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자극적인 제목 압도적 죄송
많은 눈아들이 봤으면 좋겠어서 이렇게 지었음!
눈아들 반갑잔아
신밀에 글은 처음 올려서 공지 두세번 정독했는데 혹시 미숙한 부분이 있거나 위반한 사항이 있으면 제발 말해주라 제발
나 밀토 없으면 몬살아
유튜브에서 다큐 하나를 봤는데 다 같이 알면 좋을 내용이 있을 것 같아서 가져와봤잔아
나도 그렇고 눈아들도 그렇고
모두들 옷 입는 거 좋아하지?
사실 나는 한달 최대 지출 카테고리가 옷일만큼 옷에 관심 많고 옷을 좋아하는데 우연히 알고리즘으로 이 영상을 보고 최대한 불필요한 옷 소비를 지양해야겠다고 느꼈잔아
에코 프랜들리 제로 웨이스트라고 우리
텀블러 가지고 다니고 플라스틱 용기 안 쓰려고 샴푸바 같은 거 사용하고 비건 실천하고 그러는 우리 멋쥔 사람들인데
옷에 대해선 아직 그런 경각심을 많이 가지지 못한 것 같아서 (물론 나도임)
우리가 '몰랐던' 거지 알게 되면 실천할 수 있는 사람들이잔아!
우리가 사재끼고
단순히
유행이 구려져서
스타일이 안 맞아서
너무 커서, 작아서
이 의류수거함에 버리는 옷들이 많잔아
여기에 버리면 눈아들 옷이 어디로 가는지 아냐잔아?
빈티지 상점 사람들이 사가지 않나??? 동묘나.. 머.. 그런 곳 ..
이라고 생각했념?
사실 나도 그렇게 생각했는데
아니잔아
그렇게 가는 건
단 5퍼센트
영상을 보면
하루에 20톤 정도의 헌옷이 들어오는데
국내에 이런 헌옷 처리 수출업체가 100여개 정도 있대
그러면 하루에 20,000톤의 헌옷이 쌓이는 거임.
우리 나라에 이런 헌옷 쓰레기를 처리하는 곳이 있념?
NO.
그런 처리하는 시스템 조차 되어있지 않음
엥?
그럼 95퍼센트는 수출하면 외국 사람들이 입는 거 아니념?
그런 95%의 옷들은
가나, 필리핀, 캄보디아, 인도... 이런 나라로 팔리는 거임
그런데 우리가 버리고, 빈티지 상점 국내 상점에서도 사가지 않은 옷들이
과연 정상일까?
대부분은 팔지도 못하는 쓰레기라서 사가면서도 버리는 거임
팔 수 있는 건 팔고 떠안은 쓰레기들은 각 나라에 버려지는 거지
너무 처참하지
하지만 여기까지는 눈아들에게 잘 안 와닿을지도 몰라
아무리 지구촌이라지만
여기서 엥? 저거 우리나라만 그러는 것도 아니잔아
우리가 아껴봤자 미국이나 중국 같은 곳에서 헌옷 버리는 게 훨 많을텐데..
라고 하기엔 우리나라의 헌옷쓰레기 수출 랭킹 자랑스럽게 5위
인구 비율로 본다면... 영국 다음 우리 나라가 1등인 거 같잔아
우리나라에서 벌어지는 일은 아니니까
물리적 거리가 멀어서 와닿지 않을지도 모르지
이제 저 국가들이 우리의 쓰레기를 받아주지 않으면 저 많은 우리 헌옷 쓰레기를 우리가 땅덩어리도 좁은 우리 나라에서 감당해야할지도 모르지만 ! !
와닿지 않는 눈아들은 여길 보면 될 것 같아
우리나라의 거의 반절이 되는 인구수의 식수를 감당하고 있는 한강의 미세플라스틱 수치를 검사한 결과
인구가 가장 많은 한강 하류에서 가장 많은 미세 플라스틱이 검출됐고
그 미세 플라스틱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1~4순위가 바로 합성섬유, 옷에 들어가는 미세 플라스틱이잔아
눈아들 뭐 나일론 몇퍼 폴리 몇퍼 옷 사도됨? < 이런 질문 많이 보고 많이 했지?
거기 들어가는 폴리잔아
저런 폴리 소재로 만든 옷을 세탁하면 나오는 미세플라스틱들이
우리의 식수를 오염하고 있는 거잔아
폴리 소재로 만든 옷들은
이런 플라스틱이랑 같다고 보면 됨
우리는 저렴한 합성섬유 옷을 구매해서 세탁하면 미세플라스틱이 나와서 한강 등 각종 우리의 식수를 오염하고
몇 번 입지도 않고 다양한 이유로 버리면 그 쓰레기는 지구촌 어디론가로 쌓이고 쌓여서 결국 환경파괴의 주범이 되는거잔아
심지어 이런 옷을 염색하는데 사용할때 쓰이는 물만 해도
전체 산업에서 사용하는 물의 20%에 달한다고 해
다양한 방면으로 환경파괴 자연낭비중
더 길어지면 눈아들이 안 보고 피로감을 느낄 것 같으니 여기까지..
https://www.youtube.com/watch?v=gw5PdqOiodU
이 글의 출처 내용은 이 다큐 영상이잔아!
