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충은 느껴지지만..
말 그대로 대충일 뿐... 정확히 어떤 방식으로 조작이 있었는지는..
파악이 잘 안되고 또 너무 궁금하고 그러네요.
소송인단 회원분들도 비슷할 것 같습니다.
일단 추정 가능한 것이...
1차로 투표함 이송과정에서 표를 바꿔치기하는 것이고,
2차로 전자개표기 조작을 하는 것이고,
3차로 미분류표 심사를 편파적으로 하는 것이고,
4차로 개표와 상관 없이 개표방송을 내보내는 것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이번 대선에 1,2,3차 모두 있었다고 직감하고, 4차까지 있었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1차는 엄청 쉽습니다. 많은 참관인들이 자발적으로 동승을 안하고 있고, 혹여 동승을 시도한다면 직원 직권으로 귀가 지시를 내리거나, 그 전에 야당 참관인에 여당 관계자를 집어넣으면 됩니다.
3차도 쉽습니다. 각 라인마다 책임사무원 한명을 여당 관계자로 채워넣으면 됩니다.
2차가 문제인데... 저도 어렴풋이 와닿을 뿐... 정확한 방식을 모르겠네요.
일단 개표절차를 보면...
개함부에서 투표함을 열고, 투표지분류기 운영부에서 전자개표를 하고, 심사집계부에서 그 표에 대한 확인을 합니다(매뉴얼 상으로는).
여기에 배당되는 개표원은 순서대로 각각 6명, 5명, 7명입니다.
투표지분류기 운영부에서 전자개표를 마친 표는 100매 묶음으로 심사집계부로 넘겨져, 7명이 확인을 합니다.
그러면... 조작이 있으면 반드시(?) 탄로가 날 것인데... 안 그런다는 말이죠.
분명 큰 규모로 조작이 있었다고 생각되는데.. 그 규모 만큼 탄로는 안난 것 같습니다(조금은 났긴 했지만).
어떻게 이게 가능할까요.
7명이 허수아비였을까요.
제가 추정해본 경우는 아래와 같습니다.
- 전자개표기 속도가 빨라서 그 속도에 맞춰서 표를 확인하기가 힘들다(표가 쌓인다).
- 표 확인은 지루하고 따분한 작업이라 시간이 지날수록 대충하게 된다.
- 미분류표 비율이 높거나(혹은 미분류표 분류를 표 확인으로 잘못 알고있을 경우) 7명 전체가 미분류표 분류에만 매달려 정작 분류표 확인을 못한다.
- 위원장(개표소마다 1명) 직권으로 개표원에게 표 확인을 하지 말라고("빨리 끝냅시다") 지시를 내린다.
- 각 라인마다 책임사무원 한명을 여당 관계자로 채워넣고, 표 확인을 대충하는 라인일 경우 여기에다 조작표를 보내달라고 상부에 메시지를 보낸다.
- 개표기마다 처음에 한두표씩 조작표를 보내어 간을 본다음... 표 정정이 없을 경우... 조작표를 계속 늘린다.
이상이 제가 추정해본 경우이고요.
분명 표는 심사집계부를 통과하고... 7명 중 1명을 거치는데..
안 걸리고 넘어가는 방법이 있을까요.
직접 개표원 해보셨던 분들이 말씀해주시면 더 좋겠네요.
알고도 모른 채 하는 것일까요.
첫댓글 스베덴보리님! 중앙선관위는 제18대 대통령선거 시 전산조직을 이용한 개표조작을 이렇게 하였다!(종합분석)(결정적 증거 보정) (http://cafe.daum.net/electioncase/GFlg/49 )을 자세히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여러 정황상 수개표가 부실했던 건 맞는데..
개표원 대부분이 편의주의에 빠진 걸까요.
- 1-2위 득표차는 108만표이고, 미분류표는 112만표입니다.
- 96.34%인 전자개표기 분류에서 89만표 차가 났고,
3.66%인 미분류표 분류에서 19만표 차가 났습니다
4.24 보선 관람을 해보니(보궐선거는 현행법상 전자개표기 사용이 허용되는 선거이기는 하지만 개표속도로 봐서 대선도 수개표없이 전자개표기만 돌렸음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2,3,4는 매우 쉽게 저지를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게다가 TV로 시청하는 국민들은 박근혜랑 문재인이 뜀박질하고 악어 피해 도랑을 건너는 그래픽만 감상해야 했으니 개표소가 도대체 감시가 안되는 듯 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