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기가스 규제를 위한 시험법의 하나로서, 주행상태가 10회 변화하는 방식이라는 데서 10 모드라고 불리워지고 있다. 도시 주행으로 정체가 쉬운 교통 상황을 하나의 패턴으로해서 정한 것으로서 가감속을 반복하는 주행모드가 되고 있다. 이 주행모드를 반복하여 배출된 배기가스를 분석하여, 유해가스가 규제값 이하가 아니면 저공해차로서 인정되지 않는다.
105 모드
배기가스 규제를 위한 시험법의 하나. 최근의 도시내 고속도로 발달에 따르는 고속 운전과 정체에 의한 공회전 운전의 증가에 따라서 105 모드가 정해졌다. 이 배기가스 규정모드의 변경에 따라서 연비모드도 105 모드로 변경되었다. 또한, 105 모드의 명칭은 10 모드를 기본으로 하고, 최고 속도가 70km/h로 15 모드로 된 고속 패턴을 추가한 것으로 이와 같이 호칭한다.
11 모드
배기가스 규제를 위한 시험법의 하나로서 주행상태가 11회 변화하는 데에서 11 모드라고 불리워지고 있다. 교외에서 시내로 향하는 통근주행을 모델하여 엔진이 식어 있는 상태에서 측정하는 콜드 사이클이다.
2차 공기
연소실로부터 배기가스 중에 남아 있는 CO나 HC를 촉매변환기로 재연소(산화)시킬 때, 충분한 연소가 행하여지기 위해서는 공기를 공급해주지 않으면 안된다. 2차 공기라는 것은 이 재연소 촉진용의 공기를 말한다. 2차 공기의 공급에는 엔진으로 구동하는 에어 펌프 방식과 배기의 맥동을 이용한 리드 밸브 방식이 있다.
2행정 사이클 엔진
흡입.압축.동력.배기 행정이 각각 결합되어 피스톤이 2행정(크랭크축1회전)으로 1사이클을 완성한다. 즉 엔진에서 피스톤의 상승 행정은 언제나 혼합기를 압축하는 행정이며 하강행정은 언제나 유효한 일을하는 폭발행정으로 4행정 기관과 같으나 흡기와 배기를 위한 독립된 피스톤 행정은 없다.
4행정 사이클 엔진
4개의 행정(흡입,압축,폭발,배기) 즉 크랭크축이 2회전하여 1사이클을 완성한다. 행정은 피스톤이 상사점(Top Dead Center, TDC) 위치에서 하사점(Bottom Dead Center)까지 움직인 거리를 뜻한다. 4행정 사이클 기관은 크랭크축 2회전에 1번의 동력을 얻는 엔진이다.
6 쓰로, 5웨이트, 4베어링 구조
V6 엔진에서는 토크 변동을 작게 하기 위해 등간격(120도) 폭발을 사용하고 있지만 그 때문에 크랭크샤프트는 6 쓰로(Throw)가 된다. 쓰로는 행정의 의미로서 핀수를 말한다. 따라서 핀이 6개소, 웨이트가 5개, 베어링이 4개의 구조를 갖는 크랭크샤프트이다.
가변 배기량 엔진
4사이클 가솔린 엔진에서 아이들링이나 정상 운전 등 부하가 걸리지 않는 상태에서는 일부 실린더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나머지 실린더에 부하를 집중시켜 연소 효율을 올리며 연비를 좋게 하려는 것이다. 미쓰비시의 MIVEC 엔진, BMW의 6-3 가변 기통 엔진, GVM이 캐딜락에 채용한 8.6.4가 변 기통 엔진 등이 있다.
가변 밸브 타이밍 시스템
엔진의 운전상태에 따라 밸브 타이밍이나 밸브의 양정 등을 바꾸어 , 적정한 출력을 얻음과 동시에, 넓은 회전 지역에서 흡배기 효율을 높이고 연비의 개선을 꾀하는 시스템이다.
가변 흡기 시스템
엔진 회전수에 따라 흡기관의 수, 길이, 지름 등을 바꾸고,주로 흡기 맥동 효과를 이용하여 흡기 효율을 좋게 하는 시스템이다. 각종 가변 시스템 중에서 비교적 심플한 구조로 큰 효과를 올릴 수 있는 경우도 있어서, 각 사가 다투어 사용하고 있다.
가변 A/R 터보 시스템
A/R를 가변식으로 하고, 저회전시에 적게, 고회전시에 크게 하면 하이 파워이고, 게다가 회전이 낮은 영역에서 성능이 좋은 엔진을 얻을 수 있다.
간접 분사 방식은 인젝터를 쓰로틀 보디 또는 흡기 다기관에 설치하여 연료를 분사한 다음 실린더에 흡입하는 방식이다.
강제 순환식
워터펌프를 이용하여 실린더 블록과 실린더 헤드에 설치된 냉각수 통로로 냉각수를 강제적으로 흘리게 하여 냉각시키는 방식, 냉각수의 순환이 빨라 엔진의 냉각효과가 크다.
강제 통풍식
크랭크축 풀리에 벨트를 연결하여 엔진 앞쪽에 설치된 냉각 팬을 회전시켜 강제로 다량의 공기를 보내 냉각하는 방식, 엔진을 균일하게 냉각시키기 위해 시라우드를 설치한다.
게이지 압력
대기압을 0으로 한 압력이다.
경계 마찰
상당히 얇은 유막으로 씌워진 두 물체간의 마찰, 2개의 섭동면 사이에 윤활유가 있으나 점도가 낮거나, 하중이 많거나 미끄럼 속도가 느릴 때는 유막이 얇아져 간신히 윤활되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유막을 경계로 하여 발생되는 마찰을 말함.
경수
산이나 염분이 포함된 물로 금속을 산환/부식시키고 냉각수 통로에 스케일을 발생시키므로 냉각수로는 사용하지 않는다.
경유
디젤유라고도 하며 디젤경유기관용 연로로서 휘발성은 작고 약간 점성을 가진 연료이다.
고속 캠
엔진의 성능은 캠축의 밸브 타이밍에 의해 크게 좌우된다. 특히 흡기밸브나 배기밸브가 개방되는 각도(작용각)를 크게 하거나, 흡기밸브와 배기밸브가 동시에 열리고 있는 각도(밸브 오버랩 각도)를 크게 하여 고속으로 흡기간섭이나 배기간섭을 이용하면 출력이 향상된다. 이와같은 형을 고속캠이라고 한다. 그러나 저속 회전구간에서는 오버랩시의 배기의 취반이나 내부 EGR이 커지고, 토크도 낮아지고, 연료 소비율도 나빠진다.
고속회로
FBC의 고속 회로는 에어 블리더 컨트롤 밸브를 컴퓨터에 의해 조절하여 적절한 공연비가 되도록 한다. 공전 및 고속 회로의 피드백 시스템은 공회전 스위치의 신호에 의해 컴퓨터가 구분하여 에어 컨트롤 밸브를 조절하며, 컴퓨터는 저온시 운전성 향상을 위해 엔진의 냉각수 온도가 일정한 온도 이하에서 피드백 조절을 하지 않는다.
고체마찰
상대 운동하는 고체 사이의 마찰 저항, 2개의 섭동면이 서로 접촉하여 상대 운동을 할 때 오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의 마찰로서 건조 마찰이라도 한다.
공기 과잉률
연료 1kg을 완전 연소하는데 이론적 공기량과 실제로 필요한 공기량과의 비, 가솔린 엔진은 1.5배이며 디젤엔진은 전부하 상태에서 약 2배, 무부하 운전상태에서는 약 15배 정도이다.
공냉식
엔진을 직접 대기와 접촉시켜 냉각하는 방식. 냉각수의 보충, 동결, 냉각수의 누수 등이 없는 장점이 있으나 엔진의 온도가 변화되기 쉽고 냉각이 불균일하여 과열되기 쉬운 단점이 있다. 공냉식에는 자연통풍식과 강제통풍식이 있다.
공냉식 엔진
공냉식 엔진이란 공기로 과열된 부위를 식히는 엔진이다.?수냉식 엔진에 비해 비용은 적게 드나?소음이 크고?여름에는 과열될 가능성이 있다.?
공연비
엔진에 공급되는 가솔린과 공기의 혼합비를 말하고, 중량비로 나타낸다. 이론상 가솔린 1g이 완전 연소하기 위해 필요한 공기의 양은 약 14.7g, 즉 14.7:1 이것을 이론공연비라고 한다.
공전 및 저속 회로
FBC의 공전 및 저속 회로는 종전에 사용하던 기화기의 공전 회로와 메인 회로에 에어 블리더 컨틀롤 밸브를 추가로 설치한 것이며, 에어 블리더는 컴퓨터에 의해 조절되므로 공전 회로를 통하여 유입되는 혼합기와 에어 블리더에 흡입되는 공기가 혼합되어 실린더에 유입된다.
과급기
과급기는 엔진이 출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흡기 다기관에 설치한 공기펌프이다. 과급기가 설치되지 않은 엔진은 피스톤의 하강 행정에서 발생되는 진공으로 혼합기를 흡입하여 출력향상을 얻을 수 없다. 때문에 과급기라는 공기 펌프를 설치하여 강제적으로 많은 공기량을 실린더에 공급시켜 엔진의 출력 및 회전력이 증대, 연료 소비율을 향상 시킨다. 과급기는 배기 가스에 의해 작도오디는 배기 터빈식과 엔진의 동력을 이용하는 루트식이 있다. 과급기를 설치하면 엔진 중량이 10~15% 증가하고 출력은 35~45% 증가한다.
