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과 경계를 이루며 장벽처럼 솟아오른 여항산(艅航山, 770m).
그 여항산을 주산으로 삼는 함안은 아라가야(阿羅伽倻 : 안라국)의 옛 도읍지로서, 변한의 소국이었을 때부터 신라에 병합될 때까지 약 500년간의
역사를 간직하고 있는 고을이다.
‘함안(咸安)’을 뜻으로 풀면 ‘모두의 평안’이다.
몇 해 전 여항산 서북산을 거쳐 봉화산 종주를 포함 여러 방면에서 오른 적이 있지만 한마음 정기산행을 따라 다시 여항산에 들어왔다.
◇ 환종주 참고 ☞ http://blog.daum.net/bok-hyun/412
이번엔 거꾸로 봉화산(烽火山·675.5m)~대부산(649.2m)을 지나 감재고개에서 여항산 둘레길을 따르기로 하였다.
이 코스는 산행내내 낙남정맥을 따라 말발굽처럼 휘어지는 정점의 도드라진 여항산을 바라보며 걸을 수 있기 때문이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여항산을 ‘군 서남쪽 15리 지점에 있는 진산’이라며 ‘배이름 여(艅)’가 아니고 ‘남을 여(餘)’자로 쓰여있다.
옛날 천지가 물에 잠겼을 때 꼭대기만 배만큼 남았다고 여항산(艅航山)이라 했는데, 실제로 여항산 정상은 길죽한 암릉이 마치 배의 형상을 닮았다.
또 함안의 지형이 남쪽이 높고 북쪽이 낮아 물이 역류하는 '남고북저(南高北低)'로 역모의 기운이 있어 이를 풍수지리적으로 다스리고자 남쪽은 배가
다닐 수 있는 낮은 곳이라는 의미를 담아 ‘여항산(艅航山)’으로 고쳤다는 것이다.
주민들에겐 곽(갓)데미산, 배넘기산, 필봉으로도 불렸다.
정상의 너럭바위를 곽(槨, 郭)이나 갓(冠)에 빗대고 경상도사투리로 큰 바위 덩어리를 뜻하는 데미(더미)를 붙여 곽(갓)데미산으로 불렀다는 얘기다.
배넘기산은 정상의 암릉을 배가 넘는 형상으로, 또 필봉은 문사(文士)가 나기를 염원하여 붙였지만 붓을 세운 것이 아니라 눕힌 모양이다.
한국전쟁 이후에는 ‘갓뎀산’으로도 불렸는데, 낙동강 방어선을 지키기 위해 여항산 일대에서 벌어진 치열한 전투에서 큰 피해를 입은 미군이 ‘갓뎀(goddam)’을
연발한 데서 비롯된 이름으로 보인다.
아마도 갓데미와 갓뎀의 유사한 발음으로 생긴 듯하다.
낙남정맥에서 살짝 비켜선 봉화산(烽火山 675.5m)엔 경남도 기념물 220호인 ‘함안 파산 봉수대(咸安 巴山 烽燧臺)’가 복원되어 있다.
파산봉수대는 여항산 동쪽 봉화산 정상부에 위치해 남쪽으로는 진동방면의 남해안과 북쪽으로는 함안군 일대 및 의령방면을 조망할 수 있어 봉수대가
위치하기에 적합한 곳이다.
파산(巴山)은 함안의 고지명(古地名).
낙남정맥(落南正脈)이란 백두대간상에 있는 지리산 영신봉(1,652m)에서 남쪽으로 분기하여 하동, 진주, 마산, 창원을 거쳐 김해 낙동강 하류인 매리마을
(또는 녹산수문)에서 그 맥을 다하는 산줄기로 도상거리 약 233km이다.
코스: 봉성저수지-도로-능선-봉화산-낙남정맥-대부산-편백숲 갈림길-<여항산 둘레길>-법륜사 삼거리-상별내-고개-용지사-좌촌주차장(약13km,4시간 40분)


법륜사를 향하다 돌아선 것과 용지사 주변에서 철조망을 만나 헤매었으니, 약 13km에 4시간 40여분 걸린 셈.

