.
2. 꽹가리 잡는 방법
1) 감는 법
- 감는 법은 꽹가리 면을 거울 보듯이 들고 꽹가리 끈을 아래로 늘여 뜨린다.
왼손 등이 하늘로 향하게 한 후 늘여뜨린 끈 안으로 왼손을 넣어 엄지 손가락을
끈 우측 바깥으로 빼내어 꽹가리를 잡는다. 집개 손가락을 꽹가리 밖으로
내밀고 장지로 꽹가리를 지탱한다. 끈을, 치는 손으로 당겨 집개 손가락에 적당히
감고 엄지 손가락을 가볍게 꽹가리 전두리에 대는 방법이다. 막음쇠는 나머지
약지와 소지, 두 손가락으로 한다. 막음쇠가 엷어 맑고 힘있는 소리가 나며 엄지와
함께 막음쇠를 할 경우에는 강하고 투박한 맛의 쇠가락을 낼 수 있다.
2) 거는 법
- 거는 법은 엄지가 들어갈 만큼의 고리를 만들어 꽹가리 안쪽 두 개의 구멍 중
하나의 구멍에 끼워 엄지를 끼우고 집개 손가락으로 꽹가리를 지탱해 주는 방법이
다. 막음쇠는 장지, 약지, 소지로 하는 일반적인 유형이다.
3) 넣는 법
- 넣는 법은 손목에 꽹가리 끈을 넣은 채 몇 바퀴 감아서 그대로 손 전체를 꽹가리
안으로 넣는 방법이다. 엄지와 집개 손가락으로 꽹가리를 지탱하고 나머지 손가락
으로 막음쇠를 넣는다.
3. 꽹가리 치기 준비자세
우선 허리를 바르게 펴고 몸과 꽹가리 사이는 한 뼘 정도의 간격을 유지한다. 양 팔의
겨드랑이를 가볍게 들어 꽹가리를 든 팔과 꽹가리 채를 든 팔의 모양이 가슴 앞에서
산 모양이 되게 자세를 잡는다.
4. 꽹가리 치는 요령
- 꽹가리 채는 부드럽게 잡되 너무 세워서 잡지 말고 채의 방맹이가 약간 앞으로 숙
이도록 잡아야 한다.
- 특히 어깨와 손목에 힘을 빼주어 부드럽게 쳐야 한다.
- 손등이 먼저 나가서 손목 안쪽이 먼저 들어오는 방식으로 쳐야 한다.
- 꽹가리는 전두리에서 이어지는 부분이 ‘튀는 부위’이고 그 다음 중앙에서 3분의 2
되는 지점의 원테가 ‘치는 부위’이고 중앙이 ‘울림 부위’이다. 치는 부분에 막음쇠가
들어가게 되는데 막음쇠가 들어 가는 부위에 꽹가리 채로 꽹가리를 치는 것이다.
- 막음쇠는 기본음 ‘당’앞에 순간적으로 손가락으로 꽹가리 뒷면을 붙였다 떼는
동작을 말한다. 소리를 정확하고 분명하게 내게하는데 쓰이고 막음쇠의 변화에
따라 꽹가리의 소리가 무한히 다양해 지는 것이다.
- 채를 들어 칠 때는 항상 호흡법에 의해 들어야 하고 전체적인 움직임이 부드러운
곡선이 나오도록 힘써야 할 것이다.
5. 꽹가리 치는 타법의 여러 가지
1) 직 타법 - 꽹가리의 치는 부분을 치며 일반적인 가락을 칠 때 쓰인다.
2) 박음 타법 - 손목의 움직임이 없이 채의 망뱅이의 힘으로 쇠의 정 중앙을
박아서 치는 방법이다.
3) 당김 타법 - 손의 힘을 풀고 밑에서 위로 장구의 ‘기닥’처럼 당겨 치는 방법이다.
4) 평 타법 - 손목의 힘을 풀고 손목을 상하동작을 함으로써 쳐지는 방법이다.
꽹가리의 봉이 딸려와서 흘려쳐지는 타법이다.
5) 수직 타법 - 손목을 굳히고 팔의 상하 동작에 의해 소리를 내는 타법이다. 빠른
가락을 연주 할 때 쓰인다.
