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오랑세오녀설화
延烏郎細烏女說話
본래 『수이전(殊異傳)』에 전하던 것인데, 고려 때 『삼국유사』에 채록되었다. 이 설화는 단순한 연오·세오 부부의 이동설화가 아니고 고대의 태양신화의 한 원형으로 여겨진다.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신라 제8대 아달라왕 (157) 동해변에 연오랑·세오녀 부부가 살았다. 하루는 연오가 바닷가에서
해조(海藻)를 따고 있던 중 갑자기 바위가 연오를 싣고 일본 땅으로 건너갔다. 그 나라 사람들이 연오를 보고 비상한 사람으로 여겨 왕으로 삼았다.
세오는 남편 연오가 돌아오지 않자 찾아나섰다가 벗어 둔 신을 보고 그 바위에 오르니 바위가 또 세오를 일본으로 실어 갔다. 그 나라 사람들이 놀라 이 사실을 왕께 아뢰니 부부가 서로 만나 세오를 귀비로 삼았다.
이 때 신라에서는 해와 달이 빛을 읽었다. 일관(日官)이 아뢰기를 일원의 정기가 일본으로 건너가 바려 괴변이 생겼다고 하였다. 이레 국왕은 사자를 일본에 보내어 이들 부부를 찾게 되었다.
연오는 그들의 이동은 하늘의 시킴임을 말하고 세오가 짠 세초(細綃)로 하늘에 제사하면 다시 일원이 밝아질 것이라고 하였다. 이에 사자가 가지고 돌아온 그 비단을 모셔 놓고 제사를 드렸더니 해와 달이 옛날같이 다시 밝아졌다. 비단을 창고에 모셔 국보로 삼고 그 창고를 귀비고(貴妃庫)라 하였으며, 하늘에 제사 지내던 곳을 영일현(迎日縣) 또는 도기야(都祈野)라 하였다.
연오는 태양 속에 까마귀가 산다는 양오전설(陽烏傳說)의 변음으로 볼 수 있고, 세오도 쇠오, 즉 금오(金烏)의 변형으로 볼 수 있다, 연오와 세오의 이동으로 일월이 빛을 잃었다가 세오의 비단 제사로 다시 광명을 회복하였다는 일월지(日月池)의 전설과 자취는 영일만에 남아 있다.
영일현의 영일(迎日), 즉 ‘해맞이’의 지명도 태양신화와 직접 관련이 있으며, 『일본서기』의 「천일창설화(天日槍說話)」 도 같은 유의 광명의 신, 즉 태양신화의 이동전설이라 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동남 해안과 일본의 이즈모[出雲] 지방은 역사적으로도 문화의 전승로였음을 감안해 볼 때, 이 설화는 그러한 문화를 따라 이동한 태양신화의 한 모습을 잘 설명하고 있다.
세초(비단)를 최남선은 ‘Mana’라는 말로 표현하였으며, 비단을 제사하여 광명을 회복하고, 이 비단을 귀비고에 간직하여 국보로 삼았다고 하였다.
한편, 도기야는 『동국여지승람』에 욱기야(郁祈野)라고도 하였으니, 이는 『경상도지리지』 근오지(斤烏支)의 ‘오지(烏支)’와도 음이 일치한다. 일본의 지명 오키[隱岐]와도 동일하여, 연오·세오가 일본에 건너가 구연의 땅 오키[迎日]의 이름을 자기의 신왕국의 명칭으로 삼았다고도 보여진다. 이 점은 일본인 나카다[中田]도 출항과 기황지를 영일만과 오키 지부도(知夫島)로 비정하고 있어 매우 흥미롭다.