고도표

국제신문의 참고 개념도는 후반부 여항산 둘레길에서 조금 차이가 난다.
필자는 산행 전에 국제신문 가이드를 알지 못했으나 산행 중 걸린 시그널을 보고 확인을 하였다.

버스가 남해고속도로 함안IC를 빠져나와 좌촌 주차장(↗)으로 향하면서 '봉성저수지' 상류의 삼거리에서 내린다.
봉화산은 좌측 아스팔트도로 방향.

업소들은 모두 봉화산 방향에 위치해 있다.

맞은편 이정표엔 모두 둘레길 입구와 둘레길 주차장이 안내되어 있다. 주차장은 여항산 '좌촌주차장'을 말하는 듯.

안내판 두 개는 모두 '여항산 둘레길'이다.

도로를 걸어 들어가면서 우측으로 헌걸찬 모습의 여항산을 올려다 보며 나중에 내려올 좌촌주차장도 가늠해 본다..

당겨본 여항산.

세멘트 포장도로를 따라 위로 올려다 보니 멀리 보이는 산봉우리는 서북산인 듯.

좌로 꺾이는 이 지점의 이정표를 확인한다.

화살표가 가리키는 방향은 모두...

좌로 170도는 꺾어야 하는 곳.

고개만 돌리면 우러러뵈는 여항산.

임도를 따라 오르는 길은 차츰 고도를 높혀 가는 길.

거대한 너덜과 잘 관리되는 가족 묘.

임도를 따라 차츰 고도를 높혀가다 우로 꺾이는 화장실과 이정표가 있는 지점에서 빨간 화살표 방향으로 본격 산길로 접어든다.

이 지점의 이정표에 봉화산이 1.5km.

5분도 채 되지않아 능선에 올라선다. 봉화산 반대방향의 청암(1.1km)은 능선을 따라 곧장 내려서면 미래사를 거쳐 닿는 곳.

다시 보는 이정표.

474.7봉은 우측 사면으로 에두르며...

가파른 나무계단을 밟으며 암봉을 향한다.

암봉에 올라서자 멋진 전망대를 만나고, 열린 하늘 아래에 좌측으로 여항산과 필자가 올라온 봉성저수지, 그리고 우측 능선 아래로 임도도 가늠된다.

이 능선 끄트머리는 창암. 우측으로 올라붙는 산줄기는...

화개지맥에 닿아 화개산을 올려 세울 것.

살짝 당긴 소갈비짝 뒤로 화개산을 지나 화개지맥이 뻗어 나간다.

석문을 통과...

봉화대가 있는 봉화산에 오른다.
남쪽 ‘가을포 봉수대’를 받아 북쪽의 ‘의령 가막산 봉수’로 연결하는 역할을 하였다.
자연암반을 이용해 축조된 것으로 추정되는 봉수대의 전체 규모는 남북으로 약 39m, 동서로 약 15m 정도이며 높이 약 2.3m와 직경 약 7.5m 정도가 잔존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조선 전기에 설치된 이 봉수대는 조선시대 다섯곳의 중심 봉수로 중에서 동래에서 서울로 이르는 제2 봉수로에 속했다고 기록돼 있다.

봉화대는 제법 너른 공간에 복원되어 있다.

정상석 앞의 반석에 카메라를 얹어 놓고...

파란 하늘 아래 이렇게 앉았다.

안내판을 담고...

이정표도 담은 뒤...

화개지맥 너머로 고개내민 마산의 무학산을 살핀다.

더 우측으론 산맥이 자취를 감추고 남해바다가 아슴하다.

남으로 방향을 돌리니 역광으로 빛이 쏟아지고, 진동만이 햇볕에 일렁인다. 이래서 함안 '파산봉수대'가 존재하는 이유일 것.

돌아서서 일행들이 올라간 여항산과 서북산을 조망한다.

