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 년 전 나온 남북 첩보물 영화 중 한 장면이다.
총격전으로 사망자가 생겼지만, 남과 북 어느 쪽인지 알지 몸에 지니지 않고 있다.
이때 가장 빨리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사망자의 치아를 체크하는 것이다.
치아 관리 여건이 열악한 븍한에서는 제대로 치과 치료를 받은 이가 거의없다는 것이다.
이는 영 허구는 아닌 모양이다.
북한에서는 충치가 심해지면 신경치료를 받는 대신 그냥 뽑는 경우가 많고,
이런 이유로 청년들조차 어금니가 서너 개씩 없는 경우가 부지기수라는 증언이 숱하게 나온다.
우리나라에서는 더 이상 돈이 없어서 치료를 받지 못하는 이들을 찾기 어렵다.
그러나 치아 건강 면에서는 여전히 갈 길이 멀다.
보건복지부가 어제 발표한 '2018년 아동 구강건강 실태조사'에 따르면 만 12세 아동 중
56.4%가 충치 경험 영구치아 수는 1.84개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입국 평균인 1.2개 보다 크게 높았다.
미국(0.4개)이나 일본(0.8개)의 두 배 이상이었다.
3.30개였던 2000년과 비교하면 크게 줄었지만, 최근 들어 하락세가 주춤한 상태다.
더 큰 문제는 이동의 치아건강이 가정의 소득수준에 따라 좌우한다는 점이다.
경제 상태를 '하'라고 답한 아이들이 최근 1년 사일에 치과 진료를 받은 비율은 62.8%로 경제 상태가 '상'인 아이들(73.8%)보다
11.0%포인트 낮았다.
반대로 치과 치료가 필요한데도 진료를 받지 못한 비율른 '하' 응답자가 25.3%로 '상' 응답자가 25.3%로 '상' 응답자(12.4%)의
두 배 이상이었다.
그 결과 '하' 아이들의 1인당 평균 충치 경헌 영구치아 수는 2.04개로 '상'(1.75개) 아이들보다 0.29개 많았다.
1일 2회 이상 간식을 먹는 비율과 탄산음료를 마시는 비율 등도 경제 수준이 낮을수록 높았다.
치아건강 면에서도 '가난의 대물림'이 나타나고 있는 것은 구강질환에 대한 보장률이 낮아 치료비 부담이 크기 때문이다.
신경치료만 하더라도 수십만원이 꺠지기 일쑤다.
임플란트만 해도 지난해부터 건강보험 적용이 확대됐지만 서민 입장에서는 여전히 부담이 만만찮다.
사회.경제적 격차에 따른 구강건강 불평등 해소를 위해 가장 효과적인 정책은 아동.청소년 치과주치의 제도다.
영구치가 완성되는 12세 전후에 치과의사로부터 지속적인 구강 검진과 교육, 예방진료 등을 무료로 받는 제도다.
현재는 성눌과 부산, 경기 성남시 등에서 시행되고 있다.
1인당 4만원 정도의 비용이면 가능하다.
복지부가 내년부터 치과 주치의 제도의 전국 도입을 위해 시범사업을 실시한다.
아이들의 건강을 지키는 것이 국가의 의무인 것처럼 아이들의 건강한 치아 역시 우리 사회가 보장해 줘야 한다. 이두걸 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