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난계 삼강할배에서옮김
참석자 : 종약회고문 태용, 회장 용덕, 부회장 돈식, 부회장연군, 총무 종식, 재무 용식,
소영회회장 연호, 훈수종손 윤극, 병용, 순식, 민식, 동길, 태기, 13명
우수.경칩이 지난 춘삼월에
~~~도운회의 영향으로 전남 화순 일원을 탐방하다~~~
언 제 ; 2015년 3월 14~15일 양일간
어디에 ; 전라남도 화순군(和順郡) 일원
***처음<1>으로 대구에서 화순군 도착까지 코~스***
지난 년도에 도운회에서는 안동에서 총회를 거행하면서
을미년 행사 계획을 전남 화순으로 계획한다고 미리 알려주어 회원들은
많은 기대를 그리고 화순의 역사 문화 여러곳을 생각하면서 대구에서 관광버스 2대
80여명이 참석 우리 가문 노촌공(휘;윤량) 후손들도 다들 가고파하였는데 연고가 생기어
열세명이 참석 즐거운 여행 겸 문화탐방, 학술발표에 많은 배움을 터득하였고 전남 화순군의
몇곳을 관찰하면서 보람된 양일간의 시간을 꾸며었다.
ㅇ
대구회원을 태운 관광버스 2대~~~
===전라남도 화순군은===
동쪽은 곡성군·순천시, 서쪽은 나주시, 남쪽은 보성군·장흥군, 북쪽은 광주광역시·담양군·곡성군과 접하고 있다. 동경 126°49′∼127°12′, 북위 34°50′∼35°12′에 위치하고 있다. 면적은 786.63㎢이고, 인구는 7만 327명 (2008년 현재)이다. 행정구역으로는 1개 읍, 12개 면, 341개 리가 있다,군청은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훈리에 있다. ㅇ
대구 도운회 1호차 2호차로 표시하고~~~
전남 화순군(全羅南道 和順郡)의 행정구역은==
남면. 능주면. 도곡면. 도암면. 동면. 동복면. 북면. 이서면. 이양면.
청풍면. 춘양면. 한천면. 화순읍
ㅇ
지리산 휴게소에서 잠시 휴식을~~~
『화순군 마을 유래지』는 1986년 조사된 기초 조사표와 1991년 재조사표를 기본으로 1차 원고를 작성한 후 3~4차례의 보완을 거쳤다. 그 후 1993년 11월부터 1994년 9월까지 최종 자연 마을별 답사를 마친 후에 2차 원고가 작성되었고 3~4차례에 걸친 마을별 감수를 마친 후 읍면별 감수를 거쳐 최종 군 감수를 마친 후 1995년 발간되었다.
ㅇ
휴게소 마당에 300년 되었다는 노송도~~~
• 『화순군 마을 유래지』에서는
화순군의 지리와 행정 연혁의 변천 및 화순군
관내 446개 마을 이외에 수몰되거나 폐촌이 된 곳까지
자연 마을 별로 수록하였다. 기본 현황과 당시의 성씨 통계를
수록하였고, 지명과 마을 유래를 구전과 옛 기록을 통하여 기록하였다.
마을 형성은 마을의 위치와 입향 성씨의 유래를 각 문중의 족보를 중심으로
기록하였다. 또한 각 마을에 있는 유물·유적·고문서 등을 기록하였고 민속놀이·
전설·민담·농요·구비 문학을 수록하였다. 주요 지명과 풍수를 비롯하여 각 마을 출신의 대표적인 인물들을 수록하였으며, 마을의 자생 조직과 친목 단체를 간략하게 표시하였다.