6) 흘림 타법 - 꽹가리의 튀는 부분을 이용하여 치는 방법이다. 사선으로 위에서 중
앙 부위로 내려 치는 경우와 안에서 밖으로 밀어치는 경우, 또 채를
수직으로 위에서 아래로 긁어치는 경우가 그것이다. 쇠의 튀는 부위
를 이용하여 가락을 꾸며주는 꾸밈가락을 연주할 때 많이 쓰이는데
손목 움직임 한 동작으로 꾸밈가락과 원 가락 ‘당’을 동시에 튀겨 소
리를 내주는 방법이다.
6. 꽹가리 기본연습
1) ‘당’ 연습
ν당 |
|
ν당 |
|
ν당 |
|
ν당 |
ν당 |
ν당 |
ν당 ν당 |
ν당 |
ν당 |
* ν당은 '당' 앞에 순간적으로 막음쇠를 해주는 것을 말한다. 이때 순간막음은 꽹가리
채로 꽹가리를 치기 직전에 꽹가리를 든 손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순간적으로 꽹가리 안쪽면을 접촉하여 떼어내는 동작을 말한다.
2) '그' 연습
그 |
|
그 |
그 |
그 |
그그 |
그 |
그 |
* ‘당’은 정박으로 세게 정타로 친다면 ‘그’는 ‘당’보다 작은 소리를 내며 막음쇠 없이 손
가락을 열고 작게 치는 것을 말한다.
3) ‘당그’연습
① 직타법 ‘당그’
당 |
|
그 |
당 |
|
그 |
× ∞ |
3쪽 장단으로 치고 타점은 하나이다. 손목을 밀어 쳐 주는 방식이다. 일반적으로 가 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이다.
② 박음 타법 ‘당그’
당 |
|
끄 |
당 |
|
끄 |
× ∞ |
쇠외 중앙부분은 밀어 박듯이 쳐서 소리를 낸다.
③ 당김타법 '당그'
당 |
|
끼 |
당 |
|
끼 |
× ∞ |
치는 손목을 8자처럼 틀어 올리면서 치는 방식이다. 가락은 조여갈 때 많이 쓴다.
④ 평 타법 ‘당그’
당 |
그 |
당 |
그 |
× ∞ |
채의 방맹이가 거의 중앙에서 있고 손잡이 부분이 위 아래로 흘려지며
부드럽게 펴서 소리내는 방법이다.
,⑤ 수직 타법 ‘당그당그’
당 |
그 |
당 |
그 |
× ∞ |
채의 방망이와 손잡이가 일직선이 되게 하고 손목은 굳힌다음 빠른동작으로 수직
운동하여 내는 소리법이다. 아주 빠른 이채가락을 연주할 때 쓰인다.
.⑥ 흘림타법 ‘당그’
당 |
|
그 |
당 |
|
그 |
× ∞ |
흘림타법은 연주하는 쇠의 부위에 따라 크게 3가지 타법으로 나뉠 수 있다.
㉡ 두껑 연주법
쇠 중앙, 위 부분에서 튀는 부분을 이용하여 박아치는 방법이다. 막음쇠 소리가 깊이 있 게 들어가 ‘뚜껑 뚜껑’소리를 낸다. 소리가 커서 마당에서 주로 연주한다.
㉢ 안팎밀음 연주법
연주자 몸 쪽 튀는부위를 이용하여 쇠의 중심원 중앙부위로 흘려치는 방법이다. 안에서
밖으로 튀겨 밀어 연주하는 방식이다.
4) ‘다당-그’ 연습
① 직타법 ‘다당-그’
다 |
당 |
그 |
다 |
당 |
그 |
× ∞ |
‘다당-그’는 가락과 가락을 부드럽게 이어주는 역할을 한다.
‘다당-그’의 ‘를’ 타점이 하나가 되도록 직타로 밀어쳐 주는 방법이다.
② 흘림타법 ‘다당-그’
다 |
당 |
그 |
다 |
당 |
그 |
× ∞ |
‘다당-그’의 ‘그’를 튀는 부위를 이용하여 안팎 밀음 연주법으로 연주하는 방법이다.
5) 꾸밈 가락 연습
① ‘그라당’
그라 |
당 |
|
그라 |
당 |
|
× ∞ |
쇠의 튀는 부위를 이용하여 ‘그라’를 연주하고 바로 좀 더 강하게 ‘당’을 쳐준다.
