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관 지역복지 연수
: 지역복지 개념과 방법, 주민모임 개념과 방법, 생활복지운동 개념과 방법
날짜 : 11월 12일(수)~14일(금) 3일 (총 18시간 공부)
장소 : 서울
내용 : 지역복지 개념과 방법, 주민모임 개념과 방법, 생활복지운동 개념과 방법
진행 : 김세진, 사회복지사사무소 '구슬' 소장, <복지관 지역복지 공부노트> 저자
인원 : 30명
비용 : 15만 원 (교재비 포함)
* 전체 공부 시간은 18시간입니다. 18시간 교육 이수증(수료증)을 드립니다.
* 개념어 정리 : 지역사회 사회사업 = 지역사회사업 = 지역복지
* 반면, '주민모임'이나 '주민조직'은 '지역복지'의 하위 개념입니다.
사회사업(social work)에서 지역사회 조직(community organization)을 설명합니다.
사회사업가는 개별 사회사업(case work), 집단 사회사업(group work), 지역사회 사업회사업,
3대 방법으로 당사자를 지원합니다.
실제 현장에서 어떻게 세 방법으로 당사자를 지원하는지, 다양한 사례로 설명합니다.
사회복지 현장에서 ‘지역사회’는 ‘약자가 살아가는 바탕’입니다.
약자의 바탕인 지역사회를 약자가 살 만하고, 약자와 더불어 사는 곳이게 하는 일이
‘지역복지 실천’, 즉 '지역사회 사회사업(C,O)'입니다.
지역사회를 이웃과 인정이 흐르는 곳으로 하기 위한 방법으로,
이웃 동아리 활동과 생활복지운동을 설명합니다.
여러 실천 사례를 소개하겠습니다.
<사회사업개론>으로 통합실천 기본 개념을 붙잡고,
<복지관 지역복지 공부노트>로 주민모임과 생활복지운동을 이해합니다.
이웃 동아리 활동
이웃 동아리 활동이나 주민모임 따위를 이루었을 때,
모임 속 주민 사이 관계의 정도를 강한 결속과 느슨한 결속으로 나눠볼 수 있습니다.
강한 연결과 느슨한 연결이라고도 합니다.
강한 결속의 주민 모임은 대체로 정기적인 만남이 있고 회칙이나 회비 따위가 있기도 합니다.
지역사회에 시급히 해결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을 때 이런 모임을 조직하기도 합니다.
지역사회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이렇게 강하게 연결되어 있어야 큰 힘을 발휘합니다.
복지관에서도 때때로 이런 모임이 필요하기도 합니다.
지역사회의 상황과 사안에 따라 강한 결속력으로 모인 모임을 조직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결속이 강한 모임을 이뤘다고 해도 항상 그런 상태를 유지하기 쉽지 않습니다.
당면한 문제가 해결되면 모임의 결속력도 떨어지기 마련입니다.
느슨한 결속의 주민 모임은 대체로 일시적 모임입니다.
모이고 싶을 때, 모이고 싶은 주제에 따라, 모일 수 있는 만큼 만납니다.
그 만남 속 관계도 그저 인사하는 정도입니다. 이름까지 몰라도 괜찮습니다.
오가며 만났을 때 인사하는 정도면 충분하다고 여깁니다.
이런 느슨한 결속력으로 만난 모임 구성원이 서로 가까워져 강한 연결로 갈 수도 있습니다.
느슨한 연결로 만나는 주민들이 지역사회의 상황과 사안에 따라
강한 연결이 있어야 할 때, 큰 힘을 발휘하기도 합니다.
복지관은 대체로 느슨한 결속을 지향합니다.
생활복지운동
지역사회를 변화하기 위해서는 정말 지역사회를 변화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접근합니다.
조직화만으로는 한계가 많습니다. 사회복지사가 만나는 주민 일부를 변화할 뿐입니다.