ㅇ
노송의 설명문도~~~
『화순군 마을 유래지』는
전라남도 화순군의 근대 역사 사진을 책
서두에 수록하여 기록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본문 제1편에서는 화순군의 지리·위치·기후·인구·산업이 수록되었고
, 제2편 화순군의 행정 연혁 변천 부분에서는 선사 시대·마한·백제·통일 신라 시대·
고려 시대·조선 시대·일제 강점기에서부터 현재까지의 변화를 수록하였다. 제3편 읍면별
마을 유래 부분에서는 화순읍·한천면·춘양면·청풍면·이양면·능주면·도곡면·도암면·이서면·북면·동복면·남면·동면의 자연 마을에 대한 내용들이 서술되어 있다.
책 말미에는 참고 문헌 및 자료와 찾아보기가 있다.
ㅇ
머~얼~리 세워져있는 기념탑도 담고~~~
자연환경
소백산맥에서 뻗은 지맥들로 이루어진 산악지대로,
서부의 하천유역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400∼900m의 산지로
이루어져 있다. 지질은 대부분이 견고한 화강편마암류로 사장석과
석영으로 된 백색편마암과 석영편마암 등으로 되어 있다.
ㅇ
학술발표하실 경북대 명예교수 김시황박사도(학봉 김성일의 14세손이란다)~~~
북부에는 무등산(無等山, 1,187m)·백아산(白雅山, 810m)·
만연산(萬淵山, 609m)·안양산(853m) 등 높은 산들이 솟아 있다.
동부에는 밤실산(598m)·모후산(母后山, 919m)·두봉산(斗峰山, 631m)·
장재봉(550m), 남서부에는 해망산(海望山, 356m)·천태산(天台山, 497m)·
선왕산(仙旺山, 460m)·화학산(華鶴山, 614m)·국사봉(國師峰, 499m)·봉미산(鳳尾山,
506m이 있다. 중앙에도 천운산(天雲山, 602m)·용암산(聳巖山, 545m)·노인봉(老人峰, 530m) 등이 솟아 있다.
ㅇ
버스 실내도 담아 (좌측이 하천종약회장 정용덕님,우측에 옻골 백불암 종손 최진돈씨)보고~~~
백아산은 북면에 있는 산인데 석회암으로 형성되어 있어
흰 거위 모습에 비겨 이름지어졌다. 만연산은 화순읍 동구리에 있는 읍의
진산이다. 순천시의 경계에 운월재·막거리재가 있고, 남쪽에 우치(牛峙)·백토재·
웅치(熊峙) 등이 있다. 너릿재는 화순읍과 광주광역시 사이에 있는 고개이다.
ㅇ
중고교 국어만 40여년을 지도했다는 최태연 선생님도(병자생이시란다)
국어와 우리 풍습에 관하여 좋은 덕담을 들여 드리고~~~
동복천(同福川)이 동부를 남류하며, 능주천(綾州川)이 중앙을 북류하고,
화순천(和順川)이 북부를 서류하여 능주면 원지리에서 합류, 지석천(砥石川)을
이루며 서류한다. 이들 하천유역에는 평야가 형성되어 있으나 화순천과 능주천이
합류하는 유역에 발달한 능주평야를 제외하고는 소규모일 뿐이다.
ㅇ
우리 문중 일행분들도 담고~~~
동복천은 백아산 북쪽에서 발원하여 내북천(內北川)·
외애천(外艾川)·외동천(外東川)·운산천(雲山川)·고성천(古星川)·
안심천(安心川)·유천(楡川)·가수천(佳水川)·장전천(長田川)·용대천(龍坮川) 등
많은 지류와 합쳐지면서 남류하여 보성강에 합류한다.
ㅇ
금강산도 식후경이라 점심을 먹으려고~~~
수원이 풍부하여 유량이 많고 물이 깨끗하기로 유명하며,
상류에서 잡히는 은어는 복천어(福川魚)라하여 예로부터 왕에게
진상하였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강변에는 붉은 암벽을 이루고 있는 적벽이
있으며, 천연의 굴암과 안암바위 등이 있어 주변경관이 아름답기로 유명한 만경대가 있다.
