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함양, 마천 금계마을~창원마을 산길 트레킹
▣ 산청, 가락국 양왕 덕양전 안내문
* 2021. 5.1.
잔뜩 흐린날
금계마을에서 창원마을로
지리산 둘레길을 트레킹,
창원마을에서 도로로
금계마을로 되돌아 왔다.
추성리 칠선계곡 방향
추성리 칠선계곡 방향(추은수)
추성리 칠선계곡 방향(추은수)
추성리 칠선계곡 방향(추은수)
추성리 칠선계곡 방향
추성리 칠선계곡 방향
채석장, 석재도 캐고, 불상도 새기고.
채석장, 석재도 캐고, 불상도 새기고.
창원마을에서
창원마을에서
창원마을에서
창원마을에서
지리산조경산업
채석장, 석재도 캐고, 불상도 새기고.
산청 효자 이몽래 이야기 / 가락국 양왕(구형왕)과 덕양전
도중에 산청휴게소
도중에 산청휴게소
도중에 산청휴게소, 경호강변 거북바위 주변
산청휴게소와 경호강, 거북바위, 효자 이몽래 이야기
산청휴게소
산청군 금서면 화계리 덕양전 부근
도중에 산청 덕양전(김해 가락국 마지막왕 구형왕의 덕을 칭송하며 위패를 모신 사당)
[덕양전 안내문]
駕洛國 讓王 德讓殿
(가락국 양왕 덕양전)
덕양전은 가락국 제10대 구형왕과 계화왕후의 신위와 존영을 봉안한 곳이다.
구형왕의 존호는 양으로 서기 521년 가락국(금관가야)의 마지막 왕으로 등극하였으며, 세종, 무력, 무덕 세 아들과 증손으로 흥무대왕 김유신, 5대 외손으로 신라 제30대 문무대왕(휘, 법민)을 두셨다.
서기 532년 전쟁의 피해에서 백성들을 구하고자 신라에 나라를 선양하신 후 가락국 시조 김수로대왕의 태왕궁지인 가락 지품천 방장산 속 태왕산으로 이거하셨다.
시조왕의 태왕산은 수정같이 맑은 물이 샘솟고 있어 궁궐의 이름을 ‘수정水晶’ 으로 편액하고 수년간 은거하다 승하하시니 군, 관, 민에 의해 석릉으로 모셔졌다.
나라는 내주었으나 백성을 사랑하였던 임금의 선정善政으로 자손이 크게 번성하니 왕의 음덕이 길이 흐르고 추모하는 정성이 특별하여 천 수 백년을 이어 제사가 끊이지 않았다.
덕양전은 왕의 증손인 흥무대왕 김유신(金庾信, 595~673) 대장군이 왕릉 옆 터에 단을 쌓아 왕의 침궁이었던 수정궁을 옮겨짓고 제향을 받들게 되니, 그 수정궁이 지금 덕양전의 모태가 된다.
서기 676년 신라 문무왕(626~681/ 재위 661~681)은
“나는 구형왕의 5대 외손이다. 중시를 파견하여 사당과 능묘를 단장하고 절을 중수케하며, 왕릉 부근의 땅 30경을 봉하여 제사를 지내는 세경細徑쓰으로 쓰게하라.” 라는 기록으로 왕의 제례가 문무왕 16년에 성대하게 봉향되었음을 알 수있다.
이후 전란으로 제향이 잠시 중단되었지만 1798년 정조 22년 계해년에 다시 심릉사실이 이루어지므로 양왕과 침궁인 수정궁에 신위를 봉안하고 제례를 봉향하였다.
이 수정궁은 1878년 무인년 (고종 15년)에 가락국 시조 대왕 숭선전崇善殿이 사액됨을 계기로 전호를 덕양전德讓殿으로 개칭하였다.
1928년 현재의 장소로 옮겨왔으며, 두 차례에 걸쳐 추모재追慕齋, 왕산숙王山塾, 관리사 등을 중수하였고, 2014년 가락국역사관이 건립되어 지금의 모습을 갖추었다.
천 수백여 년의 유구한 세월 동안 이어져 내려오는 양왕의 제례는 후손들뿐만 아니라 국내외 각계 인사들과 지역 유림들에 의해 매년 봄(음 3월 16일), 가을(음 9월 16일)에 봉향되며, 매월 초하룻날과 보름날에 삭,망 분향례를 올린다.
덕양전 왕산숙
덕양전 구형왕(양왕 기념비)
덕양전, 위패를 봉안한 가장 중심이 되는 건물인 사당.
덕양전
덕양전의 가락국 역사관
가락국 김수로왕 시조부터 마지막 10대왕 구형왕까지
구형왕(양왕)에 대하여
구형왕 왕릉
구형왕 왕릉
산청군 금서면 화계리 덕양전 부근
산청군 금서면 화계리 덕양전 부근
산청군 금서면 화계리 덕양전 부근
다시 지리산, 둘레길 창원마을 전경
창원마을 둘레길
창원마을 둘레길
창원마을 둘레길
금계마을~창원마을간 지리산 둘레길 아침 등산은 이재익, 배종복, 정용우, 추은수 4명 참가했다. 6시 30분~8시 30분
솜방망이꽃
창원마을 펜션
엉겅퀴
엉겅퀴(추은수)
애기똥풀
패랭이
매발톱
불두화
불두화
층층둥굴레
큰으아리꽃
조팝나무꽃
할미꽃씨
꽃양귀비
황금회화나무
황금주목
추은수
황금사철나무
금낭화(추은수)
미나리냉이(추은수)
패랭이꽃(추은수)
데이지(추은수)
추은수
매발톱(추은수)
추은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