과회전
엔진 회전 수가 지나치게 높은 것. 액셀레이터를 계속 밟고 있으면 과회전 현상이 일어나지만 보통은 시프트 다운에 의한 과회전인 경우가 많습니다.
관성과급
흡기관 내의 흡기 맥동 효과를 이용하여 엔진의 체적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인테이크 매니폴드의 지름과 길이 등 형상을 적절하게 하면, 엔진 회전의 어느 범위에서 흡기관 내의 압력 변동과 공기나 혼합기가 계속 흐르려고 하는 관성에 의하여 피스톤이 하사점을 지나도 흡입이 계속되어 마치 과급을 행한 것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광화학 스모그
자동차 배기 가스나 공장의 연기에서 배출되는 가스에 포함되는 탄화수소와 질소산화물이 대기 중에서 강한 햇빛(특히 자외선)의 영향을 받고 화학 반응(광화학 반응)을 일으켜 PAN이나 알데히드류등 자극성이 강한 산화물(옥시던트)을 포함한 스모그가 된다. 이것을 광화학 스모그라고 부르며, 1940년대에 로스엔젤레스에서 발생되어, 한국에서는 80년대에 들어와 커다란 사회문제로 대두되었다.
그룹 분사
6기통 이상의 연료분사에서 흡입 행정이 서로 이웃하고 있는 기통을 그룹으로 묶어 그룹별로 연료를 분사하는 시스템이다. 예를 들면, 6기통 엔진에서 3기통씩 2개의 그룹으로 나누는 경우를 2그룹 분살, 2기통씩 3개의 그룹으로 나누는 경우를 3그룹 분사라고 부른다. 동기 분사보다 분사 밸브의 구동 회로가 간단하다.
기계식
기계식은 센서 플레이트의 움직임을 레버에 의해 감지하여 연료 분배기의 컨트롤 플런저 행정을 변화시킴과 동시에 연료의 분사량을 조절하는 방식이다.
기류음
흡배기 계통에서 유체의 흐름에 의해 2차적으로 발생하는 소음.
기억 장치
기억 장치는 RAM 및 ROM으로 구성되어 프로그램 및 고정 데이터를 저장시키거나 각 센서로부터 시시각각으로 변화하는 데이터를 읽어들이는데 사용된다.
냉각작용
섭동 부분에서 발생된 열을 오일이 흡수하여 오일 팬에서 열을 방출한다. 마찰열을 냉각시키지 않으면 윤활부가 국부적으로 고온이 되어 소결된다.
노킹 방지 장치
노킹 방지 장치는 실린더 블록에 녹 센서를 설치하여 녹이 발생되면 점화시기를 느리게 조절하여 녹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녹은 과급 압력이 높거나 흡기 온도가 높으면 발생되기 쉬우나 점화 시기를 늦추면 발생되지 않는다.
노킹(knocking)
가솔린 엔진의 이상연소및 이에 동반하여 발생하는 소리.가솔린 엔진의 폭발행정은 스파그 플러그로부터 점화되어 화염핵이 발생한다. 이 화염핵으로부터 화염이 주위로 퍼져나가 연소가 이루어진다. 이렇게 되지않고 플러그로부터 떨어진 부분이 열과 압력에 의해자연발화하여 연소실 전체의 가스가 순간적으로 연소하는 현상을 노킹이라고 한다.심한 경우에는 고온,고압에 의해 밸브의 손상이나 피스톤 고착의원인이 될수있다
노킹(Knocking) 현상
엔진의 연소실 벽을 작은 해머로 빠른 속도로 두드리는 듯한 소리 또는 그 소리가 발생하는 현상.이것은 점화후 화염이 전파되기 전에 미연소 혼합가스가 자기착화하여 일시에 급격한 연소를 일으켜, 그 소리의 속도를 초과하는 충격파가 연소실 벽에 반사해서 생기는 소리. 과도한 노킹은 출력 감쇠 및 오버 히트의 원인이 된다. 단지 약간의 노킹이 있는 상태에서 가장 출력이 잘된다.
논리적 회로
논리적 회로는 2개의 스위치를 병렬로 접속한 회로로서 출력을 얻으려면 압력쪽의 스위치 2개를 동시에 ON 시켜야 한다.
다이아우트
자동차의 움직임에 관계없이 엑셀 페달에서 발을 땐 상태에서 엔진이 정지하는 것을 말한다.
담체
촉매 작용하는 백금이나 로듐은 표면적이 작기 때문에 단독으로는 촉매 본래의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다. 그래서 알루미나 등과 같은 표면적이 큰 다공성 물질에 부착시켜 촉매반응시킨다. 이와 같이 유효 면적을 크게 하는 바탕이 되는 것을 담체라고 한다.
동기분사(Sequential Injection)
순차분사라고도 하며 멀티 포인트 인젝션에서 각 기통의 흡입 행정에 맞추어 연료를 분사하는 방식.각 기통의 배기행정에서 인젝터를 구동시켜 크랭크각센서의 신호에 동기하여 구동된다. 1번 실린더의 신호는 동기분사의 기준이되며 가 기통의 분사는 크랭크축 2회전에 1-3-4-2순으로 1회 분사한다.
동시 분사
연료분산에서 전체 기통에 대하여 엔진 1회전마다 일제로 연료를 분사하는 방식이다. 분사 밸브의 구동 회로가 간단하고 4기통 엔진에서는 주로 이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일제 분사라고도 한다.
듀얼 액션 슈퍼헤드 엔진(Duel Action Super Head Engine)
기통당 흡기밸브 2개(1차와 2차 밸브)와 배기밸브 1개로 한 3밸브 방식. 밸브를 2단계로 작동시켜 고출력, 저연비의 장점을 가진 엔진(2 리터 엔진으로 네트 170 마력을 발생). 저속 영역에서는 작은 직경의 1차 밸브만이 작동하여 혼합기의 유속이 떨어짐이 없이 실린더 내부의 스월 효과까지도 얻을 수 있다.중, 고속 영역이 되면 대경의 2차 밸브도 열리고, 2개의 흡기 매니폴드에서 다량의 혼합기를 효과적으로 흡입한다. 이와같이 3개의 밸브가 2중 작동하기 때문에 3×2 밸브 방식이라고 불리워진다.
등가관성중량
배기가스 규제의 시험이 있을 때 샤시 다이나모상에서 차량을 주행시키는 형태로서 행한다.이때 구동륜으로 드럼을 회전시켜서 운전을 하고 있는 상황을 만들어 내지만, 이 드럼에 웨이트(관성중량)를 가하여, 통상 주행시와 같은 상황으로하고 있다. 이 웨이트의 중량을 등가관성중량이라고 한다. 관성중량 = 차량중량 + 승원 2명(55kg×2). 차량 중량은 각각 다른 차마다 상세히 이 웨이트를 설정할 수 없기 때문에 차량 중량의 어느 범위마다 대표 중량을 정하고 있다. 이것을 등가관성중량 등급(Rank)이라고 부른다.
디젤링 현상
가솔린 엔진에서 과열되어 시동키를 off해도 엔진이 계속 작동하는 현상.
디젤엔진
디젤엔진은 실린더 내에 공기를 흡입/압축하면 500~550도의 압축열이 발생되며 이때 분사노즐을 통하여 연료를 분사하여 착화연소시키는 엔진이다. 장점으로는 1) 가솔린 엔진보다 열효율이 높다. 2) 가솔린 엔진 보다 연료소비량이 작다. 3) 연료인화점이 높아 화재의 위험이 적다. 4) 배기가스에 함유되어있는 유해성분이 작다. 단점으로는 1) 마력당 중력이 무겁다. 2) 평균 유효압력및 회전속도가 낮다. 3) 운전중 진동 소음이 크다. 4) 기동전동기의 출력이 커야한다. 5) 연료공급장치의 정밀한 조정이 필요하다.
디토네이션(Detonation)
폭발적 연소, 폭연 말하며 정상적인 연소의 화염속도는 매초 수십미터이지만, 이 경우는 음속을 초월하는 비정상적인 고속으로 화염이 전파된다. 이러한 충격적 압력파에 의해 노킹이 발생하고 엔진 파괴 원인이 된다. 고압축비 엔진이나 압축 혼합가스 온도가 높을 때, 또한, 낮은 옥탄가 연료를 사용할 때도 발생하기 쉽다.
래그(Lag)
흡.배기 밸브를 상사점후에 열어 주는것.
런온(Run On)
엔진 스위치를 꺼도 엔진이 계속 회전하는 상태를 말하고 디젤링이라고도 말한다.점화시기가 잘못되었거나, 엔진 자체가 오버히트(Overheat)하면 이와 같은 상태가 된다.
레드우드 점도
60도FF의 탭 오일 50cc가 유출되는데 35초가 소요되는 유출 구멍으로부터 같은 양의 오일 또는 기타 액체를 유출시켜 그 시간을 초로 나타내는 방법으로 점도를 측정한다.
레스폰스
레스폰스는 운전자가 차를 조작했을 때 나타나는 반응을 말하며 레스폰스가 민감하다, 둔하다는 표현은 반응이 좋다. 나쁘다는 뜻임. 보통 가속성능과 핸들링의 반응에 대해서 사용됨.
레시프로 엔진(Recipro Engine)
레시프로케이팅(reciprocating)의 약자. 가솔린 엔진에서 보통 피스톤이 실린더내에서 상하 왕복운동으로 회전함으로서 동력이 발생한다. 이와같은 방식의 엔진을 말하며 로터리 엔진에 상대적인 의미로 레시프로케이팅 엔진이라고 한다.
