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막 상식:
일반 적응 증후군(General Adaptation Syndrome; GAS)
일반 적응 증후군 –
사람들은 지속적인 스트레스를 받으면 일단 신체적 증상을 나타낸다. 스트레스 반응으로 나타나는 이런 신체적, 생리적 반응들을 한스 셀리는 '일반 적응 증후군'이라고 했다. 이 증상들은 세 단계로 나타난다.
스트레스의 초기에는 경고 반응이 나타난다. 이때에는 흔히 입과 혀가 헐고, 두통, 미열, 피로, 식욕 부진, 무력감, 근육통, 관절통 등의 증상이 나타나고 심신의 저항력이 떨어진다.
스트레스가 경고 단계에서 해소되지 않고 더 지속되면 저항 단계에 이른다. 이 단계에서는 뇌하수체에서 부신피질자극호르몬(ACTH)과 부신에서 부신피질호르몬(Steroid)이 분비되어 스트레스 반응을 완화시키려 한다. 이때에는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력이 높아지고 스트레스 초기에 나타났던 증상들이 사라진다.
신체의 저항에도 불구하고 스트레스가 지속되면 탈진 단계에 이른다. 이때에는 뇌하수체나 부신에서 호르몬 분비가 더 이상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스트레스에 대한 신체 저항력이 상실되고 초기 단계에서 나타났던 여러 증상들이 다시 나타난다. 그러나 더 이상 회복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질병으로 발전하거나 심할 경우 사망으로 이어진다. 스트레스가 오래 지속되면 신체의 균형이 깨뜨려 심장병, 편두통, 위궤양, 고혈압, 알러지 등 여러 가지 정신 신체적 질환을 초래하고, 심리적 불균형 때문에 불면증, 불안, 환각, 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정열소진 증후군,탈진 증후군- 일에 자신의 에너지를 다 쏟아 붓다가 어느 순간 일로부터 자신이 소외당하면서 겪는 심리적, 행동적 증상들을 '정열소진 증후군', 또는 '탈진 증후군'이라고 한다.
일반 적응 증후군
한스 셀리에(Hans Selye)는 스트레스에 대해서 일반 적응 증후군(General Adaptation Syndrome; GAS)를 언급한 바 있다.
여기서 일반(General)이란 스트레스는 생물체의 행동인 '생존과 번식'과 관련하여 광범위하고 일반적인 과정하에 놓여있다는 의미이며 적응(Adaptation)이란 스트레스 원인으로부터 신체가 이를 대처하게 하거나 수용하려한다는 의미이며, 증후(Syndrome)란 스트레스 결과에 의거해 어떤 반응이 일어난다는 의미이다.
스트레스를 경험하면 인체는 생리상 정상수준을 유지하고자 스트레스에 경계(alarm)하거나 스트레스에 저항(resistance)한다. 스트레스는 스트레스 자극에 반응해 평온한 상태(homeostasis)를 유지하려는 생리상 반응, 즉 ‘싸움-도주 반응(fight or flight)’의 과정이다.[1]
탈진[편집]
|
스트레스 저항- 1단계(경보,alarm), 2단계(저항,registance), 3단계(탈진,exhaustion)
|
여기서 주요한 현상은 탈진(exhaustion)이다. 탈진은 스트레스에대한 일반적인 과정인 경계(또는 경보)나 저항 보다도 더
광범위하고 지속적인 스트레스 상황에 장시간 노출됨으로써
신체적 에너지 고갈을 야기할뿐만아니라 심리적으로 정서적인 불안정한 상태에 취약하게 만들수있다는 점에서 매우
위협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