早秋山居(조추산거) - 온정균(溫庭筠)
山近覺寒早(산근각한조) : 산이 가까워 보이니 추위가 빨라져 草堂山氣晴(초당산기청) : 초당에 산 기운은 맑기만하구나 樹凋窓有日(수조창유일) : 나뭇잎 시들어 햇빛 창에 들고 池滿水無聲(지만수무성) : 못에 물 가득하니 물 소리 들리지 않는구나 菓落見猿過(과락견원과) : 산 과일 떨어지니 원숭이 지나갔음을 알겠고 葉乾聞鹿行(엽건문록행) : 나뭇잎 다 말라 사슴 다니는 소리 들리는구나 素琴機慮靜(소금기려정) : 거문고를 타니 온갖 잡 생각 고요해지고 空伴夜泉淸(공반야천청) : 하늘 벗 삼으니 밤의 샘물 소리 맑기만
新秋雨夜(신추우야) - 변계량(卞季良)
忽忽逢秋意易悲(홀홀봉추의역비) : 갑자기 가을 되자 마음이 서글퍼지고 坐看楓葉落庭枝(좌간풍엽낙정지) : 앉아서 바라보니, 뜰 나뭇가지 떨어진다 算來多少心中事(산내다소심중사) : 마음 속 괴로운 심사 가만히 생각하는데 月暗疎窓夜雨時(월암소창야우시) : 달빛 어두워진 성긴 창가에
東平路作(동평로작) - 고적(高適)
淸曠?夜月(청광량야월) : 맑고도 밝은 서늘한 저녁달 徘徊孤客舟(배회고객주) : 배회하는 외로운 나그네 배로다 渺然風波上(묘연풍파상) : 아득히 풍파가 이는데 獨夢前山秋(독몽전산추) : 홀로 꿈꾸는 앞산의 가을이여
秋花(추화) - 李亮淵(이양연) 가을 꽃
霜林餘衰草(상림여쇠초) : 서리 내린 숲에 시든 풀 남아 草花紅半?(초화홍반췌) : 화초에 꽃들은 반이나 시들었다 病蝶力耐風(병접력내풍) : 병든 나비 억지로 바람 참으며 搖搖貼不離(요요첩불리) : 한들거리며 붙어서 떠나지 못한다
龍江別成浦(룡강별성포) - 白光勳(백광훈) 용강에서 성포를 이별하며
千里柰君別(천리내군별) : 천리 먼 곳으로 그대 보내니 나는 어쩌랴 起看中夜行(기간중야행) : 자다가 일어나, 그대 가시는 밤 길 생각하네 孤舟去已遠(고주거이원) : 외로운 배는 떠나 이미 멀어지고 月落寒江鳴(월락한강명) : 달은 지고 차가운 강물도 울면서 흘러간다
秋詞(추사) - 劉禹錫(유우석). 唐 가을노래
自古逢秋悲寂廖(자고봉추비적요) : 예부터 사람들 가을 되면 못내 쓸쓸해하는데 我言秋日勝春朝(아언추일승춘일) : 내사 가을 햇볕이 봄날보다 좋다네 晴空一鶴排雲上(청공일학배운상) : 맑은 하늘 학 한 마리 구름 제치고 便引詩情到碧?(편인시정도벽소) : 내 맘속 시정 끌고 푸른 하늘 저 끝까지 날아오르네.
獨夜(독야) - 朴文逵(박문규). 朝鮮 홀로 지새는 밤
一穗寒燈獨夜心(일수한등독야심) : 등불 하나 가물가물 홀로 지새는 이 밤 西風吹葉冷森森(서풍취엽냉삼삼) : 서녘 바람 차갑게 나뭇잎에 불어오네. 秋蟲似解詩人意(추충사해시인의) : 가을벌레 제가 시인의 마음 헤아렸음일까 凉月虛窓伴苦吟(량월허창반고음) : 달빛 어린 창가에서 나를 따라 읊조리네
客夢(객몽) - 李亮淵(이량연;1771~1853) 나그네의 꿈
鄕路千里長(향로천리장) : 고향 길 천리나 멀지만 秋夜長於路(추야장어로) : 가을밤은 길보다 더 기네. 家山十往來(가산십왕래) : 고향 산을 열 번이나 오갔어도 ?鷄猶未呼(첨계유미호) : 처마의 닭은 아직 울지
芽月下吟(아월하음) - 宋和(송화) 초승달아래서 읊다
芽月山椒少眼姸(아월산초소안연) : 산마루엔 초승달 예쁜 눈웃음 空林一色雪花鮮(공림일색설화선) : 빈숲은 모두한빛 눈꽃이 곱다 無由欲泣相思夕(무유욕읍상사석) : 괜시리 울고 싶은 그리운 저녁 不定心事似少年(부정심사사소년) : 들뜨는 내 마음이 소년 같구나.