하산 방향 대부산을 바라보고, 그 뒤로 남해바다 건너 고성의 산들이 진을 치고 있다.

봉화산에서 조금 진행하자 우측으로 평상이 놓여 있는 천혜의 전망대를 만난다.

서북산과 여항산은 하늘에 대고 한 일(一)자를 긋고 있고, 그 아래 산자락엔 필자가 걸었던 여항산 둘레길이 가늠된다.

봉화산에서 주위 조망에 넋을 잃고 한참이나 지체하였지만, 여기서도 바위에 덥석 주저 앉았다. 당최 바쁠 일이 없을 것 같았다.

그러다가 능선길을 타박타박 걸어...

낙남정맥 갈림길인 한티재 갈림길을 만난다.

곧 삼각점이 있는 대부산에 이르고...

공깃돌(?)만한 삼각점을 확인한 뒤...

대부산 정상판을 접한다.

봉화 대부산을 지나 금세 철탑이 보이는 이정표 지점을 지나고, 철탑 방향으로 계속 능선을 고수하면 평지산에 닿을 것.

철탑이 보이는 지점의 이정표.

이후 내리막길을 내려서며 잡목사이로 서북산과 여항산을 올려다 본다.

진행방향으로 인성산이 보이고, 좌측 낮은 산자락으로 잡목에 가려진 야반산과 필자가 걸은 바 있는 능선이 선명하다.

천혜의 전망대에 닿았다. 지난 환종주 산행 땐 앞만 보고 걷노라고 모두 놓친 곳들. 바다 건너엔 고성의 산군들.

마침 따스한 햇볕이 내리쬐는 남향이라 또 한동안 자리를 뜨지 않고...

산하를 굽어보고 퍼질고 앉았다.
바다로 향한 낮은 산줄기의 끄트머리 볼록 솟은 봉우리가 야반산이고, 우측 잘록이는 필자가 금평에서 올라 붙은 지점.
바로 아래 저수지는 편백숲을 돌아 내려선 학동저수지. ◇ 참고 산행기: 서북산,편백숲,금평마을 원점회귀 ☞ http://blog.daum.net/bok-hyun/334

창포만(昌浦灣)으로 두루뭉실 야반산(夜半山 342m)을 당겨 보았다. 바다 건너론 고성의 크고작은 산군들.

더 우측 산주름을 헤집고 인성산과 적석산인 듯.

겨울 햇살이 따사로운 명당자리를 어이 털고 일어나랴. 반석위에 밥상펴고 보따리풀어 이미 이력난 혼밥 혼술로 제 멋에 겨운다.

명당자리가 아깝지만 털고 일어나 하산길에 만난 특이한 지질의 바위에 시선이 간다.

억겁 시간을 쌓아온 지질의 흔적에 찰나의 인간이 과연 어디까지 학문적 유추가 가능할런지?

편백숲 임도 갈림길에 닿아...

지난번 향했던 편백숲을 바라보다...

입구의 경고문을 확인하니, 사유지라고 하네.

벤치가 있는 너른 공터를 지나고...

'Y'로를 만난다. 좌측 오름길은 서북산 가는 낙남정맥 길. 필자는 여항산 둘레길을 따라 우측으로 진행하다...

정면으로 보이는 암봉(여항산)을 살짝 당겨본다.

이후 이 길은 임도로 MTB가 씽씽 달리고, 여항산 자락을 따라 둘레꾼들도 걷고, 오늘 나처럼 호올로 걷는 산꾼도 있다.

둘레길엔 촘촘히 이정표가 서 있는데, 모든 방향을 표시해 놓았지만 헷갈리는 건 당최 어쩔 수 없었다.

이정표 아래의 작은 안내판의 표시.

다시 안내판과 이정표가 있는 지점의...

안내판의 방향을 똑바로 정치하였다.

이 지점의 이정표.

우측 열린 공간으로 필자가 걸은 봉화산 하늘금이 높아 보인다.

임도의 변신은 자유.

여항산 둘레길 2구간이 시작된다.