롱 스트로크(Long Stroke)
실린더의 내경(보어)에 대해 행정(스트로크)이 긴 것을 롱 스트로크(짧은 것은 숏트 스트로크)라고 표시한다. 롱 스트로크는 일반적으로 저회전에서 토크 발생이 크다고 한다.
리드(Lead)
흡.배기 밸브를 상사점전에 열어 주는것.
리크(Leak)
오일이나 증기, 가스 등이 새는 것을 말함.
리타드(Retard)
속도를 감하다. 늦게 하다. 방해하다라는 뜻. 예로 점화 시기를 늦추다.
마찰
섭동하는 두물체 사이에 작용하는 저항력, 고체 마찰, 경계 마찰, 유체 마찰 등이 있다.
매스 플로 방식
매스 플로는 질량의 흐름의 뜻, 매스 플로 방식은 공기 흐름 센서가 흡입 공기와 직접 접촉한 다음 계측하여 전기적 신호로 바꾸어 컴퓨터에 보내는 방식으로 메저링 플레이트 방식, 핫 와이어 방식, 칼만 와류식이 있다.
메타놀
메틸 알콜이라고도 하며 무색, 무취의 용액. 비등점이 82도씨이고 응고 점이 -30도씨로 비점이 낮아 증발되는 단점이 있어 사용하지 않는다.
모트로닉
모트로닉은 점화 장치와 연료 분사 장치를 결합하여 전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점화 장치와 연료 분사 장치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경우에 비해서 더 큰 유연성과 더 많은 기능을 얻을 수 있다. 특징은 여러가지 기능을 필용 따라 프로그램화할 수 있어 많은 수의 3차원 점화 기능을 가지고 잇다. 연료 분사 및 점화에 대하여 동일한 센서가 사용될 수 있어 저렴한 비용으로 더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밀봉 압력식
라디에이터의 오버 플로 파이프와 냉각수의 팽창 압력과 동등한 보조 탱크를 호스로 연결하여 냉각수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방식, 라디에이터 캡에는 밸브가 없이 밀봉되어 있으므로 냉각수가 팽창하면 보조 탱크로 보내고 수축하면 다시 흡입하여 보충한다. 장기간 냉각수를 보충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밀봉 작용
윤활유의 중요한 성질의 하나로서 피스톤 링과 실린더 벽에 유막을 형성하여 압축 및 폭발 행정에서 혼합기 또는 연소가스의 누출을 방지하는 작용, 밀봉 작용은 점도 지수, 점도, 유막의 형성력 등이 관게된다.
바이메탈(Bimetal)
열팽창율이 다른 두장의 금속판을 붙인 것. 금속이 온도의 상승에 비례해서 팽창하는 성질을 이용하며, 넓은 용도로 쓰이고 있다. 엔진에서는 기화기의 오토 초크, 팬 클러치 등에 이용된다.
반구형 연소실
구형을 절반으로 자른 것과 같은 형태의 연소실. 반구형으로 함으로써 연소실 체적당의 표면적이 작고 스파크 플러그를 중앙에 배치시킴으로써 화염 전파 거리도 균일하게 작아지며 연소 효율도 향상된다.
배기 가스는 연료가 실린더 내에서 연소한 후 대기중으로 배출되는 가스이다. 배기 가스는 유해성 가스인 일산화 탄소, 탄화수소, 질소산화물, 납산화물, 탄소입자와 무해성 가스인 수증기, 이산화탄소가 혼합되어 배출된다. 따라서 인체에 해로운 유해 가스를 무해 가스로 정화시켜 배출하도록 의무화하고 있다.
배기 간섭
각 기통 순서대로 연소를 반복하는 엔진에서 뒤에서 배출되는 가스가 이미 배출한 가스의 영향을 받는 현상. 이와같은 현상의 정도가 클 경우 배기가스가 역류할 때도 있고 또 충분한 배기가 행하여지지도 않고, 연소 효율은 저하된다.
배기 소음
배기가스가 배기구에서 배출할 때 발생하는 소음.
배기가스 정화장치
연소가스 속에 있는 해로운 성분을 정화시키는 장치다. 해로운 성분이 생기는 것을?방지하는 기술과?발생 후 처리하는 기술 등이 적용된다. 발생 방지기술에는 배기성분을?검출해 피드백하여 적정한?혼합기를 만들거나 연소실을 개량하는 방법, 점화시기를?적절하게 맞춰 완전연소를 꾀하고?배기순환을 좋게 하여 연소효율을 높이는 방법?등이 있다. 발생 후 처리기술에는 미연소 가스를?연소시키는 방법, 산화촉매, 삼원촉매?등으로 배기가스를 정화하는 방법 등이 있다.?
배기량
엔진의 배기량은 실린더의 내경(보어)과 피스톤이 왕복하는 행정(스트로크)의 길이로 결정되고 실린더의 단면적x스트로크의 길이x실린더의 수로 계산한다. 배기량은 엔진의 크기를 보여주는 일반적인 기준이라 할 수 있다. 배기량이 클수록 힘이 좋고 여유 있는 드라이빙이 가능한 고성능 엔진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배기량을 기준으로 세금을 매기는 우리나라에서는 배기량이 클수록 세금이 많이 부과되기 때문에 이러한 점도 고려해서 차를 선택해야 한다.
배기장치
휘발유와 공기의 혼합기체가 실린더 안에서 연소된 후 피스톤의 힘에 의해 밀려나오는?기체를?배기가스라고 한다. 배기가스는 갑자기 부피가 늘면서 폭발음을 낸다. 또?해로운 가스가 그대로?배출되면 대기가 오염된다. 이러한 현상을 막기 위해 자동차에는?배기장치가 달려 있다.?배기가스는 이 장치를 통과하면서 정화되고 소음도 줄어든다.?
배압(Back Pressure)
엔진의 피스톤이 배기행정일 때 피스톤의 등쪽, 즉 헤드에 걸리는 배기가스의 압력을 말한다. 이 배압은 배기관이나 머플러의 저항이 클 수록 높고 이것은 마력 손실이 될 뿐만 아니라 잔류 배기가스를 위한 흡입 효율이나 연소 효율을 저하시킨다.
백 파이어(Back Fire)
엔진 실린더에 잔재되어 있는 미연소 물질에 의하여 폭발행정전에 조기 점화되어 혼합기가 폭발적인 연소를 하는 현상을 말한다.
밸브 서징(Valve Surging)
엔진의 허용 회전 수를 넘어 과회전시키면 흡배기 밸브가 이상 진동과 함께 출력이 떨어진다. 이러한 현상을 밸브서징이라함. 서징이 일어나면 엔진이 손상/파손될 우려가있음.
밸브 오버랩
상사점 부근에서 흡.배기 밸브가 동시에 열려있는 구간.
밸브 타이밍(Valve Timing)
배기밸브 및 흡기밸브의 개폐시기를 말하며 밸브의 개폐는 캠축의 회전에 의해 이루어진다.이 때 개폐시기는 상사점의 전후 또는 하사점의 전후에서 개폐한다. 이것은 공기나 혼합기가 관성을 가지고있으므로(무게가있음) 가스 흐름의 관성을 유효하게 이용하기 위해서이다.보통 흡기밸브는 상사점전 18도에서 열리고 하사점후 50도에서 닫히며 배기밸브는 하사점전 48도에서 열리고 상사점후 20도에서 닫히게 되어 있다.
밸브협각
흡기밸브와 배기밸브가 이루는 각도.
버티컬 볼텍스 엔진(Vertical Vortex Engine)
초희박 연소방식을 이용하여 저연비를 실현하게 한 엔진.
번
연소을 의미함.
베이퍼 록(Vapor Lock)
마찰열 등으로인해 발생된 기포로 인해 파이프 내부의 일부 구간을 폐쇄된 상태(록 상태)가 되도록 하는 현상을 베이퍼 록 이라고 한다. 예로 긴 내리막길을 풋 브레이크만으로 내려가면 드럼과 슈의 마찰때문에 브레이크 오일이 과열되어 기포가 생겨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도 베이퍼 록으로 인해 브레이크가 전혀 작동되지 않는 현상을 말한다.
벤트 루프형(지붕형) 연소실
DOHC 엔진 등에 적용되고 있는 연소실 형상으로서 S/V가 작고, 평면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연소실의 형상이 제작하기 쉽고, 스퀴시(분출류)의 발생도 많은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다른 종목의 4 밸브 엔진에서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S: 연소실 표면적 , V: 연소실 체적
벨로즈형
얇은 금속판을 주름잡아 만든 벨로즈 내에 에텔이나 알콜을 봉입하여 냉각수의 온도에 따라 팽창이나 수축 작용으로 밸브가 개폐되는 형식, 휘발성이 크고 팽창력이 작아 현재는 사용치 않는다.
부압(Negative Pressure)
표준 대기압(760mm Hg) 미만의 압력을 말한다.
부정 논리적 회로
부정 논리적 회로는 부정 회로와 논리적 회로를 복합한 회로로서 스위치 2개중 1개를 OFF 시키면 출력을 얻을 수 있고,스위치 2개를 동시에 ON 시키면 출력을 얻을 수 없다.
부정 회로
부정 회로는 1개의 입력 스위치와 1개의 출력 스위치를 병렬로 접속한 회로로서 입력 스위치가 ON일 때는 출력 스위치는 OFF되어 출력을 얻을 수가 없고, 입력 스위치가 OFF 이면 출력 스위치가 ON 되어 출력을 얻을 수 있다.
