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궁통보감에서 말하는 금백수청(金白水淸)의 조건들
⑴ 궁통보감에서는 유월(酉月) 임수(壬水)를 금백수청(金白水淸)의 종주자로 뽑은 듯합니다 왜냐하면 다른 것들은 조건들이 따라 붙는데 반하여 유월(酉月) 임수(壬水)는 그 자체로 금백수청(金白水淸)이라 분명히 밝히고 있습니다
① 유월(酉月) 임수(壬水)는 신금(辛金)이 사권(司權)하여 정히 금백수청(金白水淸)이다
② 해월(亥月) 신금(辛金)에는 임수(壬水)와 병화(丙火)가 있으면 금백수청(金白水淸)이다
(이것도 조건이 붙으므로 금백수청은 아님)
③ 신월(申月) 신금(辛金)은 임수가 적어야 하므로 수천금다(水淺金多)하면 체전지상(體全之象)이다
(여기서는 금백수청이라는 용어는 등장하지 않습니다)
⑵ 공통점
① 신금(辛金)과 임수(壬水)만을 금백수청으로 인정합니다
② 경금(庚金)과 자월(子月)은 제외가 됩니다.
③ 가을철 태생만 해당한다고 합니다.
(겨울철태생은 입동(立冬)에 한하고 또 다른 조건들이 추가되니까 진격이 아니라고 봄)
결론
오직 유월 임수만 금백수청에 해당합니다 다른 경우는 반드시 조건이 따라붙습니다
⑶ 특이점
궁통보감에서 말하길 신월(申月) 경금(庚金)과 유월(酉月) 경금(庚金)에서는 금(金)이 강예(剛銳)함이 극(極)에 달했다고 말하면서 정화(丁火)와 갑목(甲木)을 우선적으로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그리고 임계(壬癸)수를 보는 것을 마땅치 않다고 단정합니다. 아예 금수쌍청(金水雙淸)을 언급 조차 못하게 합니다. 삼명통회에서는 오히려 말하길 신유(辛酉), 경신(庚申)일주가 임수(壬水)를 만나고 지지에는 해자(亥子)운을 보아야 성립한다고 주장합니다. 완전히 반대 입장입니다.
◈ 부록 궁통보감 해석 이수선생
十月辛金
十月辛金 時 值 小陽陽氣漸升 寒氣將降,先用壬水 次取丙火壬丙兩透 ,金榜題名,何也 蓋辛金有壬水丙火名金白水清 又在亥月故發 丙透壬藏採芹之造。丙藏壬透 富 有千金壬丙 在 支 聰明之士
1. 亥月 辛金은 때가 小陽을 만나니 陽이 점점 오르고 寒氣가 장차 내려 오므로 먼저 壬水를 用하고 다음으로 丙火를 取하는데 壬丙이 兩透하면 금방(金榜)에 이름을 올린다.
2. 대개 辛金에 壬水와 丙火가 있으면 金白水淸이라 하는데 또한 亥月에 있어 發達하기 때문이다.
3. 丙火가 透하고 壬水가 暗藏되면 채근(採芹)하는 命造다.
4. 丙火가 暗藏되고 壬水가 透하면 千金의 富가 있다.
5. 壬丙이 地支에 있으면 총명(聰明)한 선비다.
◈ 해월 신금(辛金)에 임수(壬水)와 병화(丙火)가 있으면 금백수청(金白水淸)이다
七月辛金
七月辛金壬不在多故書云 水淺金多號曰體全之象 壬水 為 尊 甲戊酌用可也 癸水不可 為 用
신월(申月) 신금(辛金)은 임수(壬水)가 많지 않아야 하는데 고서(古書)에 이르길 , “수천금다(水淺金多)하면 체전지상(體全之象)이라, 임수(壬水)가 존신(尊神)이고 갑무(甲戊)는 참작(參)해서 용(用)할 수 있으며 계수(癸水)는 용(用)이 불가(不可)하다”고 했다.
◈ 신월(申月) 신금(辛金)은 임수가 적어야 하므로 수천금다(水淺金多)하면 체전지상(體全之象)이다
八月壬水
八月壬水 辛金司權正金白水清 忌戊土為病 專用甲木甲木一透制戊 壬水澈底澄清名高翰苑
若甲出時干功名顯達設見庚破又屬常人。即甲藏支無庚 秀才可許
1. 유월(酉月) 임수(壬水)는 신금(辛金)이 사권(司權)하여 정히 금백수청(金白水淸)이니 무토(戊土)가 병(病)으로 꺼려 갑목(甲木)을 전용(專用)한다.
2. 갑목(甲木)이 하나 투(透)하여 무토(戊土)를 제(制)하면 임수(壬水)가 철저(澈底)하게 징정(澄淸)하여 한원(翰苑)에 이름이 높다.
3. 만약 갑목(甲木)이 시간(時干)에 출(出)하면 공명(功名)이 현달(顯達)하고 그렇다 하더라도 경금(庚金)이 나타나 파(破)하면 역시 상인(常人)에 속(屬)한다.
4. 만일 갑목(甲木)이지지(地支)에 암장(暗藏)되고 경금(庚金)이 없으면 가히 수재(秀才)는 허락한다.
◈ 유월(酉月) 임수(壬水)는 신금(辛金)이 사권(司權)하여 정히 금백수청(金白水淸)이다
첫댓글 유월(酉月) 임수(壬水)는 신금(辛金)이 사권(司權)하여 정히 금백수청(金白水淸)이니 무토(戊土)가 병(病)으로 꺼려 갑목(甲木)을 전용(專用)한다.
----------
여기서 보시는바처럼
금백수청에서 갑목을 사용하는 이유는 갑목 자체가 용이 아니라 무토 병을 제압하기 위한 방편으로 사용하는 것입니다
만약 무토가 없다면 갑목도 있을 필요가 없다는 말이 됩니다
그런 경우가 힘들겠지만
이것은 정관을 인수로 보좌하는 이유와 흡사한 거죠
즉 인수가 그 자체로 정관에게 도움을 준다기 보다는 상관이 올 적에 인수로 극해 정관을 보호하는 목적이
가장 중요한 것처럼
갑목이 존재하므로 무토가 토극수하여 금수상전함을 훼방 못하도록 하는 것이죠
금백수청과 금수쌍청
고전에 나오는 대목들을 대충 정리해 봤습니다
공통점은
금백수청은
가을 태생이 진격이다- 유월 임수가 진격이다
다른조건들이 일체 따라 붙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