‘그라’를 만들때는 쇠, 중앙,위에서 아래로 튀는 부위를 긁듯이 손 놀림을 하여 만든
다. 유의할 점은 ‘당’을 ‘그라’에 바로 붙여 한 소리로 연주되어야 한다.
② ‘다브르’
다브르 |
|
|
다브르 |
|
|
× ∞ |
쇠의 중앙, 위 부분을 올려쳐 ‘다’를 만들고, 만들자 마자 순간적으로 손목을 엎는 동
작을 통해 ‘브르’를 만든다. ‘다’와 ‘브르’가 떨어져 있지 않고 한 동작으로, 한 소리를 만들어 내야 한다.
③ ‘다브르당’
다브르 |
당 |
|
다브르 |
당 |
|
× ∞ |
②번의 ‘다브르’동작에 바로 ‘당’을 붙여 연주하는 방법이다. 이것도 한 동작으로 연주 해 주어야 한다.
7. 꽹가리 가락연습
1) 굿거리
① 굿거리 도입 신호
그라다 |
당 |
당 |
당 |
|
다 |
당 |
기 |
당 |
당 |
|
다 |
② 굿거리 도입
쇠 |
1 |
당 |
|
|
당 |
|
|
당 |
응그라 |
당 |
당 |
|
다 |
2 |
당 |
당 |
|
그라다 |
당 |
|
당 |
응그라 |
당 |
당 |
|
다 | |
3 |
당 |
|
당 |
|
당 |
다다 |
읏당 |
그라 |
당 |
그라다 |
당 |
딱 | |
4 |
당 |
|
|
다르 |
---- |
~ |
읏 |
읏 |
당 |
읏그라 |
당 |
딱 |
③ 굿거리 내는 가락
쇠 |
당 |
|
당 |
당 |
|
당 |
당 |
기 |
당 |
당 |
|
당 |
당 |
기 |
당 |
당 |
기 |
당 |
당 |
기 |
당 |
당 |
|
당 | |
당 |
기 |
당 |
당 |
다다 |
다 |
당 |
기 |
당 |
당 |
다다 |
다 | |
당기 |
다다 |
다 기 |
당기 |
다다 |
다 기 |
다당 |
기 다 |
당기 |
당기 |
다다 |
당 기 | |
당 |
당 |
다다 |
읏다 |
당 |
당 |
다당 |
다 |
당 |
당기 |
다다 |
당 | |
당기 |
당기 |
당기 |
당기 |
다다 |
당 |
다당 |
응그라 |
당 |
그라라 |
당 |
닥 |
④ 굿거리 연주의 여러 가지
1 |
당 |
응그라 |
당 |
당 |
다다 |
당 |
당 |
응그라 |
당 |
당 |
다다 |
당 |
당 |
응그라 |
당 |
당 |
응그라 |
당 |
당 |
응그라 |
당 |
당 |
다다 |
당 |
2 |
당 |
당 |
그라다 |
당 |
그라다 |
당 |
당 |
당 |
그라다 |
당 |
그라다 |
당 |
당 |
당 |
그라다 |
당 |
당 |
그라다 |
당 |
당 |
그라다 |
당 |
다다 |
당 |
3 |
당 |
읏그라 |
당 |
당 |
다다 |
당 |
당 |
읏그라 |
당 |
당 |
다다 |
당 |
당 |
읏그라 |
당 |
당 |
읏그라 |
당 |
당 |
읏그라 |
당 |
당 |
다다 |
당 |
4 |
당 |
당 |
|
당 |
읏그라 |
당 |
당 |
읏그라 |
당 |
당 |
다다 |
당 |
당 |
읏그라 |
당 |
당 |
읏그라 |
당 |
다당 |
읏그라 |
당 |
당 |
그라다 |
당 |
⑤ 굿거리 꽹가리 놀이의 여러 가지
( 사례 1)
1 |
당 |
|
다 |
당 |
|
다 |
당 |
응그라 |
당 |
당 |
|
다 |
|
2 |
당 |
응그라 |
당 |
당 |
|
다 |
당 |
응그라 |
당 |
당 |
|
다 | |
3 |
당 |
응그라 |
당 |
당 |
다다 |
당 |
당 |
응그라 |
당 |
당 |
다다 |
당 | |
4 |
당 |
그라다 |
당 |
당 |
그라다 |
당 |
당 |
그라다 |