분류식
오일 펌프에서 송출된 오일의 일부만 여과하여 오일 팬으로 바이패스시키고, 나머지 여과되지 않은 오일을 윤활부에 공급하여 윤활 작용을 하는 방식으로 베어링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분사량제어
인젝터의 기본 구동시간은 에어 플로워 센서(AFS)에서의 흡입공기량 신호와 크랭크각센서 신호 및 산소센서의 정보에 따라 결정된다. 각 센서에의해 구동시간이 보정되어 주행상태에 최적의 인젝터 구동시간(연료분사량)이 결정된다.
블로바이 가스
피스톤과 실린더의 틈새에서 크랭크케이스내에 뿜어 빠져 나오는 가스. 블로바이 가스의 조성은 70~95%가 미연소 가스상태로 된 연료(HC)이고 나머지가 연소가스 및 부분산화된 혼합가스로 되어 있다. 블로바이 가스가 크랭크케이스내에 체류하면 엔진 내부의 부식,오일의 열화등을 초래함.
비산 압력식
비산식과 압력식을 조합하여 윤활 작용하는 방식, 크랭크축, 캠축, 밸브 기구 등은 압력식에 의해 윤활되고 실린더 벽, 피스톤 핀등은 비산식에 의해 윤활되는 방식으로 자동차 엔진은 이 방식을 가장 많이 사용한다.
비산식
단기통이나 2기통 엔진에서 커넥팅 로드 대단부에 주걱을 설치하여 윤활부에 뿌려서 윤활 작용을 하는 방식
비트음
주행중 이음의 크기가 주기적으로 변하면서 발생하는 음으로 일반적으로 진동음이 발생하는 차량 속도에서 현저하게 된다.
사바테 사이클(Sabathe Cycle)
왕복운동 내연기관의 기초가 되는 사이클로서 연소가 등적과 등압의 두가지 상태로 행하여지기 때문에 등적등압 사이클 또는 복합 사이클이라고도 한다.
사이클론 엔진Cyclone Engine)
종래의 것에 대폭적인 개량을 가함과 동시에 최적의 흡배기 계통에 의한 저속 토크의 향상, 가속 응답성의 향상 및 주행성의 향상을 도모한 실용성이 높은 엔진.
산화촉매
촉매라는 것은 그 자체는 변화하지 않고, 다른 물질의 화학반응을 돕는 작용을 말하는 것으로서 배기가스의 HC와 CO가 무해한 H₂O와 CO₂로 화학변화(산화)하는 것을 돕는다. 일종의 반응촉진제이다. 촉매는 형상이 팔레트형(입상)이나 모노리스형(벌집처럼된 형태)의 것이 있고, 어느 것이나 담체재질은 알루미나나 세라믹의 표면에 귀금속, 로듐이나 팔라듐을 코팅하고 있다.
삼원촉매
CO나 HC을 산화시키는 작용외에 질소산화물(NOx)로부터 산소를 분리하고 무해한 질소(N₂)나 산소(O₂)로 변화시키는 환원작용을할 수 있도록 첨가하는 촉매를 말한다.
샨트식
오일 펌프에서 송출된 오일 일부만을 여과하여 오일 팬으로 바이패스되지 않고 윤활부에 공급하며, 여과되지 않은 나머지 오일도 윤활부에 공급하여 혼합되어 윤활 작용을 한다.
섬프식
샨트식과 비슷하나 전동기에 의해 구동되는 오일 펌프를 설치한 별개의 회로 내에 오일 여과기가 설치되는 것이 다르다. 섬프식은 전동기에 의해 구동되는 오일 펌프를 사용하기 때문에 엔진이 정지된 상태에서는 오일을 여과할 수 있 장점이 있다. 여과할 오일은 전동기를 구동되는 오일 펌프를 이용하여 여과한 다음, 오일 팬으로 되돌려 보내고 윤활되는 오일은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오일펌프로 가압하여 윤활부에 공급된다.
세라믹 엔진
세라믹이라는 것은 특수한 도자기 Al2O3을 재질로하여 SiO2 및 결합제로서 니켈이나 몰리브덴을 첨가한 분말을 섞어 소결해서 만든다. 비중 2.9∼3.9, 내화온도 1800∼2000。C, 압축강도 60∼300kg/mm 이고, 발군의 내열성, 내부식성을 자랑하고 매우 가볍다. 소재로서는 엔진의 실린더 블럭 등에 적용될 가능성이 있고, 미래 엔진으로 기대할만 하다. 금속은 1000 이상의 고온에 견디지 않기 때문에 현재의 엔진에서는 냉각용의 라디에이터가 필요하지만, 세라믹을 사용하면 이것이 불필요하게 된다.가볍고 강도 높은 청정 에너지형의 세라믹 엔진이라고 할 수 있다. 세라믹은 점화 플러그의 절연 이자, 담체, 로커암의 슬리퍼부(캠과의 접촉부분)에 사용하고 있다.
세라믹 터보
고온의 배기 가스에 노출되는 터빈 로터를 가볍고 열에 강한 파인 세라믹스로 만들어지며 경량화에 따른 엑셀 성능의 향상을 도모한 것이다.
세이볼트 초
온도에 따라 오일의 점도가 변화되는 과정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오일의 온도를 0도F(-17.78도씨), 100도F(38도씨),130도F(70도씨)등으로 온도를 선택하여 60cc 의 시험 오일이 0.1765cm 의작은 구멍을 흐르는 시간 (sec)으로 그 점도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SAE 10 오일은 60cc의 오일이 10초 동안 흘렀다는 뜻이다.
세척작용
오일은 윤활부에 들어온 먼지, 수분, 금속 분말 등을 그 유동 과정에서 흡수하여 윤활부를 깨끗이 하는 작용, 세척 작용이 되지 않으면 윤활부에 마멸이 현저하게 촉진된다.
세탄가(Setene Number)
착화지연이 길어지면 디젤노크가 일어나는데 연료의 착화지연 기간의 시간에 큰 영향을 끼친다.디젤연료의 착화성을 수량으로 나타낸것이 세탄가이다.
수냉식
실린더 블록과 실린더 헤드에 냉각수 통로를 설치하여 이곳에 냉각수를 순화시켜 냉각하는 방식, 수냉식에는 자연 순환식과 강제 순환식이 있다.
수냉식 엔진
엔진의 블록과 헤드 속에 수로를 만들어 그 속에서 가열된 냉각수를 라디에이터로?분해 식히는 엔진.공냉식보다 냉각효율이 좋고 엔진도 작게 만들 수 있어 요즘 차는?거의 수냉식 엔진을 얹는다.라디에이터는 자연통풍과 팬으로 냉각수를 식히므로 효율이?뛰어나다.더워진 냉각수는 실내 난방에도 활용된다.?
수퍼차저(Super Charger)
터보와 비슷한 출력 증강 효과를 내는 것으로 수퍼차저가 있다. 수퍼차저는 대기압의 압력을 올려서 흡입시키는 장치를 말하며 원래 공기밀도가 희박한 높은 하늘을 나는 비행기에 실용화되었고 자동차에는 스포츠카 등의 출력을 높이는 데 이용되고 있음. 터보는 배기 에너지를 쓰지만 수퍼차저는 엔진의 동력을 쓴다는 차이점이 있음.
순간연소방식
싸이클론 엔진에 적용한 방식으로 연소실을 이상형으로 접근시키는 신설계, 소형화, 구형화한 것. 또한 혼합기의 순간 연소를 촉진하기 위해 구형 중심에서의 착화를 겨냥한 플러그를 배치하고, 압축된 싸이클론 유동(초고속류)을 더욱 각반시키는 스퀴시 지역의 설치 때문에 연소 효율이 좋아지고, 엔진 출력 성능, 엔진 회전 전역에서의 응답성이 향상되었다.
스모그
연기와 안개에서 만들어진 합성어, 질소산화물과 탄화 수소가 강한 태양광선에 의하여, 화학반응을 일으킴으로써 발생하는 광화학 스모그(로스앤젤레스형 스모그)와 난방등의 연기 중에서 아황산가스나 그을음 등과 안개가 원인이 되어 발생되는 스모그(러던형 스모그)가 있으며, 광화학 스모그는 자동차 배기 가스와 관계가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
스월(Swirl, 소용돌이,와류)
혼합기가 실린더 내부에서 선회하는 회전운동의 흐름을 말한다.
스캐밴징(소기, Scavenging)
소기작용. 2 사이클 기관에서 펌프 등으로 압력을 가한 신기(혼합기 혹은 공기)를 소기구에서 실린더로 불어넣고, 배기가스를 배기구에서 밀어내어, 실린더를 신기로 충전되게 하는 작용.
스퀴시 지역(Squish Area)
연소실 내부의 일부와 피스톤 상면에서 형성되는 틈 부분을 스퀴시 지역이라고 한다. 피스톤 상승시에 이 틈에서 밀어내는 분출류가 혼합기를 더욱 각반하여 연소 속도를 빠르게 하고 연소 효율을 향상시킨다.피스톤 하강시에는 반대의 유동을 발생시키고 동일한 휘저어 섞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스텀블(Stumble)
정지상태에서 발진시에 엑셀 페달의 최초의 동작에 대해 엔진 회전의 응답이 늦어지는 현상.
슬리퍼 방식
캠축의 캠과 로커암 접촉형식의 하나로 캠축의 캠과 로커암이 미끄럼 접촉을 하는 방식. 이 방식 이외에 니들 롤러 방식이 있다.
실드형식
크랭크 케이스와 연결된 통로에 P.C.V 파이프를 설치하고 에어 크리너를 고무호스를 연결하여 엔진이 작동할 때 크랭크 케이스 안에 있는 블로바이 가스를 실린더로 흡입하여 재연소시키는 형식.
