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에서의 “소외”(인간이 본래 가지고 있는 인간성을 박탈당하는 현상)의 유형
국제대학교 상담심리치료학과 이 동 석 교수
◉ 소외의 유형
1. “소외”란 스스로를 따돌림 당한 사람이라고 느끼게 되는 경험형식을 뜻한다(프롬, 1955).
2. 마르크스에 있어서 소외란 "자기 자신의 행위가 자신에 의해 지배되지 않고 자기 위에 군림하여 자기의 뜻에 반하는 이질적인 힘이 되고 마는" 그러한 어떤 상태를 가리키는 것.
노동 소외의 유형
1.노동생산물로부터의 소외 2.노동행위로부터의 소외 3.인간의 유적존재 ( species being )
[출처][건전한 사회] 소외의 문제|작성자산의로
◉ 두 가지 소외의 유형
1. 개인이 타인(외부)과의 관계에 있어서의 소외 : 국가권력, 종교 그리고 사랑 등에 대한 복종적 숭배행위
2. 비이성적 열정에 빠져드는 자신과의 관계에서의 소외 : 권력욕이나 금욕에 빠져서 자아에 대한 지각을 잃어버리는 것.
[출처][건전한 사회] 소외의 문제|작성자산의로
◉ 도시 문제 현대시 속에서의 소외 유형 (논문 ‘한국 도시 시의 소외의식’ 동아대학교)
문명에서의 소외 (1920년대를 기점으로)
문명에 대한 갈망과 거부라는 양방향이 동시에 작용하는 모순에서 시작
문명의 기계중의와 자동화에 의해, 전통적 삶에서도 문명사회에서도 좇겨나는 자아 고립, 주체 부재의 익명성에 빠져들게 된다.
2. 사회적 소외
일제하에서부터 사회체제에 유기적으로 편입되지 목하고 고립되면서 발생
자본주의 체제를 비판 & 도시적 삶에 대한 운명적 수용 모색이 사회적 소외의 정조
3. 자아와 세계 상실의 소외
전통윤리가 사라지고 범죄가 도시에서 자신의 경험을 의미 있게 결합시키지 못하고 파편화
인간적 가치의 상실 & 무의미의 소외
◉ 시맨 (Melvin Seeman)은 소외의 유형
① 무력감 (helplessness)
무력감은 자기 자신의 행동이 자신이 바라는 결과를 발생시킬 수 없다고 느끼는 기대 또는 확률을 의미한다.
② 무의미감 (meaninglessness)
무의미감은 개인이 무엇을 믿을까 알 수 없는 것, 즉 의사결정의 명료성에 대한 개인의 최소기준이 만족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③ 무규범감 (normlessness)
무규범감은 특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사회적으로 시인될 수 없는 행동이 필요하다는 높은 기대를 의미하 며 뒤르켕의 아노미 (anomie)에서 유래된 것이다.
④ 고립감 (isolation)
고립감은 특정 사회에 전형적으로 높은 가치가 부여되어 있는 목표나 신념에 대하여 개인이 낮은 가치를 부 여하는 것을 의미한다.
⑤ 자기소원 (self-estrangement)
자기소원은 특정행위가 예기되는 장래보상, 즉 활동 자체 이외의 보상에 종속하는 정도를 의미한다.
[출처]소외와 생태주의|작성자바람나무
#국제대학교상담심리치료학과#상담학과#심리학과#망상#환각#3년제# 상담심리#정신병#심리치료#쿠르트슈나이더#정신장애#망각#환각#상담심리학과#3년제#이상심리학#감정장애#기분장애#인격장애#철학#비트켄슈타인#일상언어철학#분석철학#현대철학#언어철학#폭로법#교육심리학#로프투스#범죄심리학#신경증#마음#갈등#억압#정신질환#Rosenhan#가족유사성#철학#존오스틴#발화행위이론#일상언어철학#언어철학#현대철학#심리상담#이리가레#벨하이브#보부아르#페미니즘#페미니스트#남녀평등#상호인정#타자#하버마스#발달재활서비스#미술심리재활#재활심리#전문대학교#수시박람회#상담심리학과#철학상담#비합리성#아인슈타인#키에르케고르#벤듀라#관찰학습#교육심리학#수시#방관자효과#범죄심리학#욕망#헤르바르트#수시2차#관념#직업상담사#임상심리사#청소년상담사#국제대학교#크레페린#곽임원#라캉#에리히프롬#프리츠펄스#긍정심리학#콜버그#발달심리학#범죄심리학#국제대학교#2020수시#라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