임도가 끝이나고...

산허리를 굽어도는 허리길이 이어지더니...

목교를 건너고...

11시 방향으로 도드라진 바위를...

살짝 당겨본다.

둘레길 표식은 이정표 외에도 나무에 매단 표식판도 있다.

임도 둘레길 곳곳에 화장실도 비치되어 있으며...

촘촘한 이정표는 물론...

작은 안내판까지 설치되어 있다.

법륜사 갈림길 삼거리에서 좌측 약수터산장으로 진행하여...

법륜사를 거칠려고 하였는데...

농장 건물 뒷쪽 나즈막한 고개길을...

살짝 당겨 반듯한 등로를 확인해 보는 것으로 그만 돌아서고 말았다.

이제 다시 둘레길의 이름으로 임도를 따라...

보갑사를 지나고...

보갑사 입구의 성철스님 화두인 "이~뭐꼬?"에 속으로 답하며...

비로암을 지나...

별천의 상별내를 바라다 보며, 맞은편 산자락을 넘어야만 한다.

다시 우측으로 봉화산을 홀겨보며...

좌측 석굴암 닮은 곳을 지나면...

법륜사 입구와 민가를 지나...

고개를 넘어야 한다.

고개 입구의 둘레길 이정표.

작은 안내판엔 3구간.

지그재그로 다소 힘들게 올라선 고갯마루는...

둘레길이면서 여항산으로 오르는 등산로.

11시 방향 별난 인상착의의 여항산을 바라보며 산자락을 내려서면...

용지사가 있는 나무골로 이정표엔 팔을 양 옆으로 벌리고 있넹. 우측으로 진행하면 임도를 따라 1021번 도로에 내려서게 되므로...

이 지점의 이정표에서 방향표시가 없는...

열린 철문으로 들어가...

임도를 따라...

여름 피서철엔 한몫할 계곡도 내려다 보며 룰루랄라... ※ 사실은 잠긴 철문 가기 전 길이 휘어지는 저기쯤에서 좌측으로 올라 붙어야 했었다.

룰루랄라는 딱 거기까지.
잠긴 철문 저쪽에는 용지사의 염불소리가 나 용지암의 후문으로 알고 괜히 궁시렁거리기도 하였다.
이리저리 길을 내려 둘러 보았지만 철문 옆 사방으로 빈틈없이 철조망이 쳐져 도저히 길을 낼 수 없었다.
그러자 예전에도 오늘과 똑 같은 경험을 한 기억이 나 되돌아나와 우측으로 올라 붙었다.

되돌아 둘러 내려선 길에서 바라본 철문은 '항산농원'이다.
그러니까 항산농원의 정문인 셈이지만 필자는 거꾸로 위에서 내려와 잠긴 문을 나서지 못했던 것.

맞은편 용지암의 모습. "아이쿠~ 부처님 제가 쌍'ㅆ'을 쓰며 궁시렁거린 거 정말 죄송함다."

하산시간 14시에 30여분 늦을 거라 했지만 이미 시간이 더 늦어졌다.

여항산 용지사 표석을 지나고...

좌촌마을을 바라보며 바쁜 걸음으로...

좌촌 주차장이 있는 고목나무에 도착했다.

고목나무 아래의 서북산 전적지 안내문을 일별하고...

일행들이 기다리는 대형 주차장에 돌아왔다. 용지사앞 철문(항산농원)과 철조망에서 10여분을 헤매었으니 딱 그쯤 지연이 된 셈이다.

좌촌 주차장에서 바라보는 봉화산의 모습.
-등 산-
오르는 것이 아니네
내려오는 것이네
굽이굽이, 두고 온 사연만큼
해거름 길어지는 산 그리메
막소주 몇 잔, 목젖 쩌르르 삼키듯
그렇게 마시는 것이네
거기 묵김치 같은 인생 몇 쪽
우적우적 씹는 것이네
지나 보면 세상사 다 그립듯
돌아 보이는 능선길
그게 즐거움이거든
<권 경 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