실화(Misfire)
연소실내의 혼합기가 완전히 연소되고 있지 않은 상태를 말한다.실화의 원인은 비화불량, 착화불량, 화염전파불량의 세가지로 크게 나뉘어진다.
써지(Serge)
정속주행시 혹은 가감속 주행시에 차가 전후방향으로 덜거덕거리며 수차례 진동을 반복하는 현상을 말한다.
쓰로틀(Throttle)
영문 자체로는 목 혹은 목젖을 쓰로틀이라고 한다. 쓰로틀 밸브의 개폐로 혼합연료의 양을 제어함.
아이들 안정성
공회전시의 엔진 회전상태를 말한다.
아이들링(Idling)
엔진이 무부하 상태로 공회전하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차가 주차 또는 정지상태에서 엑셀링없이 엔진이 공회전하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아이싱(Icing)
한냉다습할 때 흡기중의 수분이 기화기의 벤튜리내에서 빙결하는 하여 흡기량이 적어지거나 차차 힘이 들어져서 결국은 엔진이 정지하는 것을 말한다.아이싱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기화기에 흡입되는 공기를 따뜻하게 해주면 된다. 그 때문에 최근의 차량에서는 따뜻한 공기 통로가 설치되고 있다.
압력 순환식
냉각계통의 회로를 밀봉하고 냉각수가 가열되어 팽창할 때 압력으로 냉각수를 가압하여 냉각수가 비등하지 않도록 한 방식, 냉각수를 가압하여 냉각수가 비등하지 않도록 한 방식, 냉각수를 가압하였을 때 액체의 비등 온도는 액면에 가하는 압력에 따라 변화되며 액체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일반적으로 압력을 높이며 온도는 상승하고 감압하면 온도는 내려간다. 냉각 장치 내의 압력 조절은 라디에이터 캡에 설치되어 있는 밸브로 자동 조절된다. 엔진의 열효율이 향상되고 라디에이터를 소형으로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압력식
엔진 오일이 오일 펌프에 의하여 실린더 블록이나 헤드 가운데 파이프를 통하여 베어링 등에 압송되고 있는 방식이다. 엔진의 유압이란 이 압력을 말한다. 아이들링시에는 저압이지만, 고속회전에서는 최저 3KG/CM2가 소요된다고 한다.
압축비(Compression Ratio)
자동차 용어로서는 엔진의 압축비로 사용될 때가 많으며, 연소실과 배기량의 비율을 나타낸다. 정확하게는 연소실과 배기량의 합과 연소실만의 체적의 비를 말한다. 압축비 =(연소실+배기량)/연소실. 이 비는 직접 엔진의 열효율에 관계되고 이 값이 커질수록 열효율이 좋아지나 일정한계 이상 이면 이상 연소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일반적으로 압축비가 높을수록 연소되는 압력이 높기 때문에 높은 출력과 큰 토크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압축비가 지나치면 노킹현상이 일어나거나 엔진이 상하기도 한다. 압축비는 피스톤이 맨 위 끝까지 올라갔을 때의 실린더 부피를 1로 할 때, 제일 아래로 내려갔을 때의 부피가 몇배인가를 나타낸다. 일반 승용차의 압축비는 8.0~9.0 정도이다.
애프터 파이어(After Fire)
엔진 내에서 완전히 연소하지 않은 가스가 배기 가스관 안에서 폭발적으로 연소하는 연상, 소리가 대단히 크며 심할 때는 머플러나 배기 장치를 손상시킨다. 공기와 가솔린의 혼합비율과 점화진각의 부적합이 원인이며, 급가감속식에 일어나기 쉽다. 애프터 번이라고 한다.
액티브 배기 시스템
배기가스의 메인 머플러의 유입경로를 바꿈으로써 배기 효율의 향상과 저회전 구간에서의 정숙성을 양립시킨 배기 시스템을 말함.
앵귤러 점도
20도씨의 물 200cc가 흐르는데 52초가 소요되는 유출구로부터 같은 양의 오일이나 기타 액체가 유출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물의 유출 시간으로 나누어 그 점도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에미션 시스템(Emission System)
에미션 시스템이란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유해가스를 정화시키는 시스템을 말한다. (1) 배기관으로부터 배기가스, (2) 엔진의 크랭크 케이스로부터의 블로우바이 가스, (3) 연료 탱크나 기화기로부터 증발하는 연료 증발 가스 이들 가스 중에 포함되어 있는 유해물질을 어떻게 감소시킬 것인가에 대한 그 대응 시스템을 말한다.
엔진 러프니스(Engine Roughness)
불순 연료로 인해 발생되는 현상으로 두드리는 것 같은 이음이 발생되며 크랭크샤프트의 휘어짐, 진동 등에 영향을 준다.
엔진 성능 곡선도
풀 쓰로틀 때의 엔진 회전 속도에 대한 축출력,축토크 및 연료 소비율의 관계를 그래프에 나타낸 것이다.
엔진(Engine)
자동차를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장치.주요 구성부품으로는 실린더블록,밸브장치,윤활장치,냉각장치,연료장치,점화장치등이 있다.
연료소비율
자동차가 짐을 싣고 달릴 때 주행거리당 소비하는 연료의 양을 나타냅니다. 쉽게 연비라고 부르며 km/l로 표시합니다. 1l로 몇 km를 달리는지를 말해줍니다.
연소(Combustion)
물질이 급격히 산화하여 열과 빛을 내는 현상.
연소소음
엔진의 연소 압력에 따라 엔진 본체에서 발생하는 소음.
연수
산이나 염분이 포함되지 않은 물, 자동차의 냉각수로 사용하여 증류수, 수도물, 빗물이 여기에 속한다.
열값
점화플러그의 자기청정온도를 유지하기위해 연소실에서 받은 열을 실린더블록 이나 대기중에 알맞게 열을 방출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점화플러그의 특성치를 열값이라 한다. 점화플러그의 열값은 절연체의 아래부분의 끝에서 부터 아래실(Lower Seal)까지의 길이에 따라 결정됨.길이가 긴 것을 열형(Heat Type),짧은것을 냉형(Cold Type),중간것을 중간형(Medium Type)이라한다.
오버 스퀘어 엔진(Over Square Engine)
엔진의 보어와 스트로크의 비율을 나타내는 용어로서, 보어와 스트로크가 같을 때 스퀘어(Square)라고 말한다. 이보다 긴 스트로크의 것을 롱 스트로크(Long Stroke), 짧은 것을 숏트 스트로크(Short Stroke)라고 하지만, 숏트 스트로크를 오버 스트로크(Over Stroke)라고도 한다.
오버 플로우(Overflow)
기화기 뜨개실의 가솔린이 엔진의 열로 인해 노즐에 넘치는 현상으로 오버 플로우되면 플러그에 습기가 차고 엔진의 시동이 걸리지 않는다.
오버랩(Overlap)
흡기밸브와 배기밸브가 동시에 열리고 있는 상태를 밸브의 오버랩이라고 한다. 밸브의 오버랩은 흡기와 배기의 관성력을 이용하여 흡배기 효율을 올리기 위한 것이다.
오버쿨(Over Cool)
과냉각 상태를 말하며 엔진의 냉각수 온도는 80∼90℃가 최적이지만 외부 기온이 낮은 겨울철 고속 정속주행으로 달리고 있으면 온도가 내려가 과냉각 상태가 발생할 수 있다.
오버히트(Overheat, 과열)
냉각수 부족이나 누수 등으로 인하여 엔진의 냉각이 잘 되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그대로 방치해 두면 실린더 헤드와 블록 사이에 있는 가스킷이 손상되거나, 엔진이 눌어붙는다는 치명적인 사고가 발생된다. 이것과는 반대로 지나치게 냉각된 상태를 오버 쿨이라고도 하며, 이 사고는 극히 드물다.
오일 첨가제
엔진 오일의 역할을 좋게 하거나,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하여 가해지는 것을 말한다. 기본이 되는 오일에 따라 광물유 계통과 식물유 계통이 있다. 오일의 품질 향상으로 경주용 차량 등 특히 가혹한 사용 조건 외에 별로 쓰이지 않는다.
오일의 오름(오일의 내림)
피스톤의 왕복 운동과 더불어 피스톤 링 또는 실린더나 피스톤의 틈새에서 연소실에 엔진오일이 유입되는 것을 오일의 오름이라고 한다. 또 흡입 밸브나 배기 밸브를 원활히 작동시키기 위해, 밸브 계통은 엔진오일로 윤활되고 있다. 밸브의 개폐에 따라 밸브에 묻어 있는 봉과 이것을 유지하는 통의 틈새에서 포트에 엔진 오일이 유입되는 것을 오일의 내림 이라고 한다. 통상적으로 엔진이 소비하는 오일의 60% 정도는 오일의 오름에 의한 것이고, 30%정도는 오일의 내림에 의한 것이라고 한다.
오존
대기 오염 물질의 하나이다. 화학기호 3로 나타내는 화학적으로 불안정한 기체로서 쉽게 2와 O로 분해된다. O는 발생기의 산소라고 불리우며 강한 산화작용을 가지고 있다. 대기 중 탄화수소와 질소산화물이 강한 햇빛에 의하여 반응을 일으켜 생긴다고 하며, 전기 방전에도 발생된다고 한다.
오토 사이클(Otto Cycle)
가솔린 기관이나 고속 디젤 기관의 이론 사이클로서, 정적 사이클이라고도 한다. 단열압축, 정적수열(폭발), 단열팽창, 정적방열의 4가지 상태변화로 성립된다.