ㅇ
식당 전면에 조경들이 정말 아름답게 꾸며져있다~~~
동복면과 이서면의 경계인 협곡에는 동복댐이 건설되어
화순읍민과 광주시민의 상수원으로 이용되고 있다. 유역에는 소규모의
동복평야가 형성되어 있다.
기후는 산지가 많아 여름에도 기온이 높지 않고 안개가 자주 낀다.
연평균기온 14.3℃, 1월 평균기온 0.0℃, 8월 평균기온 26.3℃이며, 연강수량은
1,742㎜이다. 서리는 10월 하순부터 내려 이듬해 4월 중순에 끝난다.
ㅇ
추어탕집이라 미꾸라지를 안고~~~
구석기시대 주거유적이 남면 사수리 대전마을 주암댐
수몰지구에서 발견되었다. 청동기시대와 철기시대의 유물·유적으로는
1,180여 기의 고인돌과 도곡면 대곡리에서 세형동검·팔두령(八頭鈴)·
동경(국보 제143호) 등의 청동제품이 출토되었으며, 도암면 대초리에서 마제석촉이
출토되었다. 군의 전 지역에서 발견되는 고인돌군은 이 지역에 일찍 정치세력이
출현하였다는 것을 알려준다.
코끼리 머리상
미꾸라지 모형상
ㅇ
식당 현판도 돌에다 굉장하다~~~
마한의 여러 소국 가운데 여래비리국(如來卑離國)이 이 지역에 비정되지만
확실하지 않다. 백제의 영역에 들어간 뒤 잉리아현(仍利阿縣)·이릉부리군(爾陵夫里郡)·두부지현(豆夫只縣) 등이 설치되었다.
ㅇ
몹시들 시장하여 맛이 절로 절로~~~
757년(경덕왕 16) 이릉부리군은 능성군(陵城郡 또는 綾城郡)으로,
잉리아현은 여미현(汝湄縣)으로 고쳐져 능성군의 영현이 되었다.
두부지현은 동복현(同福縣)으로 고쳐져 곡성군(谷城郡)의 영현이 되었다.
868년(경문왕 8) 무렵 쌍봉사(雙峰寺)에 철감선사(澈鑒禪師)의 탑과 탑비 등이
건립된 것으로 보이며, 이곳이 선종의 중심지 가운데 한 곳이었던 것 같다.
ㅇ
전라도에 맛내는 추어탕이 매운탕 같기도 하고~~~
940년 여미현은 화순현(和順縣)으로 개칭되어 나주목의
속현이 되었다가 뒤에 능성현에 소속되었다. 1018년에 동복현은
보성군의 속현이 되었고 능성군은 처음 나주목에 영속되었다가 1143년(인종 21)
현령이 파견되어 능성현이 되었다. 1390년(공양왕2)화순현과 동복현에 감무가파견되었고
화순감무는 남평감무(南平監務)를 겸임하였다.
고려 후기에 운주사의 불탑과 불상이 집중적으로 건립되었다.
ㅇ
나도 한그릇 뚝딱~~~
1394년(태조 3) 남평과 화순이 분리되었고 화순감무가
동복감무를 겸하게 되었다. 1405년(태종 5)동복현이 폐지되어
화순현에 합쳐졌으며 1407년 복순현(福順縣)으로 개칭되었다. 1416년
다시 동복현이 분리, 독립되었고 화순현은 능성현에 합속되어 순성현(順城縣)으로
개칭되었다가 1418년 각각 분리되었다.
ㅇ
도운회원님들이 많기도 하다~~~
1392년에 능주향교가, 1434년(세종 16)에 화순향교가,
1445년에 동복향교가 건립되었다. 1594년(선조 27) 임진왜란의
병화 때문에 화순현이 능성현에 합쳐졌다가 1611년(광해군 3) 다시 분리되었다.
