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종의 건배사 適中而止, 정조의 건배사 不醉無歸
세종의 '적중이지'-술자리에서 절제력 있어 신하들의 충언도 제지 않고 끝까지 들어....
정조의 '불취무귀'-노론·소론 등 모아 놓고 쓰러질 때까지 술 권해 붕당 해소 위한 고육책 앞으론 정조式 술자리보다 세종式 술자리가 어떨까
1792년 어느 봄날이었다. 정조는 과거시험에 갓 합격한 성균관 유생들을 창덕궁으로 초대했다. 있는 술까지 모두 모아 놓은 상태에서 정조가 입을 열었다. "옛사람들은 술로 취하게 한 뒤에 그 사람의 덕을 살펴본다고 하였다. 오늘 취하지 않은 사람은 결코 돌려보내지 않을 것이니, 모름지기 각자 양껏 마시도록 하라."(정조실록 16/3/2).
정조의 술자리 심각한 붕당 간 대립을 완화해 보려는 고육지책이었다. 겪으면서 붕당들 사이의 불신은 극에 달하고 있었다. 주요 국책 사업이 무산되는 일도 빈번했다. 어떤 식으로든 갈라진 사람들의 마음을 하나로 묶어야 한다는 게 정조의 판단이었고, 술자리는 그렇게 해서 마련된 것이었다. 정조는 그를 편히 눕게 한 다음 "술에 취해 누워 있은들 무슨 문제가 되겠는가"라며 그를 물리치려는 신하들을 만류했다. 대목이다. 여러 붕당의 젊은 유생들을 한자리에 모이게 하여 왕이 친히 내린 술을 마시고 서로 어우러지는 계기를 만들려 했던 것이다.
(태종실록 18/6/3). 양녕대군처럼 지나치게(過) 술을 마셔서 실수를 범하지도 않고, 효령대군처럼 한 모금도 마시지 못해서 외국 사신들을 맞이하는 자리에 부족(不足)하지도 않은 '중용의 술 마시기'를 했다는 이야기이다. 어전회의에서 그는 "어떻게 하면 좋겠는가"라고 하여 신하들로 하여금 이야기하게 한 다음 중간에 끼어들고 싶은 유혹을 참고(止) 기다리곤 했다. 신하들이 충분히 마음속 이야기를 꺼내 놓으면 그제야 나서서 "경의 말이 참으로 아름답소"라고 하면서 좋은 의견에 힘을 실어주었다. 적절한 시점까지 기다렸다가 좋은 의견에 힘을 실어주는 '적중이지'의 화법 덕분에 그의 어전회의는 많은 창발적 의견이 쏟아져 나오는 아이디어의 산실이 되었다. '다수가 찬성'이었지만 밀어붙이지 않았고, 고위 신료들의 끈질긴 반대에도 중도에 포기하지도 않았다. 밀어붙임(過)과 중도 포기(不足) 사이에서 일정 기간의 기다림의 시간을 가져서 반대자들까지도 수긍할 수 있는 제3의 대안을 만들어냈다. 가졌고, 그것이 오히려 애초 계획보다 훨씬 기간을 단축해서 완성하는 힘이 되었다. 귀를 기울였더라면 어땠을까. 경연(經筵)이라는 세미나식 국정 회의를 개최해, 왕이 신하들을 가르치려 하지 않고 반대로 듣는 지혜를 가졌더라면 그의 시대가 얼마나 더 융성했을 것인가. 세종식 건배사인 '적중이지(適中而止)'를 해 보면 어떨까 싶다.
[세종]조선의 제4대 왕(1418~50 재위). 1397(태조 6)~ 1450(세종 32).
[정조]조선 제22대 왕(1777~1800 재위). 1752(영조 28)~ 1800(정조 24).
|
첫댓글 실록에 근거를 둔 술 이야기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결국 술은 좋은 것이되 자제력이 있어야 할 것 같데요.
네 그런것 같습니다.
자신의 자제력이..술문화를 좌우할것 같습니다
항상 건강하시고 좋은날들 되시길 기원드립니다. 감사합니다
풍류중 으뜸풍류는 본인을 다스릴줄 아는 것이라 사료 되옵니다.
번창하시는 사업 되시옵소서~! 늘상 좋은자료 감솨~!
네 저도 그렇게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항상 좋은날 되시구요
나이가 들면서 조급해지는것 느껴집니다. 남의 이야기를 끊지않고 들어야한다는것 참 중요한데
머리론 그래야지 하면서도 말이 앞서 나가지요. 고개 끄덕이며 읽었습니다. 한주일도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네 실비 총무님 감사합니다
누구나 ..다 그런거 같어요.....언제나 좋은날 되시구요
우리풍주방은 세종의 "적중이지"" 정조의 " 불취무기"
가 적당히 섞인 "중도주음 " 이면 될듯싶습니다
아직도 선배님과 민어를 함께 시식지못한것이 아쉽습니다
중도주음 ....아주 좋습니다.
저도 방장님과 자리를 함께 못해 아쉽습니다.
다음에 좋은자리를....
좋은날 되시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