지역사회를 통째로 만나 흔들어야 합니다. 생활복지운동(지역 캠페인)이 그런 일입니다.
대중을 만나 더불어 살아가기 좋은 일을 제안합니다.
해볼 만한 일을 생활 속에서 어렵지 않게 이뤄가게 거듭니다.
생활 속에 복지가 흐르게 지원하는 운동입니다.
가족 사이 애정이 깊어지고, 이웃 사이 인정을 생동하는 일을 지역 주민에게 제안합니다.
일상 속에서 부담 없이 꾸준히 실천할 수 있는 일을 구체적으로 설명합니다.
제안대로 실천하면 가족이 화목하고 나아가 이웃 서로 가까워집니다.
가족 애정과 이웃 인정이 자랍니다.
이런 일을 조직적이고 체계적으로 꾸준히 벌여 지역사회를 누구나 정 붙이고 살 만한 곳이게 일구어 갑니다.
[연수 내용]
3일 동안 지역복지 개념, 이웃 동아리 활동 개념과 방법, 생활복지운동 개념과 방법을 공부합니다.
1부 사회사업 3대 방법 이해, 3대 방법 가운데 하나인 지역사회조직화(community organzation)
2부 느슨한 모임 : 이웃 동아리 이해, 방법과 사례 연구
3부 인사하는 사이 : 생활복지운동 이해, 방법과 사례 연구
4부 지역복지 기록과 평가 : 이웃 동아리 활동과 생활복지운동, 어떻게 기록하고 평가할까, 성과는 무엇인가
- 모든 공부는 50분 수업, 10분 휴식.
- <복지관 지역복지 공부노트>를 현장에서 드립니다.
- 상황에 따라 공부 순서와 내용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질문 시간 따로 없이 매 순간, 마음껏 물어주세요.
[일정]
* 1일(3/12)
10시~12시 오전 공부
12시~1시 점심
1시~5시 오후 공부
* 2일(3/13)
10시~12시 오전 공부
12시~1시 점심
1시~5시 오후 공부
* 3일(3/14)
10시~12시 오전 공부
12시~1시 점심
1시~5시 오후 공부
* 점심은 각자 해결합니다.
○ 신청
구글폼 신청
* 아래 '신청 자격'과 '참가자 부탁'을 읽은 뒤 결심이 서면 신청해 주세요.
○ 신청 자격
- 당사자를 끝까지 자기 삶의 주인으로 살게 돕고, 둘레 사람과 어울리게 돕고 싶은 선생님, 환영합니다.
- 사회사업 공부 좋아하고, 공부하여 깨달은 만큼 당사자의 강점이 보일 거라 믿는 선생님, 환영합니다.
- 사람은 서로 기대어 살아가며 도움 받기도 하고 주기도 해야 한다며, 그렇게 도우려 애쓰는 선생님, 환영합니다.
- 연차 직급 직책 상관없이 지역복지(지역사회사업) 확실하게 제대로 공부하고 싶은 열정 있는 선생님, 환영합니다.
○ 참가자 부탁
- 전체 일정을 빠짐없이 참가합니다.
- 시작 시각과 마치는 시각을 잘 지킵니다.
- 공부 시간에 스마트폰을 보지 않고 배움에 집중합니다.
- 연수 내내 되도록 스마트폰 사용을 자제하고 공부한 내용 복습합니다.
- 개인컵(텀블러)을 준비해 주세요.
- 흡연은 보이지 않는 곳에서 하며, 냄새나지 않게 수습합니다.
○ 준비물
- 점심과 간식은 각자 준비하여 먹습니다.
- 텀블러를 준비하여, 되도록 강의실에서 1회 용품 사용을 자제해 주세요.
○ 문의
- sea@welfare.or.kr
- 신청한 선생님께 연수 공문을 보내드립니다.
*영수증, 수료증 발급 가능합니다.
- 입금 계좌 : 우체국 011619-02-174520, 예금주 김세진
첫댓글 교육장소는 어디인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