ㅇ
맛이 거져 그만이란다~~~
1632년(인조 10) 능성현이 인조의 모후인 인헌왕후(仁獻王后) 구씨(具氏)의
관향이라 하여 능주(綾州)로 개칭되고 목으로 승격되었다. 1655년(효종 6)동복현이
폐지되어 화순현에 예속되었다가 1664년(현종 5) 다시 분리되었다.
ㅇ
다시 김시황 교수의 유모어스런 우리 풍습에 젓어드는 잘못돤
관습 몇가지를 말씀하시고~~~
이처럼 화순·동복·능주는 세 개의 행정단위로 나누어져 있으면서
빈번하게 폐합·분치를 거듭하였다. 1592년 임진왜란 때 최경운(崔慶雲)·
경장(慶長)·경회(慶會) 3형제와 그 자제들 등 6명이 의병을 일으켰으며, 최경회는
진주성싸움에서 순국하였다. 이들이 의병을 일으킨 자리에 고사정(高士亭)이건립되었다.
ㅇ
전국에서 버스 9대가 운집하고
전국(호남 제외)회원이 380명 정도란다~~~
중종 때 능성과 동복으로 귀양온 조광조(趙光祖)와 최산두(崔山斗)
등에 의하여 성리학의 보급이 활발했으며, 이들을 배향하는 죽수서원(竹樹書院)과
도원서원(道源書院)이 건립되었다.
ㅇ
학술 발표장소 하니움 스포츠센타 건물을~~~
1895년(고종 32) 나주부 화순군·능주군·동복군으로 개편되었다가
능주군·동복군이 폐지되어 1896년 전라남도 화순군이 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능주·동복 지역 외에 남평군 저포면·다소면 일부, 광주군 지한면 일부,
창평군 일부가 합쳐져 지금의 화순군과 거의 같은 영역을 갖추게 되었다.
ㅇ
퇴계 이황선생 종손 이근필옹도 보이시고~~~
1906년 최익현(崔益鉉)의 의병군에 문달환(文達煥)·
양재해(梁在海) 등이 참여하였다. 1908년 이관회(李寬會)는
보성의 안규홍(安圭洪)과 함께 문덕의 병치에서 큰 전과를 올렸다.
ㅇ
화순군내 공설운동장 마당이 엄청 넓다~~~
1919년 3·1운동 때 이 군 출신 양한묵이 33인의 한 사람으로
많은 영향을 끼쳤다. 3월 13일화순에서 양회준(梁會俊) 등이, 3월 15일
갱무산(更舞山)에서 조국현(曺國鉉) 등이, 3월 20일 동복에서 오재인(吳在仁)
등이 주동하여 만세시위를 전개하였다.
ㅇ
반송과 조각 작품(붓을 세워 놓고)도
"천상의 불꽃,대지에 획을 끗다"~~~
1932년 여러 면들이 이양면·북면·남면 등으로 합쳐지는 등 면간의 폐합이 있었다.
ㅇ
다시 회원들 모임 장소로~~~
1950년 6·25사변 때 동복향교가 소실되었으며 1962년 11월 21일화순면이
읍으로 승격되었다. 1973년 7월 1일동면 수만리가 화순읍에, 1983년 2월 15일
도곡면 주도리가 화순읍에 편입되었고, 1988년 3월 25일에 북면 외애리가 임곡리로
개칭되었다.
<화순의 내력이 너무 많아 여기서 생략하기로 한다>
ㅇ
문재구 도운회장이 양일간의 스케쥴을 이야기 하고~~~
ㅇ
아름답게 꾸며져 있는 뒷편 건물도~~~
ㅇ
스포츠 센터라 조각들도 스포츠에 관계된 것들이~~~
첫댓글 노촌(휘 윤량)공께서 안동의 퇴계선생의 가르침을 받으신 제자이시다.
그 후손들의 모임이 도운회이다. 그래서 군위형님과 나도 가입되어있다. 올해는 병환등으로 결석을 해서 아주 유감스럽다.
효자로 이름나신 노촌공의 유사를 읽어봄도 좋은 계기가 될것같다.(선조이야기-3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