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선기의장님 제공]
[한 순간도 희망을 포기하지 않았습니다]
1964년 종신형을 선고 받고
절해의 고도 '루벤섬' 감옥에 수감된 사람이 있었습니다.
감옥은 다리 뻗고 제대로 누울 수 조차 없을 정도로 좁았으며
변기로 찌그러진 양동이 하나를 감방 구석에 던저 넣어 주었습니다.
면회와 편지는 6개월에 한번 정도만 허락 되었습니다.
간수들은 걸핏하면 그를 끌어다가
고문하고 짓밟고 폭력을 가했습니다.
이미 사람으로서의 품격과 지위는 상실되었고
견딜 수 없는 모욕과 고통은 말로 표현 할 수가 없었습니다.
그가 감옥에 끌려간 후
그의 아내와 자녀들은 살던 집을 빼앗기고
흑인들이 모여사는 변두리 땅으로 쫓겨났습니다.
감옥살이 4년 되던 해에 어머니가 돌아가셨습니다.
그 이듬해 큰 아들이 교통사고로
세상을 떠났다는 소식을 들었지만
장례식에도 참석할 수가 없었습니다.
세월이 흘러 감옥살이 14년이 되던 해에
큰 딸이 결혼을 해서 아기를 데리고
할아버지에게 면회를 왔습니다.
그리고 큰 딸이 이렇게 말했습니다.
"아버지, 아기의 이름을 지어주세요."
아버지는 말없이
땟물이 찌들은 윗 주머니에서 꼬깃꼬깃 꾸겨진
종이 조각 하나를 꺼내어 딸에게 건네 주었습니다.
딸은 그 종이 조각에 쓰여진 글자를 보는 순간
눈물을 쏟기 시작했습니다.
글자는 이렇게 쓰여져 있었습니다
'아즈위 Azwie' (희망)
그는 그 후로 온갖 치욕을 다 당하면서
13년 간이나 옥살이를 더 하고 나서야
마침내 풀려나게 되었습니다.
1964년부터 1990년 까지
무려 27년 간이나 감옥살이를 했는데,
44세에 억울한 감옥살이를 시작해서 71세에 풀려난 것입니다.
그는 '남아공 최초의 흑인 대통령'에 당선 되어
남아공 흑백 분리정책을 철폐하였습니다.
'대통령에 당선'되어서
자기를 박해하고 고통과 치욕을 주었던 정적들을 다 용서하고 인간의 고고한 삶의 방식을 보여주었습니다.
그가 세상을 떠났을 때,
세계언론은 이를 가리켜 인간의 품격을
한 계단 올려 놓은 사람이라고 존경을 드렸습니다.
그가 바로 '넬슨만델라' 입니다.
그 오랜 세월, 어떻게 절망의 세월을 견디어 낼 수 있었을까요?
그는 이렇게 대답하였습니다.
"나는 위대한 변화가 반드시 일어나리라는
아즈위(희망)를 한 순간도 포기한 적이 없습니다."
☆ 옮겨왔습니다.
사람은 희망의 힘으로 세상을 살아 갑니다.
희망이 보이지 않을 때 삶의 의지가 사라집니다.
지도자는 희망을 주는 사람입니다.
==============================
[정창래선생님제공]
12월 첫 날 아침 입니다
금년도 마지막 남은 한달 입니다.
한번 더 뒤돌아 보시고 못다한 일
마무리잘하시고 후회없는 21년 정리하시기 바랍니다
거리에 뒹굴며 웅크린 낙엽들이 가을과의 이별을 재촉합니다.
새로운 12월,
새로운 만남을 기대하면서 오늘도 기분좋은 하루 되시길 바랍니다.
아침은
모든 것이 시작되는 시간입니다.
깨끗이 새롭게 시작할 수 있지요.
희망과 자신감으로
가득 차 있지 않을 이유가 없습니다.
만약 지난날의 일들로
마음이 무겁다 하더라도,
그것은 그때이고 지금은 지금입니다.
긍정적인 마음을 갖고
한달을 시작 하세요.
벌써 그런 마음 가짐 이라면,
매우 좋습니다.
어제는 모두 지난 일입니다.
우리의 나머지 인생은
오늘부터 12월을 새롭게 시작 합니다.
