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
2 시놉시스 ¶
장마가 오는 6월 즈음, 구두 장인을 목표로 하는 고등학교 1학년생 타카오(이리노 미유 분 / 심규혁 분)는 비가 내리는 날 아침이면 '비가 오는 날에 지하철을 타고 싶지 않다'는 핑계로 학교 오전 수업을 빼먹고 어느 공원[1]의 일본 정원에서 구두를 스케치한다. 어느 날, 일본식 정자에 앉아서 구두의 스케치를 하던 타카오는 옆에서 초콜릿을 안주삼아 혼자 술[2]을 마시고 있는 수수께끼의 여성 '유키노'(하나자와 카나 / 공경은 분)를 만난다[3]. 첫 만남 이후로 두 사람은 비가 내리는 날만 되면 만남을 거듭하며 차차로 마음이 통하게 된다. 있을 장소를 잃어버렸다는 유키노에게 '그녀가 더 걷고 싶어지게 되는 구두를 만들어 주고 싶다'라고 바라는 타카오. 유월의 하늘처럼 어쩐지 나른히 내키지 않고 흔들리며 움직인다. 서로의 마음처럼 장마는 걷혀가려 하고 있었다. |
3 신카이 마코토, 언어의 정원에 대하여 ¶
그리고,「恋(こい)」는 「孤悲(こひ)」라고 썼습니다. 고독하고 슬프다는 의미입니다. 8세기의 만엽인들───우리들의 먼 선조───이 사랑이라고 하는 현상에 무엇을 보고 있었는지 잘 알 수 있습니다. 참고로「연애(恋愛)」는 근대가 되어 서양에서 유입된 개념이라고 하는 건 유명한 이야기입니다. 옛날의 일본에는 '연애(恋愛)'가 아니라 '사랑(恋)'이 있을 뿐이었습니다.
번역 출처- 루리웹 Melodiae님
4 등장 인물 ¶
4.1 주인공 ¶

4.2 기타 등장인물 ¶
- 아이자와 (相沢) - 코마츠 미카코(小松 未可子) 분
5 스태프 및 제작 정보 ¶
6 대한민국 개봉 ¶
6.1 더빙 ¶
한마디로 말하자면 '자막판보다는 훨씬 낫다'가 되겠다.
일단 성우 두 분 다 전속을 벗어난 분들이다. 심규혁의 경우 2013 첫 100만 관객을 돌파한 애니메이션 터보의 주인공 역을 맡았고 공경은은 kbs공채이면서 라디오 드라마 연기 신인상을 수상한 사람으로 작중에서 보이는 연기력은 무난한 편이다
6.2 자막 ¶
7.1 유키노가 읊었던 단가는... ¶
- 雷神 小動 雖不零 吾将留 妹留者 (만요가나)[17]
- 鳴る神の 少し響みて さし曇り 雨も降らぬか 君を留めむ (한자+히라가나)
- 우레소리가 / 조금씩 울려오고 / 구름 흐리니 / 비도 오지 않을까 / 그대 붙잡으련만 (한국어 해석)
- 雷神 小動 雖不零 吾将留 妹留者 (만요가나)
- 鳴る神の 少し響みて 降らずとも 我は留まらむ 妹し留めば (한자+히라가나)
- なるかみの すこしとよみて ふらずとも わはとどまらむ いもしとどめば (히라가나)
- 우레소리가 / 조금씩 울려오고 / 비는 안 와도 / 나는 떠나지 않아 / 당신이 붙잡으면 (한국어 해석)
7.2 단가를 읊었던 그녀는 사실... ¶
7.3 왜 출근하지 않는가 ¶
8.1 유키노 유카리는... ¶
8.2 아키즈키 타카오는... ¶
2014년 2월 어느날, 유키노를 처음 만났던 공원에서 유키노가 보낸 편지를 읽은 후 유키노를 위한 수제화[20]를 놓아둔다. 그리고 '자기 힘으로 좀 더 멀리 갈 수 있게 되면 다시 한번 유키노를 만나러 가겠다'고 다짐한다.
9.1 블루레이/DVD ¶
- 본편 - 46분
- 특전영상 - 90분(블루레이) / 30분(DVD)
- 특전영상 내용 : 감독과 캐스트 인터뷰(롱 버전 - BD, 숏 버전 - DVD), 비디오 콘티(BD), 감독 필모그래피, 극장 예고편.
- 사운드 트랙과 북클릿 포함.
