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서 및 비문 등장>
고보장- 태왕
고복남- 태자
고덕무- 고보장의 아들
고약광- 고보장의 아들
고 련- 고보장의 아들
도수류금류- 前대대로
고정의- 後대대로
연개금(연개소문)- 막리지 겸 대모달 겸 동부대인 후에 태대대로
연개소문 부인- 682년 사망
연남생- 연개금의 장남
연남건- 연개금의 차남
연남산- 연개금의 삼남
고임무- 막리지 겸 왕자
고 원- 건안성 욕살
고 회- 고원의 아들 후에 건안성 욕살
고연수- 북부욕살 위두대형
고혜진- 남부욕살 대형
고복인- 태대사자 겸 수경성 처려근지 요동성 대수령
고지우- 고복인의 아들
연정토- 비열성 욕살(?)
고 방- 평양성 처려근지
고 렴- 고현의 아버지
고 량- 위두대형 겸 前책성욕살
고 질- 위두대형 겸 장군
선도해- 대신
고죽리- 첩자
덕 창- 첩자
고돌발- 오골성 장군
손대음- 백암성 처려근지
고종정- 마미성 처려근지
이타인- 태대사자 겸 後책성욕살
소부손- 박작성 처려근지
고 문- 장군
온사문- 장군
두방루- 대장군
안 고- 장군
뇌음신- 장군
생 해- 말갈 출신 장군
아달혜- 소형
연헌충- 연남생의 아들
연헌성- 연남생의 아들
염 유- 대형
불 덕- 대형
신 성- 승려
사부구- 신성 사람
고요묘- 소장
오 사- 소장
술 탈- 평양성 욕살
검모잠- 대형
고안승- 왕족
다 식- 소 형
고연무- 태대형
걸걸중상- 장군
걸사비우- 장군
고문간- 막리지
고공의- 고구려 멸망 후 돌궐에 망명
대조영- 장군
고정문- 북부여성 부흥군 대장
고사계- 고선지의 아버지
<기타 야사 등장>
양만춘- 안시성 처려근지
우 소- 비사성 처려근지
추정국- 오골성 욕살
오족루- 말갈인
연수영- 석성 처려근지
고성운- 장군
장운형- 장군
계 진- 대신
<족보 등장>
고명승- 고보장의 장남
고인승- 고보장의 차남
고덕승- 고보장의 삼남
강운기- 강이식의 손자
강수손- 강운기의 아들
7세기 고구려를 다룬 사극에서 더 이상 불필요한 가공인물이 나오지 않기를...ㅋㅋㅋㅋㅋ
더 추가할 인물 있으면 댓글 남겨주세요.^^
첫댓글 위의 사람들만 잘 활용해도 사극이 풍성할텐데 정말 아쉽군요. 십시일반이 요청된 글이라 눈팅만 하는 회원이 <고구려의 그 많던 수레는 다 어디로 갔을까> 참고해서 몇자 적어봅니다. 일본서기에 기록된 연개소문 통치기의 고구려인은 제외했습니다.
고덕무[高德武] : 보장왕의 아들. 699년 안동도독(安東都督), 스스로 왕이 되어 독립함.
고공의 : 돌궐에 가서 고구려 유민 이끄는 대추장됨.
고문간 : 막리지 출신. 고구려 유민 집단 지도자. 돌궐의 부마.
다음은 진주강씨 족보에 나온 인물입니다. (출처 : http://www.jidang.org/zbxe/board_root/343
http://cafe.naver.com/jinjukangssi/6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22&aid=0002506185)
강운기(姜雲紀) : 진주강씨의 시조인 강이식(고수전쟁 영웅이라 전해짐)의 후손, 당나라에 투항한 듯. 당나라 자청광록대부(紫靑光祿大夫) 상서(尙書) 좌복야(左僕射) 안동도호부(安東都護府) 도호총병(都護摠兵) 도진무사(都鎭撫使)
그외 동시대 인물인 강박, 강극용, 강택인, 강진 존재.
고구려 멸망 후 강진(姜縉) 때 진주로 이주하였다고 전해짐.
http://cafe.naver.com/jinjukangssi/6 (1685년에 간행된 남한보(南漢譜) 바탕 기록)
姜雲紀 檢校大將軍 追封 紫靑光祿大夫 尙書 左僕射 安東都護府 都護摠兵 都鎭撫使 唐高宗 滅高句麗置 安東都護府 於平壤時 受此爵
보장왕 후손들을 완전히 잊고 있었네요.^^; 말씀하신 분들 추가했습니다, 감사합니다! ^^
보장왕의 아들 덕남, 임무와 고구려요동성주 고복인-고지우-고문양-고제석가계도 빠져있습니다.
고덕남과 고문양은 어디 기록에 있는지 알 수 있을까요? 고임무와 고복인 고지우는 들어있으나, 고제석은 당 2민자 2세라서 제외했습니다. 그리고 고복인을 정황상 요동성주로 보기는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처려근지라는 직책이 성주인감요?
네, 대성에는 욕살(도독)이 되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