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우리 할머니의 삶의 여정’ …………… ……… ① | |
제작의도 |
우리 할머니 칠순 잔치에 오신 손님들에게 할머니의 삶의 기록을 소개하여, 할머니의 삶을 되돌아보며 공유하고자 한다. | |
전체 구성 |
중심 얼개 |
할머니의 탄생, 소녀 시절, 결혼, 자녀의 출산, 자녀의 성장 등을 중심으로 내용을 설정한다.………② |
보조 얼개 |
할머니가 겪었던 일화에 대해 궁금한 점을 손자·손녀가 질문하고 할 머니가 답을 하며 회상하는 장면을 중간중간 삽입한다. | |
전달 방식 |
해설 |
내레이션을 통해 할머니가 살았던 지역에 대한 정보를 중점적으로 제시하여 할머니의 추억이 담긴 곳에 대해 시청자들과 공유할 수 있게 한다.…… ③ |
영상 편집 |
할머니가 좋아하는 음악을 조사하여 배경 음악으로 삽입한다. …………………… ………………… ④ 할머니의 과거 사진을 수집하여 시각 자료로 제시한다. ………………………… ………………… ⑤ 할머니가 좋아하는 음악과 사진을 서로 어울리게 배치한다. |
02 다음 글에 나타난 ‘나’의 글쓰기 태도에서 깨달은 작문의 방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어떤 사람이 ‘나’에게 물었다.
“이 시대에 고문(古文)에 능하다고 말하는 사람들은 반드시 그대를 최고라고 합니다. 제가 보 기에 그 문장은 비록 드넓어 끝이 없지만 대체로 일상어를 사용하고 문장은 글자를 따라 차례 대로 만들어지더군요. 그걸 읽어 보면 마치 입을 열 때 목구멍이 보이는 것처럼 이해하냐 이해 하지 못하냐를 막론하고 문득 걸리는 데가 없었습니다. 고문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과연 이와 같은지요? (중략) 당신은 좌구명, 장자, 사마천, 반고 및 근대의 한유, 구양수, 소동파와 같은 분들을 보셨습니까? 그 문장 어디에 일찍이 일상어를 사용했던가요? 하물며 당신의 문장은 옛것을 기준으로 삼지 않고 도도한 흐름과 풍성한 표현을 일삼으니, 질리게 하는 데에 흐르지 않습니까?”
내가 말했다.
“그분들의 문장 역시 일상어와 무엇이 다르단 말입니까? 제가 보건대, 간결한 듯, 웅혼한 듯, 깊은 듯, 분방한 듯, 기굴한 듯하지만, 대체로 당대의 일상어를 변주하여 우아하고 참된 것으 로 만들었으니, 이른바 쇠를 담금질해서 황금을 만드는 격이었습니다. 후세에 오늘날의 문장 을 본다면 우리가 예전 그분들 문장을 보듯 하리라는 것을 어찌 알겠습니까? 하물며 도도하고 무성한 것은 바로 크게 되고자 한 것이고 옛날의 문장을 기준으로 삼지 않은 것 또한 홀로 우 뚝 서고 싶어 한 것인데, 어찌 질리는 바가 있겠습니까? 당신은 저 여러 사람들의 문장을 자세 히 보셨습니까? 좌구명은 스스로 좌구명이고, 장자는 스스로 장자이며, 사마천과 반고는 스스 로 사마천과 반고이며, 한유, 유종원, 구양수, 소식은 스스로 한유, 유종원, 구양수, 소식이어 서, 서로 본뜨거나 답습하지 않고 제각기 일가(一家)*를 이루었습니다. 제가 바라는 바는 이런 것을 배우고자 하는 것입니다. 다른 사람의 집 아래에 집을 짓듯이 남의 문장을 본뜨기나 하고 다른 이들의 문장을 답습하고 표절한다는 비난을 받을까 부끄러워합니다.”
*일가: 학문, 기술, 예술 등의 분야에서 독자적인 경지나 체계를 이룬 상태.
① ‘나’는 자기 스스로 일가를 이룰 수 있는 글을 쓰고자 하였으니, 일상어를 활용한 독창적인 문장을 써 보는 게 필요하겠어.
② ‘나’는 옛날의 문장에서 출발하여 글을 쓰고자 하였으니, 여러 문헌을 토대로 본받아 연마 하여 나만의 문장으로 발전시켜 보는 게 필요하겠어.
③ ‘나’는 우아하고 참된 문장을 사용하여 글을 쓰고자 하였으니, 보통 사람들이 쓰지 않는 독특한 어휘를 중심으로 문장을 써 보는 게 필요하겠어.
④ ‘나’는 답습과 표절을 경계하여 상대를 압도하는 글을 쓰고자 하였으니, 사람들이 내 글을 읽고 배움을 얻을 수 있는 내용을 담은 문장을 써 보는 게 필요하겠어.
⑤ ‘나’는 풍성한 수식어를 통해 읽는 이의 이해를 돕는 글을 쓰고자 하였으니, 사람들이 이해 할 수 있도록 다양한 수식어를 활용하여 문장을 써 보는 게 필요하겠어.
도움자료
[2014 EBS 수능특강 B]
4강 자기 성찰을 위한 글 쓰기
기본 문제 01 ③
01 글쓰기 전략 답 ③
이 문제는 수필의 내용을 구성하기 위해 사용한 글쓰기 전략을 묻고 있다.