12월 한달 내내 온가족 건강하시고 행복하세요.
청정.....정창래
===============================
[박병주목사님제공]
================================
[전교식선생님제공]
=========================
[김덕선선생님제공]
🌺 기쁜 소식이
있어 알림~! 👌
올림픽 금메달
소식도 기쁘구요~
코로나 치료제를 개발해
사용하는 나라는 전세계
아무 나라도 없다는데,
놀랍게도 국내에서
개발된 셀트리온 코로나
치료제가 처음으로
서울아산중앙병원에서
300명에게 투약한다고 합니다!!~
확진환자 환자에게
임상한 결과 투약 3일
만에 코로나균이 전부
사멸되었다는군요!!~
이미 10만명분이
년내 생산완료 된답니다.
우리나라 확진환자
수 3만명이라니
충분하다고 합니다.
미국에서도 우리나라에
적극 요청 중이라니
정말 대단합니다!!~
우리나라는 세계
첫 번째로 늦은 봄 또는
초여름쯤에는 마스크
없는 코로나 환자 없는
청정국가가 된다고하니
가슴이 쿵쾅 뜁니다!!
그외에도
GC녹십자에서도
곧 나온다고 합니다.
또한 주사약 말고
대웅제약에서 세계
최초 먹는치료제 알약
호이스타정이 개발되어
식약처인허가 절차중이며
종근당. 신풍제약.
동화약품등 제약회사
에서 열심히들 준비 중...
코로나와 무더위에
지친 선배님 친구들
모든 후배 가족과
친지들에게 희망과
행복을 알려드림니다.
비 소식이 있는 한주
방역수칙을 반드시
준수하면서 건강합시다.
(2)=============================
(3)===================
부자집 노인과 쥐
옛날에 한 부잣집 노인이 창고 청소를 하기 위하여
머슴을 시켜 벼 가마니를 들어내는데,
마지막 한 가마니를 들어내려 하자
"그것은 그대로 놓아두라."고 하였다.
그래서 머슴이
"그 한 가마니는 무엇에 쓰려고 그러십니까?"하자,
주인 노인이 말하기를 "쥐도 먹고 살아야 할 것 아니냐."
고 하셔서
그 한 가마니는 그대로 창고에 놓아두었답니다.
이러한 일이 있은지 몇 해 후 어느 날
머슴이 마당에 나와 보니 신기한 일이 벌어졌더랍니다.
그래서 머슴은 바로 "주인 어른,
좋은 구경거리가 있으니 나와 보십시오."하고 불렀다.
이에, 부잣집 노인 부부가 방에서
문을 열고 마당에 나와 보니 글쎄 큰 쥐 한마리가
머리에 쪽박을 둘러 쓰고 뜰에서 뱅뱅 돌고 있는 것이 아닌가ᆢ
이것을 신기하게 지켜보고 있던 순간, 오래된 묵은 집이
굉음을 내며 그만 폭삭 내려앉아 버렸다고 한다.
그래서 주인 부부는 목숨을 부지할 수 있게 되었다.
원불교 2대 종법사를 역임하신 정산 송규종사는
이 일화를 소개하시면서
"이와 같이 여유있는 마음으로 은혜를 베풀면
한낱 짐승도 언젠가는 보은을 하게 되나니라."
고 부연법문 을 해 주셨습니다.
이 이야기는 우리들도 세상을 살아가면서
부잣집 노인과 같이
여유있는 마음과 말과 행동으로 사람은 물론,
미물 곤충까지도 은혜를 베푸는 자비스런
후덕한 사람들이 되라고 일깨워주고 있습니다.
이 글을 읽으니
''大地''의 작가 펄벅이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풍경''이라고 했던
소와 짐을 나누어 지고 가는 농부, 늦가을
까치밥이 달린 감나무의 모습이 떠오릅니다.
우리 조상님들은 이렇게 넉넉하고 후덕한 심성으로
한갖 미물까지도 배려하면서 사셨는데
오늘날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은 어떠합니까?
각설하고, 어차피 인생은 일장춘몽인 것을...
세상 탓하지 말고 우리네들이라도
좀 여유롭게 넉넉한 마음으로 살아갑시다..
https://youtu.be/mF2w7ut04T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