나도 진짜 옷 많이 사고 옷에 관심 많았는데
이 다큐 보고서 많이 현타왔음
사실 전체적인 패션업계 구조적 문제들도 많지만
너무나 많은 잉여 생산물을 남겨 쓰레기가 된다는 건
그만큼 우리가 소비해주고 있기 때문에 기업에서도 생산을 한다고 생각해
사실 우리 옷 다들 조아하잔아
그래서 옷을 사지 말라! 이런 건 아님
의식주라는 말이 있을 만큼 옷은 우리 생활에서 너무 중요한 요소인데 어떻게 안사겠어
사실 나도 뭐 옷 욕심이 많은 사람이라 응~ 1년에 한두벌만 사고 그거 돌려입음 ㅇㅇ 이런 일은 솔직히 어려울 것 같다고는 생각하잔아
대신 나는 이제 앞으로 옷을 살 때
1. 소재를 따져서 미세 플라스틱이 배출되는 합성섬유 옷 지양하기
이게 제일 문제인 것 같음
합성섬유 옷이 저렴하니까 많이 사고, 적게 입고, 빨리 버리고, 그리고 여기에서 배출되는 해로운 성분이 제일 많음!
그러니 이 소재 옷들을 지양하고
2. 업사이클링, 중고옷 등에 관심 갖기
제발 중고옷 입으면 귀신 들리는 거 아님? < 이런 괴담 같은 거 제발 지양했으면..
다큐 보면 옷 택도 안 떼고 새 비닐도 안 뜯고 버리는 옷 같은 거 많잔아
새옷이나 다름 없는 것들을 잘 회수에서 세탁해서 파는 곳도 많고 업사이클링도 요즘 대세니까 이런 쪽으로 구매하는 것도 좋은 방법 같잔아
3. 최대한 옷 돌려입기 ^_^
역시 제일 좋은 건 안 사는거지
솔직히 옷에 쓰는 돈 아끼면 지금 중고차 한대 샀다..ㅋ
중고차가 뭐임? 새차뽑았을지두 ㅎ
환경파괴도 막고 돈도 아끼고!
있는 옷 최대한 돌려가며 입는 것도 좋은 방법
우리의 가치는 옷에 있는 게 아니라 우리라는 사람에 있는건데
옷이 뭐가 그리 중요한겨? 깔끔하게만 입고 다니면 되잔아
결론임.
.............
신밀에 글은 처음 써보는 거고
글을 쓰는 것도 두서가 없어서 내 말이 잘 전달이 됐을지 모르겠덩
많은 눈아들이 이 글을 보고 조금이라도 나랑 뜻을 같이 했으면 좋겠잔아!!
^0^
♥우리 다 같이 미래를 위해 노력했으면 좋겠덩♥
..
문제시 제발 알려주세요 OTL
첫댓글 옷을 만드는 제조사도 문제인것 같잔아.. 오래 입고 싶어도 쉽게 망가져서 다 잠옷행
맞어ㅠㅠ 옷 진짜 쉽게 망가지잔아 근데 보통 합성섬유로 만들어진게 좀 더 잘 망가지고 손상이 잘 되는 거 같더라!! 저렴한 소재니까 잘 망가지고 그러니까 싸게사고 한철입고 빨리 버리게 되는 거 같음 옷 하나 살때 소재 잘 보고 괜찮은 옷으로 한벌 사서 오래 입는게 제일 나이스한거같잔아~~
옷 최대한 돌려입기... 오케이
헐;; 다 버리는구나
맞아... 새로운 옷 소비가 제일 환경파괴의 주범이래 옷 강이 있다는 거 보고 깜짝놀람..진짜
패스트 패션 엄청 유해하군아... 난 엄청 돌려입고 오래 입잔아(옷 사기 귀찮아서 그런거지만ㅎㅋ) 앞으로도 이렇게 살란다
진짜 다들 옷오래입고 돌려입자 난 가난해서 계속글케살고있지만 앞으로다들글케살자 지구를위해서..
앞으로도 있는 옷 오래오래 잘 입어야지
나도 요즘 옷 돌려입고 옷 사도 진짜 무난한 기본티 사서 계속 돌려입고있어.. 인쇼옷 말고 되도록 백화점에 브랜드 티셔츠 싸게팔면 사입는데 몇년입어도 짱짱하고 좋더라. 그리고 옷은 되도록 오프에서 사기.. 가격이 비싸기도 하고, 직접입어보면 생각하던거 보다 핏이 개구릴때가 많아서 적당히 필요한것만 사게됨,
패션산업이 폐기물 배출 2위산업인거 보고 충격받아서 패션 미니멀리즘? 시작했는데 바지세개 티 다섯개로 살아가는중. 외투나 가방은 필요에 따라 최소한으로 유지중이고 낡으면 같은걸로 또 사입음 ㅋㅋ
옷 적으면 오히려 좋은게 코디? 필요없어 걍 잡히는대로 입어도 다 무난하게 잘 어울리고, 가끔 기분전환 하고싶을때 색있는 가디건이나 가방에 키링 하나 걸어주면 산뜻해지잔아. 그리고 구제옷 고르는 재미가 꽤 쏠쏠해서 본의아니게 재활용중
무지티가 베스트인듯 걍 존나돌려입음
패션산업 제재좀 가해주라 진심
면 옷을 오래 입자...
난 티셔츠 목 늘어나도 걍 입고 다니잔아ㅋ… 뭐 어때요
눈아 티셔츠 목 늘어나면 이거 해보라잔아 나 이걸로 티셔츠 몇개 심폐소생술 햇음 ㅋㅋ
https://m.cafe.daum.net/baemilytory/91cb/23236
그래서 빈티지 의류 많이 보게되잔아
나도 진짜 많이 줄였어 뇌에 힘 꽉 주고 돈도 안 쓰고 환경도 살린다 생각하며...
이거맛다
맞아 우리나라 패스트패션 너무 심혀 .. 글 올려줘서 고맙잔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