당 |
당 |
그라다 |
당 | |
5 |
당 |
그라다 |
당 |
당 |
그라다 |
당 |
다당 |
읏그라 |
당 |
당 |
그라다 |
당 | |
6 |
그라다 |
당 |
그라다 |
당 |
그라다 |
당 |
그라당 |
읏그라 |
당 |
그라당 |
읏그라 |
당 |
×2 |
7 |
당 그 |
당 그 |
당 그 |
당 그 |
당 그 |
당 그 |
당 그 |
당 그 |
당 그 |
당 그 |
당 그 |
당 그 |
|
8 |
다다 |
다다 |
다다 |
다다 |
다다 |
다다 |
다다 |
다다 |
다다 |
다다 |
다다 |
다다 | |
9 |
다다 |
당 |
다다 |
읏그라 |
다다 |
당 |
다다 |
읏그라 |
당 |
그라다 |
당 |
딱 | |
10 |
당 |
|
|
다르 |
~~ |
~~ |
읏 |
읏 |
당 |
읏그라 |
당 |
딱 |
(사례2)
1 |
당 |
다 |
당 |
당 |
다르 |
르… |
(읏) |
다 |
당 |
당 |
다르르 |
…… |
2 |
당 |
다 |
당 |
당 |
다르 |
르… |
(읏) |
당 |
당 |
당 |
다르르 |
…… |
3 |
당 |
다르르 |
…… |
(읏) |
다르 |
르… |
(읏) |
다르르 |
…… |
(읏) |
다르르 |
…… |
4 |
(읏) |
당 |
|
(읏) |
당 |
|
(읏) |
당 |
|
(읏) |
당 |
|
5 |
(읏) |
다당 |
|
(읏) |
다당 |
|
(읏) |
다당 |
|
(읏) |
다당 |
|
6 |
(읏) |
당 |
(읏) |
당 |
(읏) |
당 |
(읏)당 |
(읏) |
당 |
(읏)당 |
(읏) |
당 |
7 |
당다 |
당다 |
당다 |
당다 |
당다 |
당다 |
다다 |
다다 |
다다 |
다다 |
다다 |
다다 |
8 |
다다 |
당 |
다당 |
응그라 |
다다 |
당 |
다당 |
응그라 |
당 |
그라 |
당 |
딱 |
(사례3)
쇠
|
1 |
당 그 |
당 그 |
당 그 |
당 그 |
당 그 |
당 그 |
당 그 |
당 그 |
당 그 |
당 |
그라당 |
읏 다 |
2 |
응 |
그라다 |
읏 다 |
응 |
그라다 |
읏 다 |
응 |
그라다 |
읏 다 |
응 |
그라다 |
읏 다 | |
3 |
당 |
그라다 |
읏 다 |
당 |
그라다 |
읏 다 |
당 |
그라다 |
읏 다 |
당 |
그라다 |
읏 다 | |
4 |
당 |
그라다 |
당 |
그라다 |
당 |
그라다 |
당 |
그라다 |
당 |
그라다 |
당 |
그라다 | |
5 |
당그라 |
다 다 |
당 |
당그라 |
다 다 |
당 |
당그라 |
다 다 |
당 |
당그라 |
다 다 |
당 | |
6 |
당그라 |
닷-다 |
당 |
당그라 |
닷-다 |
당 |
당그라 |
닷-다 |
당 |
당그라 |
닷-다 |
당 | |
7 |
당그라 |
다다 |
당그라 |
다다 |
당그라 |
다다 |
당그라 |
다당 |
그라다 |
당그라 |
다당 |
그라다 | |
8 |
당그라 |
당그라 |
당그라 |
당그라 |
당그라 |
당그라 |
다다 |
다다 |
다다 |
당 |
그라다 |
당 | |
9 |
당 |
당 |
다다 |
읏그라 |
다다 |
당 |
다당 |
응그라 |
당 |
그라다 |
당 |
닥 |
⑥ 굿거리 맺는 가락
당 |
당 |
당 |
그라다 |
당 |
당 |
다당 |
응그라 |
당 |
닷 |
당 |
|
2) 삼 채
① 삼채 도입 신호
당 |
|
기 |
닥 |
|
기 |
당 |
|
기 |
닥 |
|
기 |