秋風引(추풍인) - 劉禹錫(유우석772-842) 가을바람
何處秋風至(하처추풍지) : 어느 곳에서 가을바람 불어오는가 蕭蕭送雁群(소소송안군) : 쓸쓸히 기러기 떼만 보냈구려 朝來入庭樹(조래입정수) : 아침 뜨락 나무 사이로 불어오니 孤客最先聞(고객최선문) : 외로운 나그네가 가장 먼저 듣누나
秋夕樓居(추석루거) -吳融(오융) 추석에 누대에서
月裏靑山淡如畵(월이청산담여화) : 달빛 속의 푸른 산 그림과 같고 露中黃葉颯然秋(노중황엽삽연추) : 이슬 맞은 단풍잎 삽연한 가을 危欄倚偏都無寐(위란의편도무매) : 높은 난간에 의지해 잠 못 이룸은 祗恐星河墮入樓(지공성하타입루) : 은하수가 다락 위로 떨어질까바
述志(술지) - 吉再(길재) 술지
臨溪茅屋獨閑居(임계모옥독한거) : 시냇가 오막살이에 홀로 한가히 사니 月白風淸興有餘(월백풍청흥유여) : 달은 희고 바람 맑아 흥이 절로 나네 外客不來山鳥語(외객불래산조어) : 바깥손님 오지 않고 멧새들만 지저귀고 移床竹塢臥看書(이상죽오와간서) : 대숲 아래 자리 옮겨 누운 채 글을 읽네
樂書齋偶吟(악서제우음) - 尹善道(윤선도) 락서제에서
眼在靑山耳在琴(안재청산이재금) : 보는 것은 청산이요 듣는 것은 거문고 소리 世間何事到吾心(세간하사도오심) : 세상 어떤 일이 내 마음 사로잡을까 滿腔浩氣無人識(만강호기무인식) : 내 마음에 가득한 호방한 기운 그 누가 알리 一曲狂歌獨自吟(일곡광가독자음) : 한 곡조 노래를 나 혼자 미친 듯 읊어본다
夜坐有感(야좌유감) - 李秉休(이병휴) 밤에 앉아
秋堂夜氣淸(추당야기청) : 가을 당에 밤기운은 맑아서 危坐到深更(위좌도심경) : 단정히 앉아 깊은 밤까지 이르렀네 獨愛天心月(독애천심월) : 하늘 한 가운데 떠 있는 달을 홀로 사랑하니 無人亦自明(무인역자명) : 사람이 없어 절로 밝구나
秋夜(추야) - 박영(朴英)
西風吹動碧梧枝(서풍취동벽오지) : 서풍이 불어 벽오동 가지 흔드는 밤 落葉侵窓夢覺時(낙엽침창몽각시) : 낙엽이 창문 두드리는 소리에 잠이깨였네 明月滿庭人寂寂(명월만정인적적) : 밝은 달 뜰에 가득하나 사람은 적적하고 一簾秋思候蟲知(일염추사후충지) : 주렴속 정념을 저 벌레가 아는지 물어보리
弘慶寺(홍경사) - 백광훈 (白光勳)
秋草前朝寺(추초전조사) : 가을 풀이 우거진 前 왕조의 절 殘碑學士文(잔비학사문) : 낡은 비석에는 선비의 글귀만 남았도다. 千年有流水(천년유류수) : 천 년 세월이 흐르는 물 같음이니 落日見歸雲(낙일견귀운) : 저녁 해에 떠가는 구름만 바라보노라.
閑山島(한산도) - 이순신(李舜臣)
水國秋光暮(수국추광모) : 물나라에 가을빛이 저무니 驚寒雁陣高(경한안진고) : 추위에 놀란 기러기 떼가 높이 날아가네. 憂心輾轉夜(우심전전야) : 근심하는 마음으로 엎치락뒤치락하는 밤에 殘月照弓刀(잔월조궁도) : 새벽 달빛이 활과 칼을 비추네.
秋夜(추야) - 정철(鄭澈). 조선시대
蕭蕭落葉聲(소소낙엽성) : 우수수 낙엽지는 소리를 錯認爲疏雨(착인위소우) : 가랑비 소리로 잘못 들어 呼童出門看(호동출문간) : 아이 불러 문밖에 나가보게 하니 月掛溪南樹(월괘계남수) : 시냇가 남쪽 나무에 달이 걸려 있다하네
秋景(추경) - 최석항(崔錫恒). 조선시대 시인
秋山樵路轉(추산초로전) : 가을 산 숲길은 구비돌아 去去唯淸風(거거유청풍) : 가도 가도 맑은 바람 뿐 夕鳥空林下(석조공림하) : 잠자려는 새 빈 숲으로 날아들면 紅葉落兩三(홍엽락양삼) : 붉게 물든 잎 두셋 떨어진다.
