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까치 까치 설날은 어저께고요, 우리 우리 설날은 오늘이래요.”
라는 노래는 아직까지도 우리의 귀를 즐겁게 해주는 동요입니다.
그 노래에 섣달 그믐을 ‘까치설’이라고 하였습니다.
대부분의 독자들은 그냥 설 전날을 까치설이라고 하는가 보다 하고 생각하고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까치설’이라는 말은 우리말이 전해오면서 변형된 것입니다.
원래는 ‘아치설’, 혹은 ‘아찬설’ 등으로 불려왔거든요.
‘아찬’의 뜻은 한자로 ‘早’(이를 조)라는 의미를 담고 있으니 즉 ‘이른설’이라는 말입니다.
‘아찬설’은 묵은세배를 하는 날이었습니다.
그래서 밤새도록 자지 않고 1년 동안 은혜를 입은 어른들을 찾아다니면서 세배를 했지요.
잠을 자면 눈썹이 하얗게 된다고 하여 밤새도록 어른들을 찾아뵙고 절을 하라고 한 것이지요.
‘아찬설>아치설>까치설’로 변했다고 보는 학자들이 많습니다.
마치 ‘간자탕(間子湯)’이 감자탕으로, ‘간막이살(횡격막)’이 갈매기살로 변한 것과 같다네요.
한편 설날은 원일(元日)·원단(元旦)·정조(正朝)·세수(歲首)·세초(歲初)·세시(歲時)·
연두(年頭)·연시(年始)·신일(愼日) 등으로 부르기도 했습니다.
주로 처음이라는 의미와 ‘삼가다’라는 뜻이 담겨 있습니다.
대부분이 ‘시작하다’와 관련된 글자가 많습니다.
‘설날’이라는 말은 단어의 어원이 어떻게 되는지는 확실하게 알 수 없습니다.
한 살 더 먹기 때문에 ‘살’에서 유래했다고 보는 학자도 있습니다.
우리말은 모음의 변화로 의미를 바꾼 것이 많습니다.
‘남다’와 ‘넘다’, ‘늙다’와 ‘낡다’ 등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모음을 바꿔서 의미를 조금 다르게 사용하는 것이지요.
<월인석보>라는 책에도 예전에 나이를 셀 때 ‘설’로 발음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그러니까 ‘살’과 ‘설’은 어원이 같다는 말이 됩니다.
그런가 하면 ‘선날(새로 일어선 날)’에서 유래했다고 보는 학자도 있고,
‘낯설다’에서 유래해서
“묵은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이하면서 그간 낡은 것에게 작별하고 낯선 날을 맞이하는 것”이라는 주장도 있네요.
하지만 말은 세월을 흐르면서 새로운 의미를 담고 정리되는 것이기 때문에,
어느 것이 옳다고 확정할 수는 없습니다.
제가 보기에도 ‘살’과 ‘설’의 어원이 같은 것에서 유추하여 나이와 관계가 깊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고맙습니다.
-우리말123^*^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