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남 산청군에 심원사라는 절이 있다.
심원사는 너무 오래되고 낡아서 비가 오면 빗물이 법당 안으로 새어 들어와서 주지인 지경스님은 이 절을 중수하고자 원(願)을 세워 백일기도를 하였다.
기도 회향 하는날 꿈에 부처님께서,
"네가 내일 동구 밖에서 맨 처음 만나는 사람에게 시주를 청하여라."
하시었다.
이튿날 아침, 지경 스님은 아침 예불을 하고는 권선문을 들고 설레는 마을을 달래며 동구 밖에서 서성거렸다.
그런데, 맨 처음 나타난 사람은 윗마을 조부자 집에서 머슴살이를 하는 삼돌이가 아닌가?
'부처님도 무심하시지. 저 머슴이 무슨 돈이 있다고 시주를 부탁하란 말인가........?"
그만 맥이 탁 풀린 스님은 땅바닥에 털썩 주저앉아 버렸다.
이 모습을 본 머슴이 다가와,
"스님! 어디가 편찮으십니까?"
하며 부축해 일으켰다.
스님은 몇 번을 망설이다가 그래도 부처님께서 하신 말씀을 떠올리며 절을 중수하고자 하니 시주를 해 달라고 부탁햇더니 뜻밖에도 머슴은,
"절을 중수하려면 돈이 얼마나 드는지 모르지만 제가 그동안 장가가려고 모아 온 품삯을 드림 테니 스님 보태어 절을 중수하십시오."
하면서, 기꺼이 권선문에 백냥이라고 써달라는 게 이닌가?
"아니 당신에게 어떻게 이처럼 큰 돈이 있을 수 있습니까?"
"예, 스님. 저는 조부자 집에서 삼십 여 년 간을 머슴으로 살아오면서 장가가려고 한푼도 안 쓰고 모았습니다만, 장가가는 것보다 더 뜻있는 일에 써야지요"
"고맙습니다. 부디 소원 성취하십시오."
지경 스님은 머슴 삼돌이의 마음에 감탄을 하며 멏번이고 인사를 하였다.
며칠 후 머슴은 돈 백냥을 가지고 심원사로 왔다.
머슴이 법당안데 들어서자 언제나 근엄한 모습의 부처님께서 빙그레 웃고 계셨다.
"부처님! 저는 못 배운게 한이올시다. 이렇게 남의 머슴으로 평생을 지내고 있습니다만, 부처님! 다음 생에는 부디 저도 배워서 남의 머슴 신세만은 면하게 해주십시오."
머슴은 부처님전에 절을 하였다.
머슴 삼돌이가 평생을 모아 온 뼈아픈 그 돈을 시주했다는 이야기를 들은 동네사람들은 모두 다 미쳣다고 수군거리며 지경 스님이 꼬여서 돈을 뜯어냈다고 헛소문을 내고 다녔다.
모두들 욕을 하고 비방을 해도 절은 중수하는 일은 착오없이 진행되어 마침내 심원사는 비가 와도 걱정없이 지낼 수 있도록 훌륭하게 중수되었다.
하지만, 모든 재산을 다 바친 머슴은 이제 돈조차 없어 장가를 갈수가 없었다.
절이 중수된 지 한해가 지날 무렵 그 머슴은 중풍이 들어 앓다가 앉은뱅이가 되어 버렸다.
머슴은 조부자집에서 살수도 없었다.
사람들 등에 업혀 절에 들어오게 된 머슴을 스님은 정성껏 간호하였다.
시주한 덕이 있으니 꼭 나으리라 믿으면서 머슴을 위해 백일 기도를 시작했다.
그런데 백일기도가 마치기 전에 그는 우연히 눈이 멀더니 덜컥 죽어 버렸다.
허탈한 마을을 달래며 정성껏 화장하여 장례를 치루어 준 스님은 허망한 마을을 가눌 수가 없었다.
'이토록 부처님이 야속할 수 있단 말인가. 한푼 쓰지 않고 평생을 머슴살이하여 모아 온 그 돈을 부천님께 시주한 공덕도 몰라주시다니.....'