聽秋蟬(청추선 : 가을 매미 소리) - 강정일당(姜靜一堂)
萬木迎秋氣(만목영추기) : 어느덧 나무마다 가을빛인데 蟬聲亂夕陽(선성난석양) : 매미 소리 석양에 어지럽네 沈吟感物性(침음감물성) : 계절의 변화를 깊이 느껴서인가 林下獨彷徨(임하독방황) : 숲 속에서 혼자 방황하고 있네.
采蓮曲(채련곡) - 허난설헌(許蘭雪軒)
秋淨長湖碧玉流(추정장호벽옥류) : 맑은 가을호수 옥처럼 새파란데 蓮花深處繫蘭舟(연화심처계란주) : 연꽃 무성한 곳에 목란배를 매었네 逢郞隔水投蓮子(봉랑격수투련자) : 물 건너 님을 만나 연밥 따서 던지고는 或被人知半日羞(혹피인지반일수) : 행여 남이 알까봐 반나절 부끄러웠네
昨夜江南雨(작야강남우) - 作者未祥
昨夜江南雨(작야강남우) : 어제 저녁 강남에 비가 내리더니 洞庭秋水深(동정추수심) : 동정호에 가을 물이 깊었네. 一葉孤舟客(일엽고주객) : 작은 배 외로운 나그네 月中千里心(월중천리심) : 달빛 속에 고향생각 천리를 달리네
舟中夜吟(주중야음) - 박인량 (朴寅亮) 배를 타고 밤에 읊다
故國三韓遠(고국삼한원) : 고국 삼한은 멀기만 한데 秋風客意多(추풍객의다) : 가을바람에 나그네는 생각만 많아지네 孤舟一夜夢(고주일야몽) : 외로운 배는 한밤에 꿈길을 떠가고 月落洞庭波(월락동정파) : 달은 지고 동정호에는 파도만 출렁이네
瀟湘夜雨(소상야우) - 이제현(李齊賢) 소상 강가의 밤비
楓葉蘆花水國秋(풍엽노화수국추) : 단풍잎과 갈대꽃 수국의 가을인데 一江風雨灑扁舟(일강풍우쇄편주) : 강바람이 비를 몰아 작은 배에 뿌리네 驚回楚客三更夢(경회초객삼경몽) : 놀라 돌아오니 고달픈 나그네의 한밤중 꿈을 分與湘妃萬古愁(분여상비만고수) : 아황 여영에게 만고의 시름으로 나누어주네.
湘妃 : 舜(순)임금의 두 왕비인 아황(娥皇)과 여영(女英)을 일컬음.
山中(산중) - 이이(李珥)
採藥忽迷路(채약홀미로) : 약초를 캐다가 문득 길을 잃었는데 千峯秋葉裏(천봉추엽리) : 온 산이 단풍으로 물들었네. 山僧汲水歸(산승급수귀) : 산승이 물을 길어 돌아가고 林末茶烟起(임말차연기) : 숲 끝에서 차 달이는 연기가 피어나네.
山行(산행) - 석지영(石之嶸. 조선시대 시인)
斜日不逢人(사일불봉인) : 해지도록 만난 사람 없는데 徹雲遙寺磬(철운요사경) : 구름 뚫고 먼 절의 풍경소리 들리네 山寒秋己盡(산한추기진) : 산 날씨차고 가을이미 저물어가니 黃葉覆樵徑(황엽복초경) : 누런 낙엽들이 산길을 덮네
山行(산행) - 두목(杜牧) 당 말기 시인(803-853)
遠上寒山石俓斜(원상한산석경사) : 멀리 한산에 오르니 돌길이 비스듬히 끝이 없구나 白雲深處有人家(백운심처유인가) : 흰 구름이 피어오르는 곳에 인가가 있어 停車坐愛楓林晩(정차좌애풍림만) : 수레를 멈추고 석양에 비치는 단풍 숲을 보니 霜葉紅於二月花(상엽홍어이월화) : 서리 맞은 단풍잎이 한창때 봄꽃보다 더욱 붉구나
奉別蘇判書世讓(봉별소판서세양) - 황진이 소세양 판서를 보내며
月下梧桐盡(월하오동진) : 달빛 아래 오동잎 모두 지고 霜中野菊黃(설중야국황) : 서리 맞은 들국화는 노랗게 피었구나 樓高天一尺(누고천일척) : 누각은 높아 하늘에 닿고 人醉酒千觴(인취주천상) : 오가는 술잔은 취하여도 끝이 없네
流水和琴冷(유수화금랭) : 흐르는 물은 거문고와 같이 차고 梅花入笛香(매화입적향) : 매화는 피리에 서려 향기로워라 明朝相別後(명조상별후) : 내일 아침 님 보내고 나면 情與碧波長(정여벽파장) : 사무치는 정 물결처럼 끝이 없으리
|
출처: 행복한시간 24시 원문보기 글쓴이: 퀸의 여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