× 1 |
② 삼채 도입
쇠 |
1 |
당 |
|
기 |
닥 |
|
기 |
당 |
|
기 |
닥 |
|
기 |
2 |
당 |
|
|
다 |
당 |
|
당 |
|
기 |
닥 |
|
기 | |
3 |
당 |
|
당 |
|
당 |
|
당 |
|
당 |
|
당 |
| |
4 |
다 |
당 |
|
다 |
당 |
|
당 |
|
그라 |
닥 |
|
기 | |
5 |
당 |
|
|
다 |
닥 |
기 |
당 |
|
그라 |
다 |
당 |
|
③ 삼채 내는 가락
쇠 |
1 |
당 |
|
|
허이 |
|
|
당 |
|
|
허이 |
|
|
2 |
당 |
|
|
당 |
|
|
당 |
|
|
당 |
|
다 | |
3 |
당 |
|
|
당 |
|
다 |
당 |
|
그라 |
당 |
|
다 | |
4 |
다 |
당 |
|
당 |
|
기 |
당 |
|
그라 |
다 |
당 |
|
④ 삼채 연주의 여러 가지
1 |
당 |
|
그 |
당 |
|
그 |
당 |
|
그 |
다 |
당 |
|
2 |
다 |
당 |
|
당 |
|
그 |
당 |
|
그 |
다 |
당 |
|
3 |
당 |
|
그 |
다 |
당 |
|
당 |
|
그 |
다 |
당 |
|
4 |
다 |
당 |
|
다 |
당 |
|
당 |
|
그 |
다 |
당 |
|
5 |
당 |
|
당 |
|
다 |
다 |
읏 |
당 |
그 |
다 |
당 |
|
6 |
다 |
당 |
|
다 |
다 |
다 |
읏 |
당 |
그 |
다 |
당 |
|
7 |
다 |
당 |
그 |
다 |
당 |
그 |
다 |
당 |
그 |
다 |
당 |
|
8 |
당 |
|
당 |
|
당 |
|
당 |
|
그라 |
다 |
당 |
|
9 |
당 |
|
그라 |
당 |
|
그라 |
당 |
|
그라 |
다 |
당 |
|
10 |
다 |
당 |
|
당 |
|
그라 |
응 |
당 |
그라 |
다 |
당 |
|
11 |
다 |
당 |
기 |
다 |
당 |
기 |
당 |
|
그라 |
다 |
당 |
|
12 |
당 |
기 |
당 |
기 |
당 |
기 |
당 |
|
그라 |
다 |
당 |
|
13 |
다 |
다 |
당 |
|
다 |
다 |
당 |
|
그라 |
다 |
당 |
|
14 |
다 |
당 |
|
그라 |
당 |
|
당 |
|
그라 |
다 |
당 |
|
⑤ 삼채 꽹가리 놀이의 여러 가지
(사례1)
1 |
당 |
|
|
|
|
|
당 |
|
|
|
|
|
× 2 |
2 |
당 |
|
|
당 |
|
|
당 |
|
|
당 |
|
다 |
|
3 |
당 |
|
|
당 |
|
다 |
당 |
그 |
라 |
당 |
|
다 | |
4 |
읏 |
당 |
|
당 |
|
다 |
읏 |
당 |
기 |
다 |
당 |
| |
5 |
다 |
당 |
|
다 |
다 |
다 |
읏 |
당 |
기 |
다 |
당 |
|
× 2 |
6 |
당 |
|
당 |
|
다 |
다 |
당 |
|
기 |
다 |
당 |
|
|
7 |
다 |
다 |
당 |
|
다 |
다 |
당 |
|
다 |
다 |
당 |
|
× 2 |
8 |
다 |
다 |
그 |
다 |
다 |
그 |
다 |
다 |
그 |
다 |
다 |
그 |
× 2 |
9 |
다 |
그 |
다 |
그 |
다 |
그 |
다 |
그 |
다 |
그 |
다 |
그 |
× 2 |
10 |
다 |
다 |
다 |
다 |
다 |
다 |
다 |
다 |
다 |
다 |
다 |
다 |
|
11 |
다 |
다 |
다 |
다 |
다 |
다 |
당 |
|
당 |
|
다 |
다 | |
12 |
읏 |
