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장산(敗醬散)C
장옹(腸癰)일 때 몸에 열은 나지 않고 배가 부드러우면서 싸늘한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총 12건)
조제용법
2첩으로(재탕포함) 1일 3회 식사 후 1시간에 복용.
주치병증
간비종대(肝脾腫大)
간비장(肝脾臟)이 붓고 커진 병증
면부(面浮)
얼굴이 들떠서 약간 붓는 병증. 대부분 허증(虛證)에 속한다. [고금의통대전(古今醫統大全)] <면부문(面部門)>에서 "면부(面浮)는 비토(脾土)와 폐금(肺金)에 속한다. ……얼굴이 뜨는 것은 허(虛)하기 때문이다.(面浮屬脾土肺金, ……面浮則爲虛.)"라고 하였다.
장옹(腸癰)
창자 속에 옹(癰)이 생기고 아울러 배가 아픈 병증. 음식을 먹을 때 절제를 하지 못하였거나, 벌컥 화를 내고 근심 걱정을 하거나, 넘어져 부딪치고 급하게 달리는 등으로 인하여 위장(胃腸)이 운화(運化)하는 데에 제 기능을 잃어 습열(濕熱)이 안에 막히므로 일어난다. [금궤요략(金匱要略)]에서 "장옹(腸癰)은 아랫배가 부어 막...
금기사항
복용 중 피해야할 음식 : 계(鷄), 저(猪), 주(酒), 면(麵), 녹두(綠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