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석증은 전자 현미경으로 볼 수 있는 칼슘성분인 이석이 전정기관에서 부스러지거나 떨어져나와 세반고리관을 떠돌다가 전정신경을 자극해서 어지럼증을 일으키는 증상으로서 50대 이후 중년 여성에게 흔하며, 이석증 환자는 골다공증 가능성이 3배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습니다. 다음은 뉴스 전문입니다.
이석증이 칼슘대사 장애와 연관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제시됐다. 어지럼증이 있으면 흔히 빈혈이나 뇌종양을 의심하지만 실제로는 가장 흔한 원인이 이석증(양성 돌발성 두위현훈)이다. 이석증은 귀의 전정기관에 있는 ‘이석’이라는 작은 돌이 머리 회전을 감지하는 세반고리관으로 들어가 어지럼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분당서울대병원 뇌신경센터 김지수 교수팀은 2006∼2007년에 이 병원에서 이석증 진단을 받은 환자 209명과 어지럼증이 없는 비교군 202명을 대상으로 골밀도검사를 실시한 결과, 이석증으로 진단받은 환자군의 골다공증 비율이 3배나 높았고, 골다공증 전 단계인 골감소증도 이석증 환자군이 2배나 많았다고 최근 밝혔다. 성별 차이도 드러났다. 여성의 경우 어지럼증이 없는 비교군에서는 9.4%만 골다공증이었으나 이석증 환자군에서는 25.3%가 골다공증으로 진단되었다. 또 비교군에서는 33.3%만이 골감소증이었으나 이석증 환자군에서는 47.2%가 골감소증을 가지고 있었다. 남성은 비교군의 골다공증이 6%였으나 이석증 환자군은 약 12%로 2배나 됐고, 골감소증도 이석증 환자군이 비교군의 27%보다 많은 40%나 됐다.
이석증은 전정기관 속 이석의 위치를 파악해 머리를 단계적으로 돌리는 등의 ‘위치교정술’로 치료한다. 그러나 환자의 30∼40%는 치료 후에 재발한다. 이번 연구에서도 45세 이상 환자 128명 중 58명이 재발했다. 50대 이후 중년 여성에게 흔하며 호르몬과 연관이 있을 것으로 추정해 왔을 뿐 골다공증과의 상관성을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또 여성뿐 아니라 남성 이석증 환자도 골다공증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조사돼 이석증과 골다공증은 성별과 관계없이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됐다.
김지수 교수는 “이석증은 낙상을 유발하는 대표적 질환으로, 골다공증 환자는 낙상으로 골절상을 입을 위험이 높다.”며 “이석증이 자주 재발하는 환자는 골다공증 여부를 가려 적극적으로 치료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출처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090406025006
<바람이려오>님, 지인 분이 골다공증이 아니시라면 더할나위 없이 좋겠지만 골밀도 검사를 통하여 혹시라도 골다공증으로 확인이 된다면 동네 정형외과 의원 중에는 공부 안 하고 실력없는 의사들이 많아서 돈만 날리고 치료는 되지 않는 경우가 많으니 주의하시구요 골다공증 약재들 중에서는 포사맥스플러스디와 악토넬이 유명하고 비교적 안전성이 입증된 것들인데 이 경우에도 일부 부작용이 있구요 치과시술시 반드시 약 복용사실을 알려야 합니다. 최근에는 골다공증 예방 칼슘보충제가 심장마비 위험을 30% 가량 높인다는 연구결과도 발표되어 더욱 조심스럽지 않을 수 없는데요 만약 복용을 원하신다면 처방전이 있어야 보험이 적용되어 싸게 살 수 있고 그냥 살려면 엄청 비싸니 이점 참고하시구요
<한의학적으로는 골다공증은 신장(腎臟) 기능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봅니다. 신장의 기운이 충실하면 골수의 생성이 원활해져 뼈가 충분히 영양을 얻어 견고해지는데, 만일 신장의 기운이 약하면 반대로 골수의 생성이 원활하지 못해 골격이 약해지고 무력해지며 허리와 등이 시리고 아프다든지 양다리에 힘이 없어지게 된다고 합니다.
http://www.sportsseoul.com/news2/life/living/healthmedi/2009/1120/20091120101050201000000_7667819064.html>
<또한 성 호르몬의 분비변화와 골대사가 큰 영향이 있는데 한의학에서는 신장이 이러한 양상을 조절한다고 보구요. 또 골다공증은 비위의 기능과도 관련이 깊다고 하는데요 비위의 기능이 정상적으로 유지되면 영양섭취 및 공급이 원활하여 골수의 생성이 촉진되기 때문에 뼈가 단단해지지만, 오장육부의 기능이 저하되거나 소실되면 뼈가 약해져 허리가 굽고, 아프며 기운이 빠지게 된다는 겁니다. 따라서 한의학적인 골다공증의 치료는 비위와 신장 기능을 도와주는 것을 목표로 치료를 진행하게 되는데요 http://blog.naver.com/spine_world/70096010129>
비위장을 다스리기 위하여서는 비위장의 대표적인 처방인 보중익기탕을 쓰고 /
신장을 다스리기 위하여서는 육미지황탕(신음허)이나 팔미지황원(신음양허) 중에서 환자의 경우에 맞는 것을 골라 쓰면 될 것입니다.
골다공증에 좋은 약재로는 대표적인 홍화씨가 있구요 어느 한의사분 말로는 골다공증에 두충차 따라갈 게 없다고 한다는데요. 두충나무는 잎이든 줄기든 뿌리든 다 골다공증에 좋답니다. 맛이 영 없으니 보리차 끓일 때 같이 끓여서 상용하시면 두 세달이면 약효를 볼거라는군요. 두충의 잎은 녹차보다 많은 비타민 C를 함유하고 있구요 혈압강하작용이 있어서 고혈압에도 좋다고 하구요 대관본초 문헌에는 두충차를 오래 마시면 간과 담낭의 기능이 활발해지고, 팔과 다리의 무력감을 없애주며, 기력이 좋아진다고 나와 있는데 양기를 돋아주는 작용이 있답니다. 차를 만드는 방법은 두충이나 두충잎을 20∼30g을 깨끗이 씻어 용기에 넣고 물 1ℓ을 부어 약한 불에 끓인 후 기호에 따라 꿀을 타서 마시면 된답니다. 두충 줄기 껍질을 이용할 때는 잘라보면 흰실 같은 것이 나오는데, 이것이 없어질때까지 볶아서 사용하시면 된다고 하구요. 만약 물처럼 드시려면 농도를 묽게해서 드시면 되는데 20~30g의 두충을 물 5ℓ에 넣어 2/3가 되면 식혀서 냉장고에 보관하면서 물처럼 드시면 된답니다. 다만 싼 값의 저질수입약재는 다른 이물질이나 관리상의 문제로 오히려 인체에 해로울 수 있으니 이 점 주의하시구요
--------------------------------------------------------------------

<사진출처 http://blog.naver.com/kara91299/40114783821>
<바람이려오>님, 지인 분이 골다공증이 아니시라면 더할나위 없이 좋겠지만 혹시라도 몰라 자료 올려드렸습니다. 부디 좋은 결과 있으시길 기원드리고 속히 건강 되찾으시길 기도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