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어(original word) |
Latin : temporalis -pertaining to the temporal |
Origin(기시부) |
협골궁위의 측두와 |
Insertion(정지부) |
하악골의 관상돌기와 하악골의 전연 |
Action(작용) |
턱을 움츠리고 올리고, 닫는다. |
Nerve(지배신경) |
삼차신경 5번 |
측두와(temporal fossa)의 전체 길이로부터 시작하여 오구돌기로 연결된다. 부체꼴인 이 근육은 측두와의 모든 부위에서 협골궁으로 부착되어 있는 매우 강한 건막에 의해 덮여있고 앞 부위, 중간 부위, 뒤 부위로 나누어 전측두근, 중측두근, 후측두근으로도 구분한다. 이 근육의 촉진은 관자놀이와 머리 측면에 손을 대고 턱의 어금니를 서로 맞물려 힘주어 씹어 보면 움찔하며 움직여 알 수 있다.
저작에 관여하는 근육군 중에서 측두근에 특히 운동 부하가 많이 걸리게 되면 저작시, 또는 일상에서 두통과 같은 통증이 자주 유발되게 되며, 측두근육이 발달하게 되어 관자놀이가 있는 양쪽 이마 부위가 커지는 증상을 보인다.
또한, 측두근이 위축되면 전체적으로 관자놀이 부분이 움푹꺼져 보이고, 협골궁 부위에 위축이 오면 얼굴 측면이 다소 줄어져 보일 수 있다. 이 근육은 교근, 익돌근과 함께 아래턱을 끌어올린다.
|
협동근 |
길항근 |
측두근 |
교근, 내측익돌근, 외측익돌근의 상지분지 |
전이복근(anterior belly of digastric m.), 견갑설골근(omohyoid m.), 악설곤근(mylohyoid m.) |
가. 증상 및 요인
- 측두 부위로 넓게 두통이 나타나며, 눈썹 부위와 눈 뒤쪽 그리고 윗니 일부나 전체에 통증이 나타난다.
- 윗니 일부 혹은 전체가 온도변화에 민감하다. (특히 추위에 노출될 때)
- 윗니가 과민해져 치통을 호소하기도 한다.
- 입을 벌리는데 5~10mm 정도의 가벼운 제한이 있다.
- 일반적으로 아래턱이 움직임으로 인해서는 통증이 발생하지 않는다.
- 부정교합의 의해 발생한다.
- 긴장성 스트레스에 의해 발생한다.
- 단단한 음식물을 자주 씹는 행위
- 껌을 오래 씹는 행위
- 이를 갈거나 이를 꽉 다무는 행위
- 하지길이의 현격한 차이
- 골반 크기가 심하게 비대칭인 상태
- 거북목과 같이 나쁜 자세로의 생활
(비대칭에 의한 변형-1)
(골반과 하지길이의 비대칭은 두개골의 위치를 변형시키게 된다)
(비대칭에 의한 변형-2)
(x-ray 판독으로 본 두개골의 변형)
(비대칭에 의한 변형-3)
(얼굴표면의 변형)
나. 압통점과 방사통
(측두근의 압통점과 방사통)
A - 전섬유의 압통점 및 방사통 : 안와상연 및 윗니에서 통증을 느낀다.
B - 중간섬유의 압통점 및 방사통 : 측두부 중간 부위와 상악골 중간 치아에서 통증을 느낀다.
C - 중간섬유의 압통점 및 방사통 : 측부부의 중간 부위와 상악골 외측 치아에서 통증을 느낀다.
D - 후섬유의 압통점 및 방사통 : 후섬유의 압통점에서 후상부로 방사되며 통증을 느낀다.
다. 근기능 테스트
측두근은 교근에 이상이 없다면 세손가락 테스트(three knuckle test)에서는 문제를 알 수 없을 만큼 근위축은 경미하게 나타나지만 교근에 이상이 있다면 개구에 제한이 심해지는 특징을 나타낸다.
또, 측두근의 후섬유에 이상이 있으면 입을 여닫을 때 하악골이 지그재그로 움직이게 된다.
(측두근의 압통점 테스트-1)
(근육이 수축되지 않은 상태 즉, 입을 적당히 벌린 상태에서 압통점(TP)을 동시에 눌러 보아 양 측두에서 발생하는 통증의 정도를 비교한다.)
(측두근의 압통점 테스트-2)
(특히 측두근의 압통점을 확실하게 알기 위해서는 하악골의 관절돌기를 눌러 방사통을 확인한다.)
(측두동맥 가지)
(압통점에 압을 가하기 전에 측두에 분포된 동맥을 촉진하여 맥박을 확인하고. 이 부위에 직접적인 강압이 가해지지 않도록 유의한다)
라. 치료 관점
일명 측두근 근막통증증후군이나 두개하악장애 환자의 경우는 대개 교근이나 외측 익돌근에 일차적인 원인으로 보고 있으며, 측두근 이상의 경우는 전체 환자의 1/3 정도로 나타내고 있다.
측두근에 압통 치료를 하기 전에 먼저 교근의 긴장도를 먼저 이완해야 한다. 이는 교근의 압통점이 측두근으로 들어가는 정맥유입에 장애를 주어 눈주위로 피멍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머리 측면에서 박동되는 측두동맥에 강한 압이 들어가지 않도록도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
물리치료상으로는 Vapocoolant spray나 온찜질, 냉찜질, 초음파 치료, 경피성 신경자극, 운동요법등을 적당한 시간차를 두고 병행하여 실시하도록 하고, 수기치료상으로는 상기 테크닉을 이용 능동적, 수동적 방법을 이용 근육의 신전과 이완이 반복될 수 있도록 꾸준하게 적용한다.
---------------------------------------
글 / 박동호
- 미국 국가공인 마사지엔 바디웍 전문가(국내1호)
- 필리핀 국가공인 침구의사 (Acupuncture Doctor)
- 성신여대 평생교육원 토탈뷰티매니지먼트 책임교수
- 한국뷰티엔 바디웍프로패셔날 협회장 (kabbp.org)
(저서) - 마사지앤 보디워크 / 도서출판 일진사
[출처] 크리니컬 마사지 - 측두근 (마사지 앤 보디워크) |작성자 케니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