결국, 「연오랑세오녀설화」 는 일찍이 우리 민족이 일본 땅을 개척하여 통치자가 되고 내왕한 문화적 사실을 원시적 태양신화의 동점설화에 붙여 상징적으로 설명하고 있는 좋은 예화라 생각된다, 그러므로 연오와 세오도 광명을 의인화한 명칭으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참고문헌
・ 『삼국유사(三國遺事)』
・ 「연오랑세오녀전설의 한 연구」(이관일, 『국어국문학』55∼57, 1972)
・ 「연오세오설화고」(소재영, 『국어국문학』36, 1967)
・ 「알타이계 시조신화연오랑세오녀」(박시인, 『예술논문집』5, 1966)
・ 「연오랑세오녀전설(延烏郎細烏女傳說)의 유래」(김창조, 『신흥』 창간호, 1929)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연오랑세오녀설화
연오랑세오녀(延烏郞 細烏女)
작품소개
신라 때의 설화. 고려 초엽 박인양(朴寅亮)이 엮은 <수이전(殊異傳)>에 시렸던 것으로, 지금은 <삼국유사(三國遺事)>와 <필원잡기(筆苑雜記)>에 수록되어 전한다. 연오(延烏)와 세오(細烏)가 일본으로 건너가게 되자 일월이 빛을 잃었다가 세오의 비단으로 제사를 지내자 다시 빛을 회복하게 되었다는 설화로 이는 한국의 태양신(太陽神)에 관한 신화로서는 유일한 것이며, 이 태양신의 일본 이동과 관련하여 일본 태양신 신화와의 비교연구가 주목된다.
원문
第八 阿達羅王卽位四年丁酉 東海濱 有延烏郞 細烏女 夫婦而居 一日延烏歸海採藻 忽有一巖[一云一魚] 負歸日本 國人見之曰 此非常人也 乃立爲王[按日本帝記 前後無新羅人爲王者 此乃邊邑小王 而非眞王也] 細烏怪夫不來 歸尋之 見夫脫鞋 亦上其巖 巖亦負歸如前 其國人驚訝 奏獻於王 夫婦相會 立爲貴妃 是時新羅日月無光 日者奏云 日月之精 降在我國 今去日本 故 致斯怪 王遣使求二人 延烏曰 我到此國 天使然也 今何歸乎 雖然朕之妃 有所織細 以此祭天可矣 仍賜其 使人來奏 依其言而祭之 然後日月如舊 藏其於御庫爲國寶 名其庫爲貴妃庫 祭天所名迎日縣 又都祈野 <삼국유사> 권1 제2 기이(紀異)편
국문풀이
제8대 아달라왕(阿達羅王) 즉위 4년 정유(158)에 동해 바닷가에 연오랑(延烏郞)과 세오녀(細烏女)가 부부로서 살고 있었다. 어느날 연오가 바다에 가서 해조(海藻)를 따고 있던 중, 갑자기 바위 하나-혹은 고기 한 마리라고도 한다-가 연오를 싣고 일본으로 가버렸다. 그 나라 사람들이 연오를 보고 말했다. “이는 비상한 사람이다.” 그래서 왕으로 삼았다. -<일본제기(日本帝紀)>를 살펴보면 전후에 신라 사람이 왕된 이가 없으니, 이것은 변읍(邊邑)의 소왕(小王)이고, 진왕(眞王)은 아닐 것이다. 세오는 그 남편이 돌아오지 않음을 괴이히 여겨 가서 찾다가, 남편의 벗어놓은 신을 보고 그 바위에 올라가니, 바위는 또한 그전처럼 세오를 싣고 갔다. 그 나라 사람들이 보고 놀라서 왕께 아뢰니, 부부가 서로 만나게 되어 세오를 귀비(貴妃)로 삼았다. 이때 신라에서는 해와 달이 없어지니, 일관(日官: 천문과 점치는 일을 맡은 사람)이 말했다. “해와 달의 정기가 우리나라에 있었던 것이 지금 일본으로 가버힌 때문에 이런 괴변이 일어났습니다.” 왕은 사자(使者)를 일본에 보내어 두 사람을 찾았다. 연오는 말했다, “내가 이 나라에 온 것은 하능링 시킨 일이니, 이제 어찌 돌아갈 수 있겠소. 그러니 나의 비(妃)가 짠 고운 명주 비단이 있으니, 이것으로써 하늘에 제사를 지내면 될거요.” 이에 그 비단을 주었다. 사자가 돌아와서 아뢰었다, 그 말대로 제사를 지냈더니 해와 달이 그전과 같아졌다. 그 비단을 임금의 창소에 간직하여 국보로 삼고 그 창고를 귀비고(貴妃庫)라 하며, 하늘에 제사지낸곳을 영일현(迎日縣) 또는 도기야(都祈野)라 했다.
