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광산구
 |
현황 |
면적 |
222.89 km² |
세대 |
130,660가구 (2011.7.31) |
총인구 |
370,527명 (2011.7.31) |
행정동 |
21개 |
법정동 |
79개 |
구청장 |
민형배 |
국회의원 |
갑:김동철 을:이용섭 |
구청 |
소재지 |
광산구 광산로29번길 15 (송정동 833-8) |
홈페이지 |
http://www.gwangsan.go.kr/ |
상징 |
구목 |
소나무 |
구화 |
목련 |
구조 |
백로 |
광산구(光山區)는 광주광역시의 서쪽에 있는 구이다.
[편집] 역사
1935년 이전의 역사에 대해서는 광주군 (전라남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행정구역의 역사에 대해서는 광산구의 행정 구역#연혁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편집] 광산군
- 1935년 10월 1일 광주군의 동부 지역 광주읍을 광주부로 분리하면서, 남은 서부 지역을 광산군으로 개칭하였다.[1] (12면)
- 1937년 7월 1일 송정면을 송정읍으로 승격하였다.[2] (1읍 11면)
- 1949년 8월 14일 나주군 평동면, 삼도면, 본량면을 편입하였다. (1읍 14면) 군청사를 광주시 대의동에서 송정읍 송정리로 이전하였다.
- 1955년 7월 1일 효지면, 석곡면, 극락면, 서방면이 광주시에 편입되었다. [3] (1읍 10면)
- 1957년 11월 6일 지산면, 대촌면, 서창면을 광주시에 편입하였다. [4] (1읍 7면)
- 1963년 1월 1일 광주시 서호동, 방하동, 신호동이 광산군 서창면으로, 광주시 송석동, 등룡동, 학승동이 광산군 대촌면으로 환원되었다.[5] (1읍 9면)
[편집] 송정시
[편집] 광산구
- 1988년 1월 1일 송정시와 광산군 일원이 광주직할시 광산구로 개편되었다.[7]
- 1988년 5월 1일 자치구로 승격하였다.
- 1995년 1월 1일 광주광역시 광산구가 되었다.
- 1995년 4월 20일 서창출장소가 광주광역시 서구에, 대촌출장소가 광주광역시 남구에 편입되었다.
- 1997년 6월 5일 시직할 비아출장소를 폐지하고 광산구 비아동, 신가동 및 첨단지소를 설치하였다.
- 1998년 10월 15일 출장소를 동으로 전환하였다. 송정3동을 송정2동으로, 용운동과 소촌동을 어룡동으로 합동하였다. (16행정동)
- 2002년 3월 25일 비아동을 첨단동으로 분동하였다. (17행정동)
- 2003년 6월 30일 첨단동을 첨단1동과 첨단2동으로, 신가동을 운남동으로 분동하였다. (19행정동)
- 2009년 9월 1일 신가동을 신창동으로 분동하였다. [8](20행정동)
- 2010년 9월 6일 신가동을 수완동으로 분동하였다. [9](21행정동)
[편집] 행정 구역
이 부분의 본문은 광산구의 행정 구역입니다.
광산구의 행정 구역은 79개의 법정동과 이것을 관리하는 21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광산구의 면적은 222.916 km2이며, 인구는 2012년 8월 1일을 기준으로 다음과 같다.[10]
행정동 |
한자 |
면적 |
세대 |
인구 |
행정 지도 |
송정1동 |
松汀洞 |
1.43 |
4,553 |
12,224 |
 |
송정2동 |
1.14 |
3,065 |
7,100 |
도산동 |
道山洞 |
4.01 |
5,686 |
15,211 |
신흥동 |
新興洞 |
5.51 |
2,166 |
5,545 |
어룡동 |
魚龍洞 |
17.86 |
8,814 |
23,508 |
우산동 |
牛山洞 |
4.55 |
10,868 |
25,039 |
월곡1동 |
月谷洞 |
0.86 |
5,588 |
15,033 |
월곡2동 |
1.12 |
7,444 |
20,833 |
비아동 |
飛鴉洞 |
4.92 |
3,141 |
7,653 |
첨단1동 |
尖端洞 |
2.22 |
7,038 |
24,647 |
첨단2동 |
|
3.45 |
14,391 |
43,357 |
신가동 |
新佳洞 |
1.58 |
8,949 |
25,651 |
운남동 |
雲南洞 |
2.84 |
11,236 |
34,158 |
신창동 |
新昌洞 |
3.98 |
11,548 |
33,824 |
수완동 |
水莞洞 |
4.62 |
18,588 |
57,376 |
하남동 |
河南洞 |
15.41 |
5,140 |
14,677 |
임곡동 |
林谷洞 |
29.82 |
1,324 |
2,486 |
동곡동 |
東谷洞 |
16.29 |
1,083 |
2,266 |
평동 |
平洞 |
29.09 |
1,958 |
3,889 |
삼도동 |
三道洞 |
38.74 |
1,387 |
2,815 |
본량동 |
本良洞 |
33.48 |
1,313 |
2,636 |
광산구 |
區 |
222.91 |
135,280 |
379,928 |
[편집] 교육 기관
|
- 운남중학교
- 월계중학교
- 송광중학교
- 첨단중학교
- 천곡중학교
|
- 금구중학교
- 하남중학교
- 평동중학교
- 광산중학교
- 정광중학교
|
- 임곡중학교
- 비아중학교
- 진흥중학교
- 봉산중학교
- 신가중학교
|
|
|
- 산월초등학교
- 금구초등학교
- 신창초등학교
- 월봉초등학교
- 영천초등학교
- 봉산초등학교
- 어룡초등학교
- 첨단초등학교
- 대반초등학교
|
- 목련초등학교
- 진만초등학교
- 풍영초등학교
- 마지초등학교
- 임곡초등학교
- 월곡초등학교
- 어등초등학교
- 하남초등학교
- 선창초등학교
|
- 평동초등학교
- 신가초등학교
- 미산초등학교
- 정암초등학교
- 월계초등학교
- 운남초등학교
- 송정중앙초등학교
- 송우초등학교
- 송정서초등학교
|
- 송정동초등학교
- 송정초등학교
- 삼도초등학교
- 비아초등학교
- 본량초등학교
- 동곡초등학교
- 하남중앙초등학교
|
[편집] 교통
[편집] 스포츠
[편집] 자매 도시
[편집] 주석
- ↑ 조선총독부령 제112호 도의위치관할구역및부군의명칭위치관할구역의규정 (1935년 9월 28일)
- ↑ 조선총독부령 제80호 (1937년 6월 28일)
- ↑ 법률 제361호 시·군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법률 (1955년 6월 29일)
- ↑ 법률 제454호 시·군행정구역변경에관한법률 (1957년 11월 6일)
- ↑ 법률 제1175호 시·군관할구역변경및면의폐치에관한법률 (1962년 11월 21일)
- ↑ 법률 제3808호 광주직할시및송정시설치에관한법률 (1986년 5월 8일)
- ↑ 법률 제3963호 광주직할시와전라남도의관할구역변경및송정시·광산군폐지에관한법률 (1987년 11월 28일)
- ↑ 구조례 제865호 행정운영동의설치및동장정수조례 (2009년 6월 10일)
- ↑ 구조례 제938호 행정운영동의설치및동장정수조례
- ↑ 광산구의 주민등록인구통계, 2012년 8월 1일 기준
[편집] 바깥 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