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폭력에 노출된 아이의 사회성
가정폭력은 피해자에게 신체적 및 정신적 상해를 가져올 뿐만 아니라 가족 구성원 모두에게 장기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특히 아동·청소년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은 매우 심각하기때문에 폭력 가정 자녀들의 부적응 문제에 대한 대책 마련은 범사회적인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부모의 자녀 학대를 경험하거나, 부부간의 폭력을 관찰하며 성장한 자녀는 여러 가지 심리·사회적인 부적응 문제를 지니게 되고, 이들은 부모의 폭력 행위를 학습하여 다음 세대의 폭력 가해자가 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은 많은 연구와 조사에 의해 알려져 왔습니다. 가정은 사회 생활로 심신이 지친 가족이 편안하게 쉼과 지지를 얻을 수 있는 안식처가 되어야 하는데, 가정 폭력으로 가정이 공포의 공간으로 인식되면, 그 개인은 온전한 삶을 살아갈 수 없습니다. 아동·청소년이 개인이 당면한 생애주기에 배워야 할 것을 배우지 못하고, 사랑과 보호를 가정에서 받지 못 하고 가정 내에서 폭력을 겪어나 목격한다면, 단계적으로 성장해야 할 정신적, 육체적, 성적, 경제적, 상호작용 등 모든 면에서 시달림과 어려움으로 온전한 삶을 이룰 수 없게 됩니다.
가정폭력이 폭력 가정 청소년의 부적응 행동에 대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에서 아버지의 언어적 학대와 신체적 학대는 자녀의 공격성에 영향을 미쳤고, 부모의 자녀 학대 전체는 자녀의 공격성 및 강박성과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어머니에 대한 아버지의 심리적 폭력은 자녀의 공격성 및 부적응 행동 전체에 영향을 미쳤고, 어머니에 대한 아버지의 신체적 폭력은 공격성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습니다. 아버지에 대한 어머니의 심리적 폭력은 자녀의 사회적 위축 및 공격성, 그리고 부적응 행동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아버지에 대한 어머니의 신체적 폭력은 자녀의 공격성, 사회적 위축, 강박성 및 부적응 행동 전체와 강한 상관 관계를 보였습니다. 마지막으로 어머니의 자녀 학대는 자녀의 과잉 행동에, 아버지의 자녀 학대는 자녀의 공격성, 강박성 및 부적응 행동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가정 폭력에 노출된 아이, 어떻게 도울 수 있을까요?
1. 사회적 지지 마련
사회적 지지가 폭력 가정 자녀의 사회성, 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연구에 따르면, 부모나 형제, 친척의 사회적 지지가 폭력 가정 아이의 부적응 행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또래 친구와 교사의 사회적 지지는 폭력 가정 아동·청소년의 부적응 행동을 감소시키고 특히 교사의 사회적 지지는 폭력 가정 아동·청소년의 강박성과 사회적 위축 개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가정 폭력에 노출된 아동·청소년이 있다면 담당 교사나 또래 친구에게서 사회적 지지를 받아 가정 외에서 해당 아동·청소년이 자신의 상황을 공유하고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지지 기반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사회적 복지·재활 시스템 활용
가정 폭력에 노출된 아이들은 언제 어떤 형태로 가정을 벗어나 비행의 길로 빠져 각종 위험에 처할지 모르는 심리적으로 취약한 상태이기 때문에 언제든지 적절한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각종 사회적 복지 및 재활 시스템을 알고 있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여성긴급전화(1366)이나 아동학대신고센터(112) 등의 긴급 전화망을 이용하여 긴급 상황에 대처할 수 있고, 지역구별로 피해자 쉼터를 찾아가면 폭력 피해자가 가해자로부터 안전한 공간으로 대피할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지방자치 단체나 지역구에서 운영하는 심리 및 의료 지원 센터를 안내하여 위급 시에 도움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3. 개별 상담 및 집단 상담
가정폭력의 피해 당사자나 가정폭력에 노출된 자녀들은 심각한 신체적·심리적 상해를 입고, 해당 경험은 장기간 트라우마로 남을 수 있습니다. 신체적 상해는 즉각적으로 의료적 처치를 해야 하고 심리적 상해는 심리상담 전문가와의 상담을 통해 정신적 회복을 하여 건강한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해야합니다. 가정폭력에 노출되어 공격성을 보이거나 사회적 위축, 부적응적인 행동 때문에 사회성 발달에 이상이 생긴 아동·청소년은 집단 사회성 증진 프로그램을 통해 비교적 외부 자극으로부터 안전한 환경에서 자존감 향상과 올바른 성 역할 인지, 여러 가지 사회적 기술을 학습하여 자신의 발달 단계에 맞게 사회성 회복 및 발달에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본 센터는 아동과 청소년을 비롯한 모든 연령의 상담을 진행하는 센터로 사회성 발달을 위한 집단상담, 치료놀이 및 각종 상담방식이 다양한 치료센터입니다. 또한 전문 치료사가 배치되어 고민하고 어려워하는 부분을 정확하고 친절하게 상담을 해드리고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를 방문하시어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향숙 소장님 인터뷰 및 칼럼] >> 가족 행복학 개론 "부모의 '대화습관'이 자녀의 인격을 형성한다“
[상담 후기] >> 우울과 친구관계 어려움으로 사회성과 개별심리치료를 마치며
[온라인 상담하러 가기] >>
[이향숙 소장님]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아동복지학과 박사 (아동심리치료전공)
상담 경력 25년, 대학교수 및 외래교수 경력 30년
현) KG 패스원사이버대학교, 서울사이버평생교육원 외래교수
KBS, MBC, SBS, EBS, JTBC, 조선일보, 동아일보, 중앙일보, 청와대신문 등 아동청소년가족상담 자문
자격) 미국 Certified Theraplay Therapist (The Theraplay Institute)
심리치료 수련감독자 및 상담전문가 1급 (한국상담학회)
부부가족상담 수련감독자 및 상담전문가 1급 (한국상담학회)
사티어 부부가족 상담전문가 1급 (한국사티어변형체계치료학회 공인)
청소년상담 수련감독자 및 상담전문가 (한국청소년상담학회 공인)
재활심리치료사 1급 (한국재활심리학회 공인)
사티어의 의사소통훈련 프로그램 강사/ 사티어 부모역할훈련 프로그램 강사
MBTI 일반강사/ 중등2급 정교사/ Montessori 교사/ 유치원 정교사/ 사회복지사/ 보육교사 등
인터뷰) 이향숙 박사 “아이 사회성 교육의 중요성”
https://tv.naver.com/v/15458031
저서) 초등 사회성 수업 , 이향숙 외 공저. 메이트북스 (2020)
>> 언제까지 아이에게 친구들과 사이좋게 잘 지내라는 뜬구름 잡기식의 잔소리만 할 것인가? 초등학생인 우리 아이의 사회성을 길러줄 수 있는 답이 이 책에 담겨 있다. 사회성에 대해 20여 년간 상담하고 관련 프로그램을 개발해 아이의 사회성에 대한 고민을 해결해온 이향숙 박사의 오랜 경험과 노하우가 이 책 한 권에 고스란히 담겨 있다. (책 소개 中)
*참고문헌
박근혜. "폭력가정에 있어서 사회적 지지가 청소년의 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 국내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9. 서울
*사진첨부: pixabay
*작성 및 옮긴이: 한국아동청소년심리상담센터 인턴 옥지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