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안근처 녹전면도 과거 도산면과 함께 예안땅이었다. 예안 서북방 녹전면에 마곡서원이 있다.
磨谷書院에는 英陽金氏 司直 金有庸, 草溪卞氏 大司諫 卞季孫, 진성이씨 企巖 李完, 新안동김씨 訥齋 金生溟, 咸陽朴氏 默齋 朴士熹, 풍산류씨 倦翁 柳빈, 파평윤씨 芝嶺 尹義貞 등 7명을 모듬으로 향사하는 공동 서원이다.
이들은 英陽金氏의 사위에서 사위로 이어져 약간의 문명이 있어 宣城誌에 이름을 남겼고 후손들이 많지는 않으나 명맥을 이어 계거하고 있다. 이들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영양김씨부터 설명을 하지 않을 수 없다. 영양김씨 예안 우무실 마을 입향조는 金遂生이다
김수생의 자 金智老는 문과에 급제하여 信川府使를 지냈고 4남 1녀를 두었는데 有中,有庸,有和,有泰이고 사위는 草溪卞氏 대사간 卞季孫의 자 卞淸源이다. 봉화금씨 琴致湛의 증조부 琴滌은 김수생의 사위가 되고 금척의 손녀는 사육신 河緯之의 嗣孫 河源을 낳았다.
金智老의 장자 金有中(용궁현감) 의 증손서가 풍산류씨 柳公智이고,류공지의 아들이 권옹 柳빈이며,권옹 柳빈의 자 柳宗介는 趙穆의 문인으로 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벼슬을하다 임란시 의병장이되어 봉화 소천싸움에서 전사하였다. 류종개는 류성룡과 8촌간이고 따라서 柳公智는 서애의 조부 柳公綽과 4촌간이 된다.
김지로의 차자 金有庸은 부내 영천이씨 李坡의 사위인데, 無男하여 繼居하는 後孫이 없다. 퇴계조부 이계양과 통찬공 金洪은 金有庸의 사위들이란 사실은 전술한 바 있다.
한편 김지로의 사위 卞淸源이 서촌마을에 정착하여 그의 손자로 卞孝恭,卞孝儉,卞孝昌이 있었지만 모두 無男한 딸부자집이었다 변효검은 6녀를 두었는데 사위로는 直長 柳遇春, 芝嶺 尹義貞의 부친 尹寬, 企巖 李完 (퇴계의 장조카), 진사 訥齋 金生溟, 鄭允韶, 生員 許泓이 그들이고 咸陽朴氏 默齋 朴士熹는 변효창의 사위이다.
정리하면 마곡서원에는 英陽金氏 金有庸, 김유중의 증손서 豊山柳氏 류공지의 아들 柳빈, 김지로의 사위 변청원의 아버지 草溪卞氏 卞季孫, 변청원의 손자 변효검의 사위 3인(眞城李氏 李完, 安東金氏 金生溟,陽川許氏 許泓), 변효검의 외손자이자 사위인 坡平尹氏 윤관의 아들 尹義貞, 변효창의 사위 咸陽朴氏 朴士熹 등 7위가 배향되어 있다.
訥齋 金生溟은 풍산 소산마을 안동김씨 장령공 金永銖의 손자이며, 청음 金尙憲의 조부 金生海와는 4촌간이 된다.
눌재는 咸陽朴氏 묵재 朴士熹와는 종동서간으로 함께 筠梅亭을 짓고 퇴계문하에 출입하여 학문연구에 힘썼다.
모란,서촌,우무실 등 예안 서북쪽 녹전면 지역에서 작은 문명이 있었는데 모두 임란이전 선성지의 기록이고, 그 이후에는 이렇다할 인물이 보이지 않는다. 1975 안동댐 수몰이전 시대에는 順天金氏 金道謙이 약간의 문명을 날렸다
변계손(卞季孫) 1368(공민왕 17, 무신) ~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 초계(草溪). 1393년(태조 2) 문과에 급제했다. 관은 1404년 안동판관(安東判官)을 거쳐 사간원정언(司諫院正言)․예빈소윤(禮賓少尹)을 역임하고, 세종조에 대사간(大司諫)에 이르렀다. 1404년 안동판관(安東判官)으로 부임해서 예안현(禮安縣)에 마곡서당(磨谷書堂)을 짓고 사람들을 가르침으로써 학문을 진흥시켰다. 녹전(祿轉) 마곡서원(磨谷書院)에 제향되었다. ■참고문헌 : 國朝榜目․宣城誌
유빈(柳贇) 1520(중종 15, 경진) ~ 1591(선조 24, 신묘)
조선 중기의 학자. 본관은 풍산(豊山). 자는 미숙(美叔). 호는 권옹(倦翁)․고권옹(孤倦翁). 훈도(訓導) 공지(公智)의 자. 외조는 진보훈도(眞寶訓導) 김승조(金承祖). 1554년(명종 9) 35세 때 생원초시(生員初試), 7년 뒤인 1561년에 진사초시에 합격하였으나 운이 없어 벼슬하지 못하고 학문에만 전념했다. 특히 역학(易學)에 조예가 깊었으며 당시의 정치에도 관심이 깊어 균전법(均田法)의 시행을 주장했다. 저서에 시문집인 『권옹선생문집(倦翁先生文集)』과 『역도(易圖)』가 있는데 여기에는 하도(河圖)와 낙서(洛書), 복희팔괘(伏羲八卦)와 문왕팔괘(文王八卦)를 도표로 설명하여 52개 도표가 작성되어 있다. 이 책은 주자(朱子)의 『역도(易圖)』를 기본으로 하고 소옹(邵雍)의 설과, 서산채씨(西山蔡氏), 반간동씨(盤澗董氏), 사재옹씨(思齋翁氏) 등 여러 학자의 설을 모두 참고․인용․절충하였다. 이 가운데 『후천괘위배천낙서(後天卦位配天洛書)』와 『분배시방(分配時方)』 두 도표는 매우 독창적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외향인 예안(禮安)에 살았다. 녹전(祿田) 마곡서원(磨谷書院)에 제향되었으며, 문집으로 『권옹집(倦翁集)』이 있다. ■참고문헌 : 宣城誌․안동하회마을(徐守鏞)
유종개(柳宗介) 1558(명종 13, 무오) ~ 1592(선조 25, 임진)
조선시대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 본관 풍산(豊山). 자는 계유(季裕). 예안(禮安) 출생. 빈(贇)의 자. 1579년(선조 12) 진사시에 합격하고, 1585년 식년문과에 급제하였다. 사간원정언(司諫院正言)․성균관전적(成均館典籍) 등을 역임하였으며,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 수백 명을 모집, 스스로 의병장이 되어 태백산(太白山)을 근거지로 왜적을 무찌르다가 봉화(奉化) 소천(小川)의 전피현(箭皮峴) 싸움에서 적장 모리 요시나리(森吉成)의 군대와 전투 중 전사하였다. 예조참의(禮曹參議)가 추증되었으며, 봉화 반천서원(槃泉書院)에 제향되었다. ■참고문헌 : 國朝人物誌․宣城誌
첫댓글 보학을 공부 하셨네요. 열독하고 갑니다.
한참을 들어도 이해는 안가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