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2월]
(박)원효설: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의존명사 구문표현 단계화연구
[2019년 2월]
반지: 하브루타 기법을 활용한 한국어 토론수업 모형 개발-한국문화 교수•학습 지도안을 중심으로
장서영: 한국어교육을 위한 온도형용사 교육 방안
왕신아: 한국어 '먹다'의 중국어 대응 표현 연구
진배남: 한국어 교재와 중국어 교재 속 접속문의 인칭제약 연구
장옌링: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전화 의사소통 전략 교육 방안 연구
이사사: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웹 사이트의 한글 자모 학습 연구
김자윤: 한국어교육을 위한 종결어미 ‘-던데(요)’와 ‘-더라고(요)’의 담화 기능 분석
풍정정: 한⸱중 비교 구문의 대응 표현 연구-‘만큼, 처럼, 같이’를 중심으로-
백욱: 한국어 '먹다' 연어 구성의 중국어 대응 양상 연구
채린정: 한국어 담화표지 '그냥'의 중국어 대응 표현 연구
원예: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요약문 쓰기 지도방안 연구
하수지: 외국인 항공승무원을 위한 한국어 교수요목 개발 연구
박찬희: 한국어 부정 의문문 교육 방안 연구
윤금화: 한국 어문 규정과 조선말 규범의 비교 연구
오미연: 한국어 간접인용 표현의 과제 연구
[2018년 8월]
양시신: 중국어권 학습자용 <한국개황> 교재 분석 연구
주효천: 한국어 연결어미 ‘-고, -며, -면서’의 중국어 대응표현 연구
장락: 한국어 학습만족도가 한국 국가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연구
류한나: 한국어 초급단계 말하기 활동의 문법과 기능상관성 연구
왕성군: 한국어 비즈니스 교재의 전화 대화문 연구
원몽길: 한국어 '죽다'와 중국어 '死'의 대조 연구
임원방: 한국어 '조금'과 '좀'의 중국어 대응표현 연구
왕기: 한국어 '-었었-'의 중국어 대응표현 연구
이만: 한국어 열독(閱讀) 교재의 텍스트 분석
장홍비: 한국어 ‘무겁다’와 중국어 ‘重’의 대조 연구
이봉: 한․중 인칭 대명사의 인칭 교체 현상 대조 연구
강이: 중국 쓰촨성(四川省) 한국어교육 현황과 개선 방안 연구
탄메이화: 중국어권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발표 피드백 연구
최문훤: 입력 강화 기법을 활용한 한국어 띄어쓰기 교수 방안 연구
남순: 플립드 러닝 기반 한국어 논설문 쓰기 수업 모형 개발
황서군: 한국어 '싶다' 구문표현의 문법 기술 양상 연구
[2018년 2월]
곽우: 한·중 수사의문문의 대조 연구
강대일: 한국어 초급 교재의 연결어미 사용과 배열 양상 연구
백효동: 한국어 연결어미 '-고'의 중국어 문법 기술 분석 연구
유민로: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연수기관의 교육서비스 연구
이유양: 한국어 음식 맛 표현 형용사의 중국어 대응 양상 연구
임사기: 한‧중 메이크업 화장품 상품명에 대한 연구
채약영: 한국어 보조사 ‘(이)나’, ‘(이)라도’의 중국어 대응 표현 연구
[2017년 8월]
양매: 한중인물지칭신조어의대비연구-2012년~2015년신조어를중심으로-
진석: 한국어보조사에대한중국어대응표현연구 -보조사'도,까지,조차,마저'를중심으로-
염맹: 한국어간접인용표현의교육방안연구
이정이: 狂人日記(광인일기)의'不'한국어번역대응연구
정매: 한국화장품브랜드의중국어네임제작에관한언어학적연구
[2017년 2월]
윤지현: 한국어 호응 부사 사용 양상 연구
주길: 한국어 '되다' 구문표현의 중국어 대응 표현 연구
위타오: 중국 내 한국어 쓰기 교재의 과제 분석 연구
[2016년 8월]
(박) 하효우: 한국어 정도부사의 중국어 대응 표현 연구
임채연: 학문 목적 학습자의 요구에 의한 한국어 말하기 수업 모형 설계
이춘양: 중도 입국 다문화 자녀를 위한 한국어 교육 연구
가영: 중국어 2음절 동사·명사 겸어의 한국어 대응 표현 연구
이경춘: 중국 대학의 한국어 교육과정 연구 : 초급 단계를 중심으로
리우원: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 속담 교육 방안 연구
서상홍: 한국어 조건 연결어미 '-면'과 '-다면'의 중국어 대응 표현 연구
송수화: 한국어 ‘묶다’와 ‘매다’의 중국어 대응 표현 연구
정령: 한국어 명사파생 형용사의 중국어 대응 표현 연구
[2016년 2월]
관흔흔: 한국어 ‘-던’과 ‘-었던’의 중국어 대응 표현 연구
신빙지에: 한국어 한자어 계열 빈도부사의 중국어 대응 표현 연구
양혜혜: 한국어 형용성 동사 ‘맞다’의 중국어 대응 표현 연구
조새매: 한국어 목적 연결어미의 중국어 대응 표현 연구
정비: 한•중 의문문의 부정 표현 대조 연구
송소: 개편 TOPIK과 신 HSK으| 담화표지 비교 연구
주선: 한국어 견중 표현의 중국어 대응 표현 연구
팽경: 한국어 대립관계 접속부사의 중국어 대응 표현 연구
[2015년 8월]
우홍: TOPiK 개선 전·후 읽기 영역의 비교 연구
왕서정: 학문 목적 한국어 프레젠테이션 교수·학습 모형 설계
[2015년 2월]
마천: 한국어 현재 표현에 대한 연구 : ‘-는-, -었-, -은/는’을 중심으로
원효설: 중국어권 한국어 교재의 慣用型 단계화 연구
허자홍: 한국어 연결어미 ‘-는데’의 중국어 대응 표현 연구
소철: 한국어 접속어미 ‘-며’, ‘-면서’의 중국어 대응 표현 연구
[2014년 8월]
린사로: 한국어와 크메르어의 대우표현 대조 연구
성박: 한국어 ‘보다’ 구문표현 중국어 대응 표현 연구
백설: 중국의 한국어교육 웹사이트 분석 연구
우일희: 토론을 활용한 한국어 말하기 수업 방안 연구
조영: 드라마를 활용한 한국어 듣기ㆍ말하기 통합 교육 방안 연구
[2014년 2월]
김화: 중국 조선족 고급중학교『조선어문』교재 연구
양림: 한국어 학업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변인에 관한 연구
류루: 의존명사 포함한 이유 구문 표현 연구
이연연: 한ㆍ중 비친족 호칭어의 대조 연구
동찌엔화: 부사격 조사 ‘에’에 대한 중국어 번역 양상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