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복제(成服祭), 발인제(發靷祭) ☆
초혼(招魂)이란
사람이 죽었을 때에, 그 혼을 소리쳐 부르는 일을 말합니다.
죽은 사람이 생시에 입던 윗 옷을 갖고
지붕에 올라서거나 마당에 서서
왼손으로는 옷깃을 잡고 오른손으로는 옷의 허리 부분을 잡은 뒤
북쪽을 향하여 ‘서울동 홍길동 아무개 복(復)’이라고
세 번 부르는 것을 말합니다.
초혼의 말에서 알 수 있듯
초혼은 처음(시작) 초(初魂)가 아닌 부를 초 혼(招魂)인 것입니다.
이것을 발상(發喪)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사람이 갑자기 사망했는데 초혼제를 어떻게 지낼까요.
제사를 지내려면 밥국, 음식, 향, 술 등이 있어야 하는데
그것을 죽기 전에 미리 마련해 둘 수도 없잖습니까 ?
따라서 초혼 의식은 존재해도
초혼제(招魂祭)라는 것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나마 요즘은 병원에서 사망하므로(집에서 사망했어도)
초혼의식은 생략하며 유명무실한 것입니다.
→ 성복제(成服祭)란
사람이 죽은 다음날 염습을 하고
시신을 관에 인관한 뒤 상복으로 갈아입고
지내는 제사를 성(成服)이라 합니다.
→ 발인제(發靷祭)란
장례마지막날 장례식장을 떠나 매장지 또는 화장장으로 가기 위해
시신을 장의차에 옮겨 싣기 직전에 지내는 제사를 말합니다.
→ 저녁 상식(喪食)은
고인이 살아계신 것으로 간주하여
저녁진지를 올리는 이치와 같습니다.
위의 모든 제사나 상식의 절차는
제사의 성격에 따라 축문내용만 다를 뿐 의례(意禮)는 같습니다.
분향재배(강신), 참신, 초헌(독축), 아헌 ,종헌, 사신(일동 재배)순입니다.
→ 봉분제(封墳祭)
장사(葬事) 지낼 때 봉분(封墳)을 만든 뒤에 그 자리에서 지내는 제사
♣ 광주 무빈소 장례비용 : ₩ 150 만원 【 리무진 발인 】
가족 장례 : ₩ 300 만원【 음식 제외 】
♣ 알려 드립니다 ♣
나에 인생길 든든한 버티목이 되었던 사랑했던 가족을
멀리 보낼 수 밖에 없는 슬픔에 젖어 있다 장례를 당하다 보면 당황들을 하셔서
무엇부터 해야 할지를 모르는 분들을 위해 무료상담을 해 드립니다.
① 가족들에 맞는 장례식장을 선택. 최대할인과 최대 서비스로 진행을 해 드립니다.
② 가족장례 또한 저렴한 비용으로 치르도록 도와 드리겠습니다
③ 무빈소 발인은 최소금액으로 리무진 발인으로 마지막을 지켜 드리겠습니다.
※ 무료상담 ( 광주광역시 장례식장. 무빈소장례 .자연장. 추모관. 묘이장 )
☎ 정 해영 ( 010 7540 8140)
https://blog.naver.com/ngan071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