[정답이 정답인 이유]
실마리[답지] 대상에 대한 새로운 관점
수필은 자신의 체험과 느낌을 단순하게 나열한 것이 아니라 흔히 볼 수 있는 대상이나 사건에 대한 새로운 감상이나 숨은 뜻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오답이 오답인 이유]
① 새소리가 들리지 않는 숲에 대한 구체적인 사례는 나타나 있지 않다. 대상에 대한 구체적인 사례를 수집하는 것은 주로 정보 전달을 위한 글을 쓸 때에 필요하다.
② 새소리가 불러일으키는 정서에 대해서는 다양하게 제시되어 있으나, 그 사전적 의미는 나타나 있지 않다. 대상에 대한 사전 적 의미를 독자에게 제공하는 것은 주로 정보 전달을 위한 글을 쓸 때에 필요하다.
④ 삭막해져 가는 인간의 세태에 대한 안타까움은 드러나 있으나, 자연 속에 존재하는 새소리에 대한 비판적 견해는 나타나 있지 않다. 대상에 대한 비판적 견해와 그에 대한 근거를 중심으로 내용을 구성하는 것은 주로 설득을 위한 글을 쓸 때에 필요하다.
⑤ 새소리를 듣지 못하는 인간이 살아가는 시·공간적 장면에 대한 정보는 나타나 있지 않다. 대상에 대한 시·공간적 배경을 밝히는 것은 주로 자신의 지나간 삶을 돌이켜 보고 그중 의미 있었던 사건에 대해 쓰는 회고문을 작성할 때 필요하다.
교육과정연계
작문Ⅱ (1) 글의 유형 (라) 자기 성찰을 위한 글 쓰기
① 일상을 섬세하게 관찰하여 의미를 발견한다.
심화 문제 01 ③ 02 ①
01 작문 계획의 적절성 답 ③
이 문제는 영상물 제작 의도가 영상물에 어떻게 반영되는지를 묻고 있다.
[정답이 정답인 이유]
[보기] 영상물의 내용 선정
할머니가 살았던 지역에 대한 정보를 중점적으로 제시하는 것은 할머니의 삶을 회고하는 영상물의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다.
[오답이 오답인 이유]
① 우리 할머니의 삶의 기록임을 드러내는 제목으로 ‘우리 할머니의 삶의 여정’은 적절하다.
② 우리 할머니가 인생의 여러 순간에서 겪었던 일화를 중심으로 내용을 구성하고자 하였으므로 할머니의 탄생, 소녀 시절, 결혼, 자녀의 출산, 자녀의 성장 등을 중심으로 내용을 설정하는 것은 적절하다.
④ 다양한 시청각 자료를 활용하고자 하였으므로, 할머니가 좋아하는 음악을 배경 음악으로 삽입하는 것은 적절하다.
⑤ 다양한 시청각 자료를 활용하고자 하였으므로, 할머니의 사진을 다양하게 구성하여 시각 자료로 제시하는 것은 적절하다.
교육과정연계
작문Ⅱ (1) 글의 유형 (라) 자기 성찰을 위한 글 쓰기
④ 다양한 작문 과제에 대하여 감상문, 수필, 회고문 등 여러 가지 종류의 글을 쓴다.
02 글쓰기 전략 답 ①
이 문제는 고전에 나타난 선인들의 글쓰기 태도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한 글쓰기 전략을 묻고 있다.
[정답이 정답인 이유]
실마리[지문] 독창적인 글을 쓰기 위한 글쓰기 태도
‘나’는 다른 사람의 문장을 본뜨지 않고 스스로 일가를 이루는 것을 바라고 있으며 당대의 일상어를 변주한 문장가들의 문장을 본받고자 하였으므로, 일상어를 활용하면서도 독창성을 갖는 문장을 쓰는 작문 전략을 설정할 수 있다.
[오답이 오답인 이유]
② ‘나’는 옛날의 문장을 기준으로 삼는 것보다는 새로운 일가를 이루는 것을 바라고 있으므로, 여러 문헌에서 마음에 드는 문장을 찾아 이를 연습하는 작문 전략을 설정한 것은 적절하지 않다.
③ ‘나’는 당대의 일상어를 변주한 문장가들의 문장을 본받는 것을 바라고 있으므로, 보통 사람들이 쓰지 않는 어휘를 사용하는 작문 전략을 설정한 것은 적절하지 않다.
④ ‘나’는 답습과 표절을 경계하나 상대를 압도하는 글을 쓰고자 했다고 보기 어려우므로, 사람들이 배움을 얻을 수 있는 문장 쓰기로 작문 전략을 설정한 것은 적절하지 않다.
⑤ ‘나’는 사람들이 쉽게 읽을 수 있는 글을 쓰고자 하나 이것이 풍성한 수식어를 바탕으로 하였다고 보기는 어려우므로, 다양한 수식어를 활용한 문장 쓰기로 작문 전략을 설정한 것은 적절하지 않다.
교육과정연계
작문Ⅱ (1) 글의 유형 (라) 자기 성찰을 위한 글 쓰기
② 생활 경험 속에서 얻은 깨달음을 구체화하면서 글을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