옥시던트
강산화성 물질, PAN(판)이나 알데히드류 등의 산화성 물질로서 대기 오염 물질 중 하나이다. 눈이나 목에 자극을 주며, 고무제품의 열화나, 식물의 성장을 방해하는 원인이 된다고 한다. 대기 중에 질소산화물과 탄화수소가 햇빛에 의해 반응하여 생긴다고 하며 학술적으로는 옥시던트의 생성 과정이 확실하게 확인되지 않고 있다.
옥탄가(Octane Number)
가솔린 기관의 연료의 내노크성을 나타낸다. 이 값을 측정하는 표준 연료에는 각각 옥탄가 100의 옥탄과 0인 노말 헵탄의 혼합연료를 사용하고, 이것과 시료와의 비교시험으로써 결정한다.
원심식
로터의 원심력을 이용하여 불순물을 여과하는 형식, 분류식에 사용하며 오일 펌프에서 공급된 오일은 컷오프 밸브를 거쳐 스핀들 중심을 통과하여 로터에 들어간다. 로터에 공급된 오일은 분사 노즐을 통하여 다시 로터 보디에 분사하면 분사되는 오일의 반동으로 로터가 고속회전 한다. 이때 로터 내의 불순물은 로터의 원심력으로 옆벽에 침전되고 여과된 오일은 출구를 통하여 오일 팬으로 되돌아간다.
유면 표시기
크랭크 케이스 내의 오일량을 점검하는 금속 막대, 오일량을 점검할 때 자동차는 수평면에 있어야 하고 엔진이 정지된 상태에서 측정하여야 한다. 금속 막대 끝부분에 표기되어 있는 MAX (f)과 MIN (l)의 중간 이상 MAX 위치에 있으면 정상이다.
유성
오일이 금속 마찰면에 유막을 형성하는 성질
유압계
윤활장치 내의 유압을 운전석에서 알 수 있도록 된 계기.
응력 분산 작용
윤활유는 액체의 성질로서 국부 압력을 액 전체에 분산시켜 표균화시키는 작용, 엔진과 같이 진동과 충격 하중이 작용하는 윤활에서는 매우 중요한 성질이다.
이니셜라이즈(Initialize)
초기화작업으로서 자동차의 전자제어 장치들이(ABS,ISC등) 시스템을 가동시키기위해 자체적으로 행해지는 시스템 셋팅작업을 말함.
인젝터 저항
인젝터 저항은 인젝터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엔진의 회전 속도가빠를 경우 인젝터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흐름 시간이 길어 저항열이 발생되므로 전류가 적게 흐른다. 회전 속도가 느리면 전류의 흐름 시간이 짧아 전류가 많이 흐르게 되어 인젝터의성능이 저하된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20도 에서 6옴의 저항을 설치한다.
인터셉 포인트
엔진에 따라 과급압의컨트롤을 개시하는 시기는 다르다. 전부하 즉 액셀 전개에서 이 컨틀롤이 개시되는 회전수를 인터셉 포인트 회전이라고 한다. 이 회전수가 적은 것은 저속형이며, 높은 것은 고속형이다.
인터셉트 포인트 회전(Intercept Point Revolution)
인터셉트 포인트 회전은 터보차저 장착 엔진에서 과급압 컨트롤을 행하기전의 엔진회전(엔진부하)을 의미한다. 그 회전수가 낮으면 저속형에 매칭된다는 것을 의미하고, 회전수가 높으면 고속형에 매칭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인화점
액체연료를 가열하면 일부분이 증발하여 증기로 되어 화기를 가져다 대면 발화하여 섬광을 낸다. 이것을 인화라하며 이 인화하는 최저의 온도를 인화점(Flash Point)이라 한다.
자기청정온도
점화플러그의 전극이 깨끗한 상태 유지되는 온도를 자기청정온도라 한다. 일반적으로 이 온도는 400℃∼800℃ 이다. 자기청정온도를 유지하는 데는 사용 조건에 적합한 열값(히터의 범위)의 점화 플러그를 선택할 필요가 있다.
자연 순환식
냉각수를 대류에 의해 순화시켜 냉각시키는 방식, 냉각수를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자연히 흐르도록 하므로 고성능 엔진에는 부적합하며 정치식 원동기 일부에 사용한다.
자연 통풍식
실린더 및 실린더 헤드와 같이 과열되기 쉬운 부분에 냉각 핀을 설치하여 주행할 때 받는 공기로서 냉각시키는 방식, 엔진은 공기가 잘 소통되는 장소에 설치하여야 한다.
전류식
오일 펌프에서 송출된 오일 모두를 여과하여 윤활부에 공급하는 방식으로서 깨끗한 오일로 윤활 작용을 하므로 베어링 손상이 없는 장점이 있다. 엘리먼트가 막혔을때 공급부족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바이패스 밸브가 설치되어 있다.
절대 압력
절대 압력은 진공을 0으로 한 압력이다. 대기압은 장소 및 일기에 따라 항상 변화하므로 진공 센서로 측정한 경우는 절대 압력을 검출하므로서 항상 바른 흡기다기관 압력을 검출할 수 있다.
점도
유체를 유동시킬 때에 나타나는 액체의 내부 저항 또는 내부 마찰을 뜻한다. 점도의 크기는 온도 변화에 따라 달라지며, 온도가 높으면 낮아지고 온도가, 낮으면 높아지는 성질이 있다.
점도지수
온도에 따른 오일 점도변화의 상태를 나타내는 치수를 말함. 온도에 따라 점도 변화가 큰 오일은 점도지수가 작다 또는 낮다고 말한다.점도 변화가 작은 오일은 점도지수가 크다 또는 높다라고 하며 자동차 엔진용으로 적합하다.
정압
표준 대기압(760mm Hg) 이상의 것.
제트난류(Zet Turbulence)
연료 인젝션시 연소실 내부에서 형성되는 소용돌이 모양의 난류를 말한다.
주행성능 곡선도
자동차의 성능을 나타낸 선도로서, 각 변속단에 있어서 차속과 엔진 회전수, 구동력 및 구배저항의 관계를 하나의 그래프 선도로 도식화한것.
증폭기(Amplifier, 앰플리파이어)
증폭을 뜻하며 에어 플로우 센서내의 앰플리파이어는 전기 신호를 증폭하고, 초음파를 발생시킨다.
직접 분사방식
직접 분사 방식은 디젤 엔진의 직접 분사실과 같이 연소실에 인젝터를 설치하고 연료를 분사하여 연소시키는 방식이다.
착화성
디젤엔진에서 노크를 방지하기 위하여 연료의 착화지연을 표시하는 성질을 가리킨다. 착화지연 기간은 될수 있는데로 짧게한다.착화성이 좋은 연료를 사용하면 노크방지가 되므로 디젤엔진의 운전이 정숙하게 된다. 이 착화성을 표시하는데는 세탄가,디젤지수,임계 압축비와 같은것이 있다.
착화온도
공기를 충분히 공급하면서 연료를 천천히 가열하여 외부에서 점화를 하지 않아도 연소를 시작하는 최저 온도를 착화온도라 한다.
최고 차속 제한 기능
차량의 운전을 보다 안전하게 하기 위해 설치된 것으로서 차속이 약 180km/h(경자동차는 약 130km/h)에 도달하면 차속도 센서가 차속을 감지하여 신호를 컴퓨터 유니트에 전달하여 이 신호에 따라서 컴퓨터 유니트는 연료 분사량을 제어하여 차속이 그 이상으로 올라가지 않도록 하고 있다.
최고출력
엔진의 힘을 나타내는 가장 일반적인 척도로 엔진이 행할 수 있는 최대 일의 능률을 나타내며 일정한 엔진회전수(rpm)에서 최고출력(ps)이 나오므로 출력=출력(ps)/엔진회전수(rpm) 으로 나타낸다. 보통 활용도가 높은 실용 rpm 구간인 2000~4000rpm에서 최고출력이 나오도록 설계한다.
최대토크
엔지의 출력측에 생기는 가장 큰 회전력을 최대토크라고 한다.
충전효율
충전 효율 = (실제로 흡입되는 공기량(중량)/이론상 흡입할 수 있는 공기량)×100. 연소에 필요한 공기의 흡입은 피스톤이 하강함에 따라서 발생하는 실린더내의 부압에 따라서, 크랭크샤프트 1회전당 이론적으로 흡입할 수 있는 공기량은 배기량×엔진회전수×0.5(4 사이클의 경우)이지만, 실제로 흡입되는 공기량은 이것보다 작다.이 손실을 가급적 작게 하는 것이 엔진의 효율상 매우 중요하며 이것을 일반적으로 충전 효율이라고 한다.
칼만 와류식
칼만 와류식은 공기 흐름속에 발생된 소용돌이를 이용하여 흡입 공기량을 검출하는 방식이다. 발신기로부터 발신되는 초음파가 칼만 와류에 의해 잘려질 때 칼만와류수만큼 밀집되거나 분산된 후 수신기에 전달되며 변조기에 의해 전기적 신호로 컴퓨터에 전달되어 연료 분사량을 증감한다.
코로나 현상
아주 어두운 장소에서 엔진을 회전시키고 있으면 스파크 플러그의 절연 애자 부근에서 배전기 캡 등에 청자색의 거미줄 같은 빛이 발산되는 것을 볼 수 있다.이것이 코로나 현상으로서, 이에 소비되는 전기 에너지는 극히 미소한 것이기 때문에 실험상으로는 전혀 악영향은 없다.