화가 난 스님은 도끼를 들고 법당에 들어가 영험도 없는 부처님을 한없이 원망하며 부처님 이마를 도끼로 내리쳤다.
그랬더니 도끼가 이마에 박혀 빠지지를 않았다. 온 힘을 기울여도 빠지지 않자 겁이 난 스님은 도끼를 그대로 놓아두고는 절을 떠나 버렸다.
바랑 하나 걸머지고 이산 저산 명산대찰을 찾아다니며 공부하기 어언 이십오륙 년,
그 오랜 세월이 지났음에도 스님은 무심히 흘러가는 흰구름만 보아도 , 봄이면 피는 노란 창포를 보아도, 안개비가 소리없이 내리는 것을 보아도 심원사를 생각하며 그 옛날을 그리워했다.
'지금 쯤 심원사는 완전히 폐허가 되지나 않았는지? 지금쯤 심원사 법당 앞뜰에는 창포가 만발하겠지. 지금쯤 누군가가 들어와서 도끼를 빼고 부처님 시봉을 하고 있겠지......'
이생각 저생각 하다가 어느 날은 심원사 부처님을 뵙고 와야겠다고 생각하며 절을 찾아갔다.
그런데. 그날 산창군에 새로 부임한 박영제란 젊은 원님이 심원사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는 ,
"그럴리가 있느냐. 내가 가서 한번 빼보리라."
하며 이방과 몇 명 권속들을 데리고 절을 찾아왔다.
원님이 심원에 오신다는 소문에 온 동네사람들이 절로 모여 들었다.
원님이 심원사에 와 보니 과연 듣던대로 부처님의 이마에는 도끼가 박혀 있었다.
원님은
"참 괴이한 일이로 구나."
하며 손으로 부처님 이마의 도끼를 잡으니 쑥 빠지는데 '화주시주상봉'이라는 글자가 도끼날에 씌어 있었다.
그 글귀를 보는 순간 원님은 활연대오하였다.
그때야 원님은 전생의 자기를 볼 수가 있었다.
도끼를 뽑는 순간 구경꾼들 속에 있던 지경스님은 원님앞에 나아가 절을 하니 원님은 스님의 손을 잡으며,
"스님! 나는 전생에 스님의 덕택으로 시주한 공덕이 있어 일자무식으로서 삼세에 받을 업보를 한 생으로 끝마치고 금생에 좋은 곳에 태어나 이런 벼슬하게 되었습니다."
하며 스님과 함께 부처님앞에 나아가 한없이 절했다.
얼마 후 부처님을 쳐다보니 도끼가 빠져 이마에 난 상처는 깨끗이 없어지고 이마에서는 백호광명이 빛났다.
이것을 본 원님은,
"스님! 다른 곳으로 가지 말고 나와 함께 이곳에서 공부합시다."
하며 스님을 붙잡았다.
구경하던 마을 사람들도 모두 들 이제부터는 부처님을 정성껏 섬기기를 다짐하며 부처님께 절했다.
천심으로 시주한 공덕으로 한 생은 머슴살이로, 한 생은 앉은뱅이로, 한 생은 눈 먼 장님으로 이렇게 삼생을 고통 속에 살아야 할 악업의 업보를 한 생으로 끝마쳤다고 한다,.
첫댓글 가슴이 찡 하네요...


지은 인연의 과보는 반드시 따른다는 이치를 잘 새기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_()_
머슴은 시주를 하고 눈도 멀고 일찍 죽었지만 그것이 현재 남이 보기엔 불행으로 보이지만 사실은 빚을 갚고 복을 받는 과정이었습니다. 제 자신에게 너무나 소중한 답을 주네요. ㅠ ㅠ 감사합니다.
역시 사람은 착하게 살아야 해요..그쵸..^^
아. 너무 고마운 글입니다. 다시 초발심 다져나가겠습니다. 부처님께 그리고 글 올리신 분들께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