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법륜스님 즉문즉설 -
▒ 문
저는 불교대학을 다니면서 정토회에서 봉사를 하고 있습니다.
요즘 행사 때문에 몇 일 동안 집에 늦게 들어갔더니
아들이, 엄마는 어디를 그렇게 늦게 까지 다니느냐고 그래요.
그래서 스님의 실천적 불교에 대해서 제가 아는 만큼 설명을 했더니
아들이 뭐라 하냐면, 불교는 욕심을 버리라 하는데
그런데 스님이 지금 그렇게 활동하시는 것도 욕심이 아니냐..
이렇게 물어보는데 제가 제대로 답변을 하지 못했어요.
▒ 답
내가 배고플 때 밥 먹는 것도 욕심이라고 하면 욕심이고
관세음보살이 일체 중생을 구제하겠다는 것도 욕심이라면 욕심이고
욕심이라고 갖다 붙이면 다 욕심이 돼요.
그러나 불교에서 욕심을 버리라는 것은 그런 의미가 아니에요.
밥 먹겠다는 생각도 버려라, 중생구제 하겠다는 생각도 버려라.. 이런 게 아녜요.
관세음보살이 일체 중생을 구제하겠다 할 때는, 욕심이 아니고 원(願)이라고 그래요.
지장보살은 지옥 중생까지도 다 구제하겠다는 큰 원을 세웠다고 해서
대원(大願) 지장보살.. 이래 부르잖아요?
그럼 '원'하고 욕심하고 차이가 뭐냐?
안 됐을 때 보면 구분이 돼요.
욕심을 가지고 한 일은, 안 됐을 때 괴로워합니다.
원을 가진 사람은.. 또 합니다. 괴롭지가 않아요..
자기도 어떤 일을 할 때, 원인지 욕심인지 이렇게 보면 돼요.
안 됐을 때 괴로우면 '아, 내가 욕심을 부렸구나' 이렇게 알면 돼요.
그러니까 어제 무슨 행사를 했다면..
사람들이 많이 와서 스님 말을 들었으면 좋겠다 하는 게 욕심인지 원인지는
원을 가진 사람은 최선을 다할 뿐입니다.
그래서 설령 자리가 많이 비었다 하더라도 내가 최선을 다했다 하는 것에 만족하고
'내가 노력이 좀 부족했나보다, 다음엔 더 잘 해야겠다' 이렇게 생각하고..
욕심을 가지고 한 사람은 '내가 죽어라 하고 했는데 이것밖에 안 왔네..
아이고 하면 뭐하노?' 이렇게 생각이 좌절이나 절망, 괴로움으로 가면 욕심이에요.
원이나 욕심이나 겉으로 보면 똑같이 보이지만
원은 갈수록 커지고.. 안 되면 연습해서 또 하고, 연구해서 또 하고..
이래 하고 저래 하고 해서.. 능력이 갈수록 커지고
욕심으로 하면 어떤가 하면, 자꾸 좌절하고 절망하고 하니까
갈수록 자꾸 쪼그라들어요.
수행도.. 그 수행이 잘 안 돼서 괴롭다 하면 그건 욕심이고
남을 돕는 것도, 자기 능력 부족한 걸 한탄하고 괴로워하면 그건 욕심이고,
내가 대통령이 되겠다, 부자가 되겠다.. 하는 것도 욕심이 아닐 수도 있어요.
시험도 재수한다고 해서 무조건 욕심이 아니에요.
떨어졌을 때 괴로워하면 욕심이지..
괴로워하는 게 왜 욕심이냐 하면
어떤 일을 성취하려면 열 번을 연습해야 하는데
두 번 하고는 주저앉아 한탄한다는 것은, 공짜로 먹으려고 했던 것이거든요.
노력이 부족한 건 생각 안 하고, 방법이 부족한 건 생각 안 하고
그냥 괴로워만 하는 건 욕심 때문이에요.
☞ [탐심] 욕심을 다 버리면, 이 세상을 어떻게 살아가나? http://cafe.daum.net/santam/ITr2/11
마음을 비웠더니, 매사에 의욕도 없어졌어요..<법륜스님> http://cafe.daum.net/santam/IQ3h/184
첫댓글 아들에게...
"우리 아들 말이 다 맞아~ 엄마가 욕심이 너무 많아서 그래...
불교대학 다니면서 부처님 말씀 많이 듣고 정토회 봉사하다 보면 욕심이 다 내려놓아진대...
그래서 열심히 다니는거야~ 그때까지 아들이 엄마를 조금만 도와주면 안될까~ 응?"
이거는 어떨까요? ^^
상대방과의 대화시에 알고자 하는 것이 목적인지...
자신의 불만사항을 들어주기를 원하는 것이 목적인지...
대화 초반에 빨리 파악하는 것도 중요할 듯 합니다.
예전에 이런부분으로 고생했던 기억이 많아서요...^^;
예.저도 딜레마에 빠져본적이 있습니다.
욕심과 원의 차이를 잘 알았습니다.
고맙습니다.~^^_()_
결과를 어떻게 느끼느냐에 따라서, (그 취지와 무관하게 ) 욕심이나 , 원(願)으로 구별 한다면 ....
( 노력의 목적) 근본을 분별하는 기준이 본말이 전도 된듯 합니다 .
바른 목적으로 노력했으나 결과가 나쁨에... 괴로워 한다해도 욕심이 아닌 "원"이 되는 것이고 ,
헛된 망상에 요행을 바라다가 실패했으나 겸허한 수긍으로 편안해 하더라도...그건 욕망인것 같아요
말씀을 듣고보니 그럴 수도 있겠군요..
그런데 스님 말씀은 이런 의미인 거 같습니다.
바른 목적이었다면(원).. 결과가 나빠도 괴로움이 생길 수 없고
헛된 망상에 요행을 바랐다면(욕심).. 실패했을 때 괴로울 수 밖에 없다.. (수긍하거나 편안할 수 없다)
저는 그렇게 이해하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그게 우리 마음의 속성(法, 이치) 이니까요.. 옴 산띠 _()_
욕심과 원이 이렇게 구분 되는군요. 좀 더 자세히 알게 되어 감사합니다.
옴 산띠.. 오늘도 평안하소서 _()_
고맙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