터보
터보는 배기로 터빈을 돌려 연소실에 더 많은 공기를 공급하는 과급장치입니다.보통 엔진에는 연소실에 1기압의 공기가 들어가는데 배기를 이용한 터빈의 힘으로 흡입하는 공기를 압축해 주면 그 압축비에 비례해서 많은 연료를 공급할 수 있어 출력과 토크가 커집니다.더욱이 보통 엔진에서는 배기 에너지를 이용해 터빈을 돌리고 그 힘으로 흡입하는 공기를 압축해서 과급을 하기 때문에 여분의 에너지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배기 터빈은 말하자면 배기가스가 나가는 길목에 풍차를 놓았다고 생각하면 됩니다.터빈은 1분에 10만번 이상 회전합니다. 이 터빈과 같은 축 위에 공기를 압축하는 펌프를 마련한 것이 터보장치입니다. 이렇게 하면 엔진의 출력과 토크를 20~30% 이상 높일 수 있습니다.터보장치는 고온의 배기에 노출되어 있고 회전수가 높아 재료와 베어링의 정밀도가 아주 중요합니다. 또 빨아들이는 공기를 압축하면 온도가 오르면서 밀도가 작아지는 경향이 있어 압축 뒤에 그 공기를 식혀주면 충전효율이 더욱 높아집니다.냉각효과를 위한 장치로는 인터쿨러가 있습니다. 인터쿨러는 컴프레서로 압력을 가한 공기를 냉각해 공기의 밀도를 올리는 구실을 합니다. 압축으로 뜨거워진 공기의 열을 발산시켜 주는 것입니다.예전에는 레이싱카에만 쓰였으나 지금은 일반 승용차에도 쓰이고 있습니다.터보를 단 엔진은 회전 수와 배기압이 올라가지 않으면 터빈의 회전도 빨라지지 않기 때문에 갑작스럽게 가속할 때 약간의 시간차가 생길 수 있습니다. 즉 액셀러레이터 페달을 밟고 나서 회전이 빨라 질 때까지 조금 시간이 걸리는 현상입니다. 이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터빈 지름을 줄이는 등 여러 방법이 쓰이고 있습니다.
튠업(Tune up)
엔진의 출력을 증강시키기 위해 일부 개조를 가하는 작업을 말한다.
패스트 아이들(Fast Idle)
냉간시에는 연료가 기화하기 어렵고, 또 엔진오일의 점성이 높아 워밍업 시간을 단축하기위해 쓰로틀 밸브를 약간 열어서 엔진 회전수을 올리는 것을 패스트 아이들 이라고 부른다.
풀 쓰로틀(Full Throttle)
엑셀 페달을 끝까지 밟아서 쓰로틀 밸브를 완전 전개하여 최고 마력을 내는 상태를 말한다.
플랫 토크(Flat Torque)
자동차용 엔진은 회전수의 변화에 대해 토크의 변화가 일정한 구간이 엔진설계 및 성능상 유리하기 때문에 토크 발생 비율을 성능곡선도에 나타냈을 때 토크 곡선이 너무 위로 볼록한 형이 되지 않고, 평평한 토크곡선을 적용한다. 이 구간을 플랫 토크라고 말한다.
핫 스팟(Hot Spot)
과열 등 이상 연소가 일어났을 때 연소실 내부에 생성되는 강력한 불씨를 말한다.
해칭(Hatching)
공회전시의 엔진의 회전수가 일정하지 않고 변화하는 것을 말한다.
헤지테이션(Hesitation)
주행중 가속을 하기위해 엑셀 페달을 밟았을 때 차속도(엔진 회전)의 응답이 지연되는 현상. 또는 가속 중에 일시적으로 차속도(엔진 회전)가 떨어지는 현상을 말한다.
화염전파
압축된 혼합기가 점화플러그에 의해 점화하면 연소가 시작되고 플러그 선단을 중심으로 불꽃이 점점 퍼져가서 최고 압력에 도달하는 현상을 말한다.
흡기관성
흡기행정에서 흡기밸브가 갑자기 열리면 흡기 매니폴드 내부의 공기(기주)의 관성에 의해 밸브쪽에 부압이 발생한다. 이 부압이 매니폴드내로 전달되어 기화기쪽(개방단)으로 반사되고 정압이 되어 밸브쪽에 되돌아온다. 동일 사이클의 흡기과정의 후반에 이와 같은 정압은 흡입효율을 높일 수가 있다. 이것을 흡기관성 효과라고 한다.
흡입 부압
엔진의 흡기계에 발생하는 부압. 표준대기의 압력을 1기압이라 하면, 수은의 높이로 측정하면 760mm이다. 이것을 통상 760mmHg로 나타낸다. 실린더가 공기를 흡입한다고 하는 것은 실린더내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낮기 때문에 외기가 흡입되는 현상을 말한다. 통상 엔진의 경우, 흡입부압을 이용하여 점화계의 자동진각을 행하거나, 브레이크 등의 배력장치의 근원으로 하고 있다. 이 경우 부스트압은 마이너스가 되기 때문에 이것을 부압(Vacuum)이라고 부를 때도 있다.
희박 연소방식
가솔린 엔진은 가솔린과 공기의 혼합기를 연소시켜 동력을 얻고 있지만, 이 혼합기의 비율이 희박한 것을 사용하는 연소방식이 희박 연소방식이다. 가솔린 1에 대해 공기 약 15의 비율이 보통의 혼합기라고 하고, 이보다 공기량이 많은 상태를 희박이라고 말한다. 배기가스 규제를 달성하기 위해 반구형 연소실에 제트 밸브를 설치하여 운전상태에 따라서 연소실에 강력한 제트 터뷸런스(난류; Turbulence)을 발생함으로써 점화후의 화염전파를 보조하고, 확실한 착화와 연소 속도의 증대를 도모하고, 초희박연소를 가능하게 한 분류 제어 초희박 연소방식(MCA-JET)을 적용하고, 효율이 양호한 연소와 양호한 연비를 실현하게 되었다. MVV 엔진은 절약성 에너지를 목표로 하고, 독자적으로 신개발한 초희박 연소방식의 엔진이다.
희박/농후(Lean/Rich)
희박 혼합기(Lean Mixture), 농후 혼합기(Rich Mixture)의 뜻으로서, 이론 공연비의 혼합기에 비해 가솔린 비율이 적은가 많은가를 말한다.
희박연소(Lean Burn)
이론공연비 14.7:1에 대해 희박 혼합비는 16:1 이상을 말한다. 희박 혼합기를 안정하게 연소시키면 공기 비율이 많기 때문에 CO나 HC 발생이 적다. 또한, 연소 최고 온도도 그다지 높아지지 않기 때문에 NOx 발생도 적고 연비점에서 유리하다. 그러나 희박 연소방식은 농후 연소방식에 비해 출력은 일반적으로 낮아진다.
A/F
Air Fuel Ratio의 약자. 공연비를 말함. 공연비 참조
A/R
터빈의 분출 노즐의 단면적을 A, 터빈의 축 중심에서 노즐의 분출 중심까지의 거리를 R로 하고, A를 B로 나눈 값을 말한다. 터빈의 특성을 결정짓는 요소로서 A가 적으면 터빈의 가속이 민감하게 되고, 고속에서는 배기 저항이 증대된다.
API
American Petroleum Institute(미국석유협회)의 약자. 윤활유를 엔진의 운전 조건에 의하여 분류한 방식을 말함.
ATDC
After Top Dead Center의 약자.상사 점 후를 나타낸다.
BTDC
Before Top Dead Center의 약자. 상사점전을 말한다.
CB
침전물이나 마멸, 유황분이 많은 연료 사용,운전 온도가 약간 높은 차량에 사용되는 오일로 부식 방지제가 첨가되었다. 중간 조건에서 사용되는 디젤 엔진오일.
CL
Closed Loop의 약자. 폐회로
D 제트로닉
D는 독일어의 druck(드루크) 머리 글자로서 압력 또는 기압의 뜻으로 엔진의 회전 속도와 흡기 다기관의 압력에 의해 연료 분사량이 결정되는 장치이다. 배전기는 적절한 순간에 접점이 캠에 의하여 개폐 작용을 하는데, 접점이 닫힐 때 점화 신호를 컴퓨터에 입력하면 인젝터수의 1/2에 축전지 전원을 연결하여 연료 흡기 다기관 내에 그룹 분사하도록 한다.
DOHC 5 밸브 엔진
1기통당 흡기 3밸브, 배기 2밸브의 총 5밸브를 배치한 DOHC 엔진.
DOHC 엔진
Double Over Head Camshaft의 약자. 실린더 헤드에 캠축이 2개있고 이에 의해구동되는 흡.배기밸브도 실린더당 2개씩 있는 엔진.
DOHC16 밸브 엔진
1기통당 4개의 밸브(흡배기 각각 2개)를 갖는 DOHC 4기통 엔진을 말한다.
HP
마력(Horse Power)을 말함.
K 제트로닉
K는 독일어의 kontinuierlich(코티뉴리치) 머리 글자로서 [연속적이다]라는 뜻이다.K 제트로닉은 연료 분사량의 제어 방식을 기계식으로 행하는 것으로서 연속적인 분사 장치이다. 흡입 공기량을 검출하는 방법이 기계유압식으로 에어혼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 플레이트와 연료 분배기가 레버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흡입 공기량에 따라 변화되는 센서 플레이트에 의해 연료 분배기의 플런저 행정을 변화시켜 연료 분사량이 조절된다.