참고<삼국유사>, 이재호 역, 솔출판사 1997
해설
연오랑 세오녀(延烏郞 細烏女) 설화는 영일현의 영일(迎日), 즉 ‘해맞이’의 지명도 태양신화와 직접관련이 있으며, <일본서기>의 ‘천일창설화(天日槍說話)’도 같은 류의 광명의 신, 즉 태양신화의 이동설화이라 할수 있다. 우리나라의 동남해안과 일본의 이즈모(出雲) 지방은 역사적으로도 문화의 전승로였음을 감안해 볼 때, 그러한 문화를 따라 이동한 태양신화의 한 모습을 이 설화는 잘 설명하고 있다. 연오와 세오의 이름 속에 공통으로 들어가는 까마귀(烏)는 고대 동아시아에서는 태양을 상징하였다. 따라서 연오(延烏)는 ‘태양을 맞이한다(迎日)’, 또는 ‘태양 속에 까마귀(陽烏)’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해석될 수 있다. 연오는 태양속에 까마귀가 산다는 양오(陽烏) 전설의 변용으로 볼 수 있고, 세오(細烏)도 쇠오, 즉 금오(金烏)의 변형으로 볼 수 있다. 한편 세오의 비단을 가져와 하늘에서 제사 지내던 곳을 ‘영일현(迎日縣)’ 또는 ;도기야(都祈野)‘라 하였는데 여기에서 도기야는 <동국여지승람>에 ’욱기야(郁祈野)‘라고도 하였으니, 이는 <경상도지리지>에서 설명한 근오지(斤烏支)의 ’오지(烏支)‘와도 음이 일치하며 일본의 지명 ’오키(隱岐)’와도 동일하여, 연오·세오가 일본에 건너가 구연(舊緣)의 땅 오키(迎日)의 이름을 자기의 신왕국의 명칭으로 삼았을 가능성을 짐작해졸 수 있게 한다. 결국<연오랑세오녀설화>는 일찍이 우리 민족이 일본 땅을 개척하여 통치자가 되고 내왕한 사실을 원시적 태양신화의 동점설화(東漸說話)에 붙여 상징적으로 설명하고 있는 좋은 예화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연오와 세오도 광명을 의인화한 명칭으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연계정보
삼국유사(三國遺事)
출처 문화포털, 예술지식백과, 연오랑세오녀
* 연오랑세오녀 테마공원 소개 블로그
출처 시민포항[소셜기자]
연오랑세오녀 설화가 있는 포항의 영일만에 연오랑세오녀 테마공원이 있습니다.
블로그에 설명이 잘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일본의 웃대를 길게 찾다 보면 한국인이 많다고 합니다.
제가 마음소리로 들었을 때 전생의 한국인이라고 해서 얘기를 자꾸 하니 대부분 전생의 한국인이라고 하는 것 같길래 좀 의아해 했었는데 나중에 알고 보니 제 가족이였던 일본인이 먼저 기억이 있어서 아는 척을 해 주셨던 거였지만요 그 때도 잘 생각해 보니, 연오랑세오녀 설화가 있는데 그 설화가 내용이 맞다면 아마 일본인의 반은 한국인이 웃대걸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마음속에서도 아마 반 넘게라고 사람들이 얘기를 했습니다.
그래서 제가 그것 때문에 우리나라 설화 '연오랑세오녀설화' 얘기를 올렸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