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 주요 추진 전략 1) (산업수요 인재양성) 미래 산업에 대비하는 인재양성 체계화 ㅇ (교육과정 개편) 개별 교과목 수준의 산학연계를 학과·이수구조 단위로 확대, 신산업·첨단산업 등 산업분야 중심으로 전공교육을 융합·재구조화 ※ (한양대ERICA) 로봇공학과 등 3개 학과가 학과개편 없이 ‘인공지능 협동로봇’ 공동 융합과정을 개설, 산업체 요구 기반 프로젝트교과 등 기초~전문교과까지 이수구조 구축 - 정원 제도개선을 통해 신·증설되는 첨단·융합학과의 교육과정 활용 및 대학원 참여 확대로 고급 산학연계 교육프로그램 발굴·개발 * 첨단분야(AI, 빅데이터 등)별 학과 정원 조정 : (‘21) 45교 4,761명, (‘22) 33교 2,003명 ㅇ (취·창업 연계) 산업체 참여 확대, 인재양성-기술지원 등 프로그램간 연계·융합으로 취·창업 연계성 제고 및 표준현장실습학기제 지원 ㅇ (비대면·글로벌 모델) 산업체 재직자의 온라인 팀티칭, 해외 대학과의 공동캡스톤 디자인 등 비대면·글로벌 환경에 적합한 산학연계 교육모델 개발 ※ 디지털 신기술 인재양성 혁신공유대학을 통해 발굴·제작되는 온라인 교육과정 연계·활용
2) (산업혁신 지원)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기업가형 대학 ㅇ (특화분야 집중) 대학별 강점분야를 중심으로 분야별 기업협업센터(ICC)의 기능을 고도화하고 대학별 산학연협력 브랜드화 유도 ㅇ (고부가가치 창출) 산학 공동연구·기술개발 등 산업체와 밀착하여 기술 중심 중·장기 협력으로 재편, 사업간 연계로 시너지 극대화 ※ 4단계 BK21 또는 R&D과제 지원사업 등과 연계하여 산학연협력을 위한 기술역양 제고 - 산학공동기술개발 등으로 도출된 지식·기술의 산업계 이전·사업화 및 실험실 창업 등 기술창업 활성화 유도 ㅇ (자립화 확대) 가족회사 등급제, 유료회원제 등 차별화된 기업지원 강화, 대학기술지주회사를 통한 기술사업화 활성화
3) (대학인프라) 산학연협력 지속성 제고를 위한 기반 강화 ㅇ (교원 참여 확대) 산학협력 친화형 교원업적평가 고도화, 산학연협력 프로그램 참여교원 실명제 및 실질적 인센티브* 지급방안 마련 등 * 산학연협력 관련 보직수당 지급, 참여교원 성과급, 산업체 겸직 인정 확대 등 ※ LINC 3.0 관련 교과목 수업 실적, 현장실습지도 실적 등 전임교원 참여비율 지표 신설 ㅇ (산학연협력 조직 정비) 산학협력단의 총괄 기획·조정 기능을 강화하고, 분산된 산학연협력 추진기능을 산학협력단 중심으로 재정비 ※ 산학연협력 정보담당관 지정, 전문인력 확충 등 체계적 관리기반 마련 ㅇ (쌍방향 협력) 산학협력 마일리지 안착을 위해 기업이 활용할 수 있는 대학 공용장비 개방, 기업지원활동, 서비스 등 발굴·확대
4) (포스트코로나) 함께 성장하는 공유·협업 생태계 조성 ㅇ (공유·지속가능 생태계) 대학 간 특화분야 공유·협업 활성화, 상호 컨설팅 등으로 산학연협력 후발대학의 성장을 지원 - 공유·협업 지속성을 제고하기 위해 산업교육센터, 한국산학연계현장실습지원협회(KACE) 등 구심점 기능을 강화하고, 성과 확산 유도 ㅇ (산학연 플랫폼) 개별 대학 간, 대학-산업계 간 장비·특허·지식정보 등을 공유하는 플랫폼 구축 및 통합적 운영체제 구축 검토
- 기술혁신선도형 대학은 글로벌 기술이전, 외국기업과의 공동연구 등 고도화된 성과창출을 협력·지원하는 등 중추적 역할 수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