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목
스산한 겨울 날씨에 나무들이 생기를 잃어가고 있어요. 그런데 뾰족한 잎새 사이로 붉은 열매까지 조랑조랑 달고 매력을 뽐내는 나무가 있어요. 사시사철 푸른 '주목<사진>'입니다.
주목은 한국·중국·일본·러시아 등지에 분포해요. 우리나라에선 #설악산 에서 #한라산 에 이르는 산지의 해발 100m 낮은 곳부터 1600m에 이르는 #고산지대 까지 넓은 지역에 자생합니다. 추운 곳을 좋아하는 나무인데, #지구온난화 로 자생지 환경이 나빠져서 그 수가 줄어들고 있어요.
주목은 껍질과 줄기 중심부(심재)가 붉어서 '붉을 주(朱)'에 '나무 목(木)'을 써서 ' #붉은나무 '라는 이름을 갖게 됐어요. 주목으로 만든 #붉은색지팡이 는 #악귀 를 물리치고 #무병장수 하게 해준다고 알려져서 지팡이 중 으뜸으로 쳤다고 해요.
또 조선 시대엔 붉은 줄기에서 얻은 염료로 임금이 입는 #곤룡포 를 염색하기도 했답니다.
열매가 솔방울 모양인 다른 침엽수와 달리 주목의 열매는 앵두같이 동그랗고 붉은색이에요. 열매의 과육은 단맛이 나지만 씨에는 #독성분 이 있어서 조심해야 돼요. 그래서인지 #셰익스피어 의 희곡 ' #햄릿 '에서 왕을 죽인 독약이 서양 주목의 씨로 만들어졌다는 설도 전해집니다.
강원도 정선 두위봉에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주목 세 그루가 있는데, 나이가 1200~1400살로 추정되고 있어요. 주목은 오래 살고 죽어도 잘 썩지 않아서'살아서 천년, 죽어서 천년 산다'고 불리며 #한민족 의 #끈기 와 #인내 를 상징하기도 해요. 느리게 자라는 주목은 나무 조직이 치밀하고 나뭇결무늬가 고와서 옛날부터 최고급 목재로 쓰였다고 해요. 백제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왕의 나무 베개도 주목으로 만들어졌다고 합니다.
유럽과 미국에는 서양주목, 태평양주목 등 우리나라 주목과 약간 다른 종이 자라고 있어요. 영국에선 주목이 '영원한 생명'을 뜻해서 교회 인근 묘지 주변에 즐겨 심었다고 해요. 중세 영국의 의적 #로빈후드 의 #활 이 주목을 깎아 만든 것이란 이야기가 전해지기도 합니다. 프랑스 #베르사유궁전 뜰에 원뿔 등 특색 있는 모양으로 가꾼 나무도 주목이고요.
1960년대 미국에서 주목의 껍질에서 난소암·유방암·폐암 등에 효과적인 #항암물질 #탁솔 (taxol)이 발견됐어요. 하지만 너무 소량만 추출된다는 단점이 있었죠. 그런데 최근 우리나라 연구진이 #생명공학 기술로 주목의 씨눈에서 탁솔을 대량 생산하고 상용화하는 데 성공했다고 합니다.
최수진 국립백두대간수목원 전시문화사업팀장
첫댓글 주목나무를 주목해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