당 |
|
당 |
|
기 |
당 |
|
기 |
다 |
답 |
| |
13 |
당 |
|
|
다 |
다 |
그 |
당 |
|
기 |
다 |
당 |
|
(사례 2)
1 |
응 |
|
|
다 |
당 |
|
응 |
|
|
다 |
당 |
|
×2 |
2 |
응 |
|
|
당 |
|
|
응 |
|
|
당 |
|
|
×2 |
3 |
응 |
|
|
당 |
|
|
당 |
|
|
당 |
|
다 |
|
4 |
읏 |
당 |
|
다 |
당 |
|
당 |
|
기 |
다 |
당 |
| |
5 |
다 |
브라 |
다 |
다 |
다 |
다 |
다 |
다 |
다 |
다 |
다 |
다 |
×2 |
6 |
다 |
브라 |
다 |
다 |
다 |
다 |
다 |
브라 |
다 |
다 |
다 |
다 |
×1 |
7 |
다 |
브라 |
다 |
다 |
브라 |
다 |
다 |
브라 |
다 |
다 |
브라 |
다 |
|
8 |
다 |
브라 |
다 |
브라 |
다 |
브라 |
다 |
브라 |
다 |
브라 |
다 |
브라 | |
9 |
다 |
브라 |
다 |
다 |
다 |
다 |
당 |
|
당 |
|
당 |
| |
10 |
브라 |
당 |
|
|
|
|
다 |
당 |
|
|
|
| |
11 |
당 |
|
|
|
|
|
|
|
|
|
브라 |
다 | |
12 |
당 |
|
기 |
다 |
당 |
|
당 |
|
기 |
다 |
당 |
| |
×∞ |
⑥ 삼채 맺는 가락의 여러 가지
1 |
다 |
당 |
|
다 |
당 |
|
당 |
|
|
딱 |
|
|
2 |
당 |
|
|
다 |
다 |
다 |
당 |
|
|
딱 |
|
|
3 |
다 |
당 |
|
다 |
다 |
다 |
당 |
|
|
딱 |
|
|
4 |
다 |
당 |
|
당 |
|
기 |
당 |
|
|
딱 |
|
|
5 |
다 |
다 |
다 |
다 |
다 |
다 |
다 |
당 |
|
딱 |
|
|
6 |
당 |
|
|
따르 |
--- |
--- |
|
|
|
딱 |
|
|
3) 자진가락
① 자진가락 신호
1 |
당 |
|
당 |
|
당 |
|
딱 |
|
당 |
기 |
당 |
|
당 |
|
딱 |
|
2 |
당 |
|
당 |
|
당 |
|
딱 |
|
당 |
|
당 |
기 |
당 |
|
딱 |
|
② 자진가락 내는 가락
1 |
당 |
기 |
당 |
|
당 |
기 |
당 |
|
당 |
기 |
당 |
|
당 |
기 |
당 |
|
2 |
당 |
|
당 |
기 |
당 |
|
당 |
기 |
당 |
|
당 |
기 |
당 |
|
당 |
기 |
③ 자진가락
당 |
|
당 |
기 |
당 |
기 |
당 |
기 |
|
당 |
기 |
당 |
기 |
당 |
기 |
당 |
기 |
×∞ |
④ 자진가락 연주의 여러 가지
1 |
당 |
|
다 |
당 |
응 |
다 |
당 |
|
다 |
다 |
다 |
다 |
응 |
다 |
당 |
|
2 |
당 |
|
다 |
다 |
당 |
|
다 |
다 |
당 |
|
다 |
다 |
당 |
|
다 |
다 |
3 |
읏 |
다 |
다 |
당 |
읏 |
다 |
다 |
당 |
읏 |
다 |
다 |
당 |
읏 |
다 |
다 |
당 |
4 |
다 |
다 |
당 |
|
다 |
다 |
당 |
|
다 |
다 |
당 |
|
다 |
다 |
당 |
|
⑤ 자진가락 맺음.
당 |
기 |
당 |
기 |
다 |
다 |
당 |
|
|
당 |
|
|
|
그라 |
다 |
당 |
|
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