9.2 디지털 다운로드 ¶
9.3 주제가 ¶
10 기타 ¶
Q : 전작들과 비교해 볼 때, 남녀 주인공 다카오와 유키노의 대사는 상당히 적은 편이다. 그런데 제목이 ‘언어의 정원’이 된 이유가 있나?
A : ‘만엽집’이라는 일본의 고전 시집이 있다. 이 만엽집은 <언어의 정원> 속에도 등장하는데 스토리 상에서 키 포인트가 되는 역할을 한다. 만엽집에 의하면 ‘언어의 잎새’라는 말이 지금의 ‘언어’로 정착이 되었다. ‘말씀 언’과 ‘잎 옆’자를 합치면 일본어로 언어라는 뜻이다. ‘언어의 정원’ 역시 옛날식 언어를 이용해 고풍스러운 느낌을 주고 싶은 생각에서 제목으로 짓게 됐다. 또 비가 내리는 정원에서 다카오와 유키노가 말과 기분을 교환하는 것이 영화의 중심 스토리이기 때문이기도 하다.
장마 기간에 벌어지는 내용을 다루고 있기 때문에 전체 분량의 80% 이상이 비가 내리는 장면이다.
10.1 PPL ¶
'킨무기'의 존재감이 만만치 않은데, 역시 어떤 고집 같은게 있나요?
역시 실제로 존재하는 상품이 애니메이션 화면에 등장하면 존재감이 눈에 띄지요.
상품 패키지가 이미 하나의 작품이니까 당연한 일이겠지만요.
사실은 제가 꼭 '킨무기'를 쓰고 싶다고 주장한 게 아닙니다.
단지 '언어의 정원'은 현재 도쿄를 무대로 한 작품이니까, 나오는 소품들도 되도록이면 실제로 존재하는 제품이 좋겠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프로듀서에게 부탁해서 몇몇 브랜드 사용허가를 받았습니다. 엔딩 크레딧에는 협찬기업도 나오기 때문에 그런 쪽으로도 기대해 주십시오.
덧붙여 지금은 저도 작품을 만드는 사이에 '킨무기' 팬이 된 바람에, 캔맥주 하면 가장 먼저 '킨무기'가 떠오릅니다(웃음).
10.1.1 본격 산토리 광고 영상(?) ¶
- 술 종류
- 차 종류
- 생수
10.1.2 기타 PPL ¶
- 노무라 부동산 - 부동산, 맨션 개발 사업을 진행하는 회사. 주택 브랜드 'PROUD' 로고가 광고판에 등장한다.[23] 공식 웹사이트
- 다이아나 - 여성용 신발, 구두 메이커. 타카오가 어머니에게 선물한 구두 상자에 대놓고(!) 상표가 적혀 있다. 브랜드 웹사이트
- 마루만 - 필기구, 노트, 편선지 등을 판매하는 회사. 타카오가 이용하는 각종 파일로 등장한다. 공식 웹사이트
- 타이세이 건설 - 신주쿠에 회사를 둔 건설 회사. TV나 플랫폼 간판에 회사 로고가 등장한다. 신카이 감독은 이 회사의 광고를 제작한 적이 있다. 공식 웹사이트
- 트랜스 콘티넨츠 - 남성용 의류 브랜드. 여러 장면에서 등장한다. 관련 공지사항
- 필라 - 스포츠 패션 브랜드. 타카오의 형이 입고 나온다. 대문짝만하게 로고가 적혀 있다. 스탭롤에서 정식 협찬에 해당하기때문에 당연히 로고는 수정되지 않는다.
- Z카이 - 통신교육 등 학습 전문 기업. 간판과 영어단어집 '초속영단어(1)필수편 (개정제5판)'이 작품 안에 등장한다. 관련 공지사항
- 리론샤, 신초샤, 이와나미쇼텐, 코단샤 - 모두 출판사. 이 출판사에서 나온 여러 책들이 책꽂이 등에 배경으로 등장한다.
10.2 JR 히가시니혼 천국(?) ¶
- 쇼난신주쿠라인 : 도입부에서 스쳐지나간다.
- 야마노테선 : 도입부에서 스쳐지나간다.
- 츄오-소부선 각역정차 : 유키노와 타카오가 신주쿠로 갈 때 이용하는 노선이다.
- 츄오 쾌속선 : 중간 부분에서 등장인물이 타고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 열차를 앞질러간다.
