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친구들이 모여 점심을 먹는데 ‘총각김치’ 를 더 달라는 요구가 빗발쳤습니다.
어떤 밥상에서도 단골손님이 되는 총각김치, 손가락 굵기의 어린 무를 무청째 담근 김치입니다.
그런데 왜 하필 ‘총각김치’일까요?
무나 배추 한 가지로만 담근 김치를 ‘홀아비김치’라고 하니 알 듯싶다가도,
‘처녀김치’라는 말은 없으니 궁금증이 더해집니다.
총각은 한자어로 ‘總角’입니다. 지금은 ‘결혼하지 않은 성인 남자’를 가리키지만 처음부터 그랬던 것은 아닙니다.
총(總)은 ‘거느리다, 묶다’, 각(角)은 ‘뿔’을 뜻하거든요.
그러니 총각은 ‘머리를 땋아서 뿔처럼 묶는 것’이고,
총각무의 총각은 ‘머리처럼 땋아서 묶을 수 있는 무청’으로 볼 수 있다(조항범, 정말 궁금한 우리말 100가지).
한 줌 안에 들어올 만큼을 모아 묶은 미역을 ‘총각미역’(표준어는 ‘꼭지미역’)이라 하는 걸 보면
‘총각’은 분명 묶는 것과 관계가 있습니다.
따라서 총각무로 담근 김치가 총각김치고, 총각무로 담근 깍두기가 ‘총각깍두기’인 게지요.
깍두기 얘기가 나왔으니 ‘석박지’ 얘기도 해보겠습니다.
가끔 설렁탕집 같은 데서 내놓는 엄청 큰 깍두기를 ‘석박지’ ‘석박김치’라고 하는 사람이 많은데요다.
틀렸습니다. 크기에 관계없이 무로 담근 김치는 ‘깍두기’일 뿐이거든요.
우리말에는 ‘석박지’란 단어도 없고 ‘섞박지’가 옳습니다.
배추와 무, 오이를 섞어 만든 김치라는 뜻이니까요. (북한어에는 ‘석박김치’가 있답니다)
총각무를 ‘알무’ ‘알타리무’라 하는 사람도 많습니다. 허나, 이들 단어도 이젠 표준어가 아닙니다.
1988년 개정 표준어 규정은 알무, 알타리무가 생명력을 잃었다고 보고 총각무로 통일해 쓰도록 했습니다.
한자어로 통일하기 전에 알무나 알타리무도 함께 쓸 수 있도록 했으면 어땠을까 싶어 아쉽기는 합니다.
‘무’도 그렇습니다. '무우'를 버리고 '무'로 통일했는데요.
'무' 역시 서울 중심의 편의성만 앞세운 단어가 아니었을까요?
무가 옳든 그르든, 김치나 깍두기 말고도 따뜻하고 시원한 뭇국이 그리워지네요.
고맙습니다.
-우리말123^*^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