KE 베트로닉
KE 제트로닉은 흡입 공기량을 검출하는 방법으로 JK제트로닉과 같지만, 나머지는 각종 센서로부터 검출하면 컴퓨터가 연산 처리하여 엔진의 작동 상태에 알맞는 전압으로 보내어 연료의 제어 압력을 조절하는 방식이다. K 제트로닉에 비하면 엔진의 출력이 증가하고 가속 성능이 좋으며, 연료 소비가 적은 장점이 잇다. 센서로는 쓰로틀 위치 센서, 산소 센서, 수온 센서, 대기압 센서, 1번 TDC 센서가 설치되어 있다.
L3제트로닉
L3 제트로닉은 유럽 지역의 자동차에 적용하는 전자제어 연료 분사 장치로서 컴퓨터와 에어 플로 센서가 내부에 연결되어 하나로 결합되어 있고 모든 계통에 L 제트로닉과 같다.
L제트로닉
L은 독일어의 luft(루프트)머리 글자로서 공기 또는 대지의 뜻으로서 흡입 공기량을 체적 유량으로 검출하는 방식이며, 메저링 플레이트식과 칼만 와류식이 있다. 쓰로틀 밸브의 열리는 정도에 따라 흐르는 공기량을 전기적 신호로 컴퓨터에 보내면 연산된 후 인젝터에 공급되는 전류의 흐름시간을 제어하여 연료의 분사량이 증감된다.
LH 제트로닉
LH 제트로닉은 흡입 공기량을 질량, 유량으로 검출하는 방식으로서 2개의 핫 와이어를 설치하여 흡입 공기가 통과할 때 냉각되어 저항값이 작아지는 원리를 이용하여 컴퓨터가 인젝터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여 연료의 분사량을 증감한다.
MONO 제트로닉
mono 제트닉은 전자적으로 제어되는 싱글 포인트 연료 분사 장치로서, 쓰로틀 밸브 위의 한 중심점에 설치된 인젝터를 통하여 간 헐적으로 연료를 분사하는 방식이다.
MPC 방식
MPC 방식은 에어혼 부분에 가해지는 대기압에 의해 센서 플레이트의 움직임을 레버에 전달하여 연료 분배기의 컨트롤 플런저 행정을 변화시키므로 기본 분사량이 결정되는 방식이다.
MPI 분사방식(multi point injection type)
연료분사를 할때 각 기통마다인젝터라는 연료분사 밸브를 설치하여 흡기구에서 따로따로분사하는 방식. 이 방식은 다른 방식에 비해 엔진성능이 좋다. 현재는 대부분이 이방식이다
NOx(질소산화물)
배기 가스 중에 포함되는 질소산화물을 말하며, X는 통상 1 또는 2, 죽 NO(일산화질소)와 NO2(이산화질소)를 말한다. NO2는 자극적인 냄새가 강한 유해한 기체로서 광화학 스모그의 주원인이 된다. NOx의 발생은 연소 온도나 압력이 공히 최고가 되는 이론 공연비 부근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므로, 이것을 적게 하기 위해서 엔진의 압축비를 적게 하거나 ENG에 의하여 연소 온도를 내리는 등의 대책이 취해진다.
OHC
Over Head Camshaft의 약자. 오버 헤드 캠샤프트 참조
OHV
Over Head Valve의 약자. 캠축이 크랭크케이스쪽에 있고, 푸시로드 등을 경유하여 밸브를 개폐시키는 기구를 말한다.
RAM
RAM은 전원이 OFF되면 기억 내용이 지워지지만 임의의 회로에서 데이터를 읽어들이기도 하고 읽어내기도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자동차의 각 센서로부터 시시각각으로 변화하는 데이터를 읽어들이는데 사용된다. 그러므로 정비를 완료한 다음축전기 전원을 차단하여 기억하고 있는 고장 데이터를 지워야 한다.
ROM
ROM은 일기 전용 기억 장치로 전원이 OFF 되더라고 기억 내용이 지워지지 않기 대문에 프로그램 및 고정 데이터를 저장시켜 놓는데 자동차의 정비제원을 장기적으로 기억하는 것이다.
RPM
Revolution Per Minute의 약자.분당 회전수를 말한다.
S/C
Super Charger의 약자.수퍼차저 참조
SAE
Society Automotive Engineers(미국자동차협회)의 약자. 윤활유를 점도에 의하여 분류한 방식을 말한다.
SAE 분류
미국자동차기술협회에서 제정한 것으로 오일의 점도에 따라 분류하며, SAE 번호가 클수록 점도가 높다. 계절별 오일을 분류하며 봄, 가을에는 SAE 30 여름은 SAE 40, 겨울은 SAE20 사용한다. 근래에는 4계절용 오일로 가솔린 엔진은 10W-30 오일을, 디젤 엔진은 20W 40 오일을 사용하는데 저온에서 엔진의 기동이 쉽도록 점도가 낮고 고온에서도 오일의 기능을 나타낼 수 있도록 조성하였다. 엔진 오일은 세이볼트로 점도를 측정하여 분류하며 W 문자표시는 겨울철용 오일로서 -17.78도씨 에서 측정한 것이며, 문자가 없는 것은 100도씨 에서 측정한 오일이다.
SB
긁힘, 산화, 부식 방지가 요구되는 엔진용의 오일로 산화 방지제가 소량으로 첨가된 오일, 중간 조건에서 사용되는 가솔린 엔진 오일.
SC
고온, 고부하 때문에 오일의 온도가 높아 산화가 격렬하게 발생되므로 슬러지 및 마모, 방청,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오일, 가장 가혹한 조건에서 사용되는 가솔린 엔진 오일.
SD
블로바이 가스 환원 장치가 설치된 차량 및 고속, 고온, 고부하 차량에 사용하는 오일, 가장 가혹한 조건에서 사용되는 가솔린 엔진 오일.
SOHC 12밸브 엔진
1기통당 흡기밸브 2개와 배기밸브 1개인 3밸브를 가진 SOHC 4기통 엔진을 말한다.
SOHC 16밸브 엔진
4기통 SOHC 4밸브 엔진을 말한다.
SOHC 24밸브 엔진
6기통 SOHC 4밸브 엔진을 말한다.총 밸브수는 24개(6기통 x 4밸브)
SOHC 4밸브 엔진
1기통당 4개의 밸브(흡,배기 각 2개)를 갖는 SOHC 엔진을 말한다.
SOHC 엔진
Single Over Head Camshaft의 약자. 한 실린더에 흡.배기 밸브를 각각 1개씩 가지고있으며 이들을 구동하는 축인 캠축이 1개인 엔진을 말함.
SPI 분사방식(single point injection type)
이 방식은 T.B.I(throttle body injection)라고도 부르며 흡기 매니폴드의 에어 크리너 밑에서 연료를 분사한다. 연료를 분사할때 하나의 인젝터가 분사하므로 제어는 용이 하지만가속시나 급 출발시 약간의 출력부족이 있다. 그래서 요즈음은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SPI(Single Point Injection) 분사방식
1개 또는 2개의 분사노즐을 한 장소에 설치한 후 연료를 분사하는 방식
SU 카브레터(Carburetor)
영국의 카브레터 제조사인 스키온 유니온사가 개발한 기화기. 흡입 공기량에 따라서 피스톤이 상하운동하여 노즐에 걸리는 부압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때문에 가솔린의 무화가 양호하다고 하는 장점이 있다.
T/C
Turbo-Charger의 약자.터보차저 참조
TDC
Top Dead Center의 약자.상사점을 말한다.
V6 24밸브 엔진
1기통당 4개의 밸브(흡, 배기 각 2개)를 갖는 V형 6기통 엔진.
WOT
Wide Open Throttle의 약자. 쓰로틀 밸브의 최대 열림 위치.
CRDi
커먼레일은 Common Rail Direct Injection Engine의 약자로 연료의 초고압 분사가 가능한 커먼레일이라는 시스템과 전자제어(ECU)을 통해 연료 분사시기와 연료량, 압력 등을 정밀제어하도록 설계된 디젤 엔진이다. 디젤엔진은 공기가 압축되어 있는 연소실에 디젤연료를 분사하여 자동착화하는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어 별도의 점화기구가 필요없다. 따라서 디젤엔진에서 가장 중요한 시스템은 연료분사기와 분사펌프이다. 커먼레일은 혼합기를 분사하는 기존 엔진과 달리 연료가 실린더로 직접 공급되어 연소효율을 높였다. 직접분사된 연료가 실린더 안에서 고른 폭발력을 가지려면 기체상태에 가까운 고압을 유지해야 한다. 이같이 압축된 연료의 고압을 유지하는 인젝션이 커먼레일 인젝션으로 모든 엔진동작상태에 따른 적정한 연료압력의 유지가 가능하다. 커먼레일 장치는 분사연료를 완전연소에 가깝게 소모시켜 각종 유해 배출가스를 억제할 수 있다. 분사압력은 엔진속도 및 부하조건과 무관하기에 저속에서 부하가 많이 걸릴 때는 고분사압력이 가능하므로 기존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디젤엔진보다 저속에서 토크 향상 및 출력의 증가를 얻어낼 수 있다. 이렇게 설계된 디젤 엔진은 기존의 디젤엔진 대비하여 연소효율이 높아 연비가 향상되며 저배기량임에도 불구하고 엔진의 출력, 토크가 우수해질 뿐만 아니라 소음, 진동측면에서도 유리하며, 연료의 효율적인 연소로 인하여 유해 배기가스 배출량이 줄어 든다.
첫댓글 많은 내용이기는 하지만 흡배기 시스템의 이해를 돕는데는 좋은 자료일듯 싶어서 올려 봅니다.^^
좋은정보네여.^^*
대박!!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