- [1] 모델은 신주쿠에 있는 신주쿠교엔을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 [2] 맨 처음에 마시던 술은 일본에서 '제3의 술'로 불리는 산토리사 발포주 '킨무기(金麦)'이며 이후 맥주 '몰츠', '더 프리미엄 몰츠' 등으로 다양하게 변화한다
- [3] 하지만 신주쿠교엔에서 음주는 금지되어 있다. 배경에도 나오고 영화 말미에도 경고가 나온다. 따라하지 마라!
- [4] 감독의 전작 별을 쫓는 아이에서 슌/신(주인공)역할을 맡았었다.
- [5] 원래는 캐릭터 나이에 맞춰서 25세 이상 성우를 캐스팅하려했었지만, 하나자와가 스스로 원해서 오디션에 참여했다.
- [6] 우루세이 야츠라의 라무
- [7] 《별을 쫓는 아이》에 출연
- [8] 별을 쫓는 아이에 출연
- [9] 가정교사 히트맨 리본의 야마모토 타케시 성우.
- [10] 신카이 마코토와 불화가 있는게 아닌가 라는 추측이 돌았지만 이번 작품이 비가 주된 내용인 만큼 빗소리를 잘 표현하는 사람에게 맡겼다고 한다. 텐몬과는 다음 작품에서 다시 만날 수 도 있다고.
- [11] 《별을 쫓는 아이》부터 참여
- [12] 《별을 쫓는 아이》부터 참여
- [13] 신카이 감독의 페르소나적 존재인 텐몬이 작업 안하는 최초이자 유일한 작품이 된다
- [14] 오에 치사토라고 읽지 않는다. 음독을 해서 센리다.
- [15] 원곡은 이거다. 오에 센리가 직접 불렀다. 원곡이 나올 때는 1980년대 일본 거품경제가 발단 → 전개 → 위기 → 절정에서 위기 → 절정 단계로 넘어가던 시절이라 흥겨운 곡인데, 이 영화에서는 살짝 슬프게 편곡되었다.
그런데 이 곡 영화에 쓴다고 원작자 오에 센리를 직접 데려온 신카이 마코토는 어떤 괴물이지? - [16] 신카이 감독 작품 처음으로 메이저 배급사가 배급을 하는 작품이 된다
- [17] 만요슈(만엽집)이 채록된 7~8세기경에는 아직 히라가나/가타카나가 발명되지 않은 상태였으므로, 한자의 음과 뜻을 차용해서 일본어를 기록하였는데 주로 만요슈에 많이 사용되었으므로 이를 '만요가나'라고 한다. 만요가나의 표기법은 신라 향가를 기록한 향찰과 비슷하다고 보면 된다.
- [18] 사실 이 작품에서 수업을 하는 장면은 단 두 번, 초반부의 타카오가 딴청을 피우는 노선생의 수업과 종반의 유키노의 귀향 후 수업이다. 근데, 흑판을 잘 보면 두 수업 모두 만요집(만요슈)를 가르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유키노의 말이 뭔지 궁금해하던 타카오는 정작 만요집에 대해서 열심히 설강하는 노 교사의 수업은 '이런 것에 신경 쓸 때가 아냐'라며 딴청을 피운다.
- [19]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상영 당시 있었던 신카이 마코토 감독과의 질의응답을 참고하자면 심경이나 생각의 변화등이 있었던건 아니고 단지 작품 내 초점이 바뀌었을 뿐이라고 한다. 초속 5cm때는 두 사람의 헤어짐을 통해 사랑에 대한 상실을 표현하는데 초점이 잡혀 있었다면 언어의 정원에서는 말 그대로 타인을 이해하고 알아가는 모습을 보여주고자 했다고 한다. 타카오와 유키노의 적지 않은 나이차라든가, 사회적 지위 차이(선생님과 학생이라는)등의 환경차에도 불구하고 서서히 가까워짐에 따라 변화하는 두 사람의 모습과 주변 환경이 포인트라고.
- [20] 수제화의 컬러링은 작 중 잠깐 등장한 허물 벗는 매미의 색과 일치한다.
- [21] 디즈니나 드림웍스 같은 대형회사에서 발매하는 블루레이조차 우리말 더빙은 DVD용 오디오 포맷인 DD 혹은 DTS 5.1로 수록한다. 이는 손실 압축 포맷이기에 음질면에서 무손실 압축인 DD True HD나 DTS-HD Master Audio와 차이가 크다.
- [22] 시쳇말로 마와리라고 한다. 이걸 위쪽에서 잡으면 다찌마와리가 된다.
- [23] 일본에서 신카이가 만든 단편과 같이 상영되었는데, 바로 이 노무라 부동산의 홍보 애니메이션이다.(...)
- [24] 정확히는 열차시각표만 등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