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고흥반도 끝자락 <외나로도>까지 내려왔다.
<羅老港> 바로 앞 <나로호텔>은 가격 대비, 시설도 잠자리도 깨끗하고 편안했다.
나중에 다시 와서 한 일주일 묵으며 가까운 섬 여행을 다니면 좋을 것 같다.
歸省을 서두르며, 어제 어둠 속이라 제대로 보지 못한 나로도 마을과 길가에 뭉게뭉게 피어나는 매화꽃들을
보았다.
곡성 쪽으로 방향을 잡아 蟾津江 가에서 재첩국을 먹고, 벌교에서 제일간다는 꼬막정식을 먹었다.
문득 <태백산맥>의 염상구가 외서댁을 두고 한 말이 떠올라 웃음이 났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501743456E4CD3C2E)
<벌교원조꼬막식당> 꼬막초무침이 제일 맛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77DC83456E4CD3D30)
메타세콰이어 가로수는 겨울에 보아도 아름답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67E3E3456E4CD3E2F)
<송광사> 입구에 들어서니 편백나무와 삼나무가 한데얼려 하늘을 찌를듯 선 채로 우리를 맞는다.
몇 차례 와 본 듯한데 왜 이리 낯설지?
<성보박물관> 또한 생소하다.
기억이 날로 빠르게 지워지는 걸 어쩔 수 없다.
계속 차만 타고 다녀 몸이 굳어진 것 같아 오늘은 산책 삼아 <佛日庵>까지 가기로 했다.
길이 끊어질 듯 이어지다가 아예 길은 없고 계곡을 가파르게 흘러내린 물이 파놓은 고랑을 따라가기도 하고
대나무가 우거져 어두운 동굴 같은 길을 가다가 저만치 환하게 쏟아져 들어오는 빛을 따라 가노라니
어느덧 불일암에 닿았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273D453856E4C44016)
편백나무길
![](https://t1.daumcdn.net/cfile/blog/2626E73A56E425D430)
불일암 가는 길
![](https://t1.daumcdn.net/cfile/blog/2477763A56E425D403)
무소유길1
![](https://t1.daumcdn.net/cfile/blog/23466C3A56E425D51D)
무소유길2
![](https://t1.daumcdn.net/cfile/blog/262D883A56E425D72A)
![](https://t1.daumcdn.net/cfile/blog/2650AB3A56E425D818)
무소유길3
![](https://t1.daumcdn.net/cfile/blog/231A843A56E425D935)
![](https://t1.daumcdn.net/cfile/blog/235CA73A56E425DA12)
무소유길4
![](https://t1.daumcdn.net/cfile/blog/213BE43756E425DB05)
![](https://t1.daumcdn.net/cfile/blog/2411A93756E425DC31)
무소유길5
![](https://t1.daumcdn.net/cfile/blog/2314F83756E425DE2D)
불일암 가는 길은 왕대나무숲이 군락을 이룬다.
'참대'라고도 하는데 '정절'과 '신념'을 상징한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221E853756E425DF24)
![](https://t1.daumcdn.net/cfile/blog/23126F3756E425E12F)
불일암 암자로 들어가는 길
![](https://t1.daumcdn.net/cfile/blog/2526683756E425E31B)
건물은 달랑 두 채뿐-
필요한 것을 최소화하며 일생을 단촐하게 사신 법정스님의 삶이 보이는 듯하다.
손수 짓고 은거하셨던 <불일암> 마루 끝에 앉아 본다.
아무리 俗人일지라도 그 자리에 앉으면 세상번뇌 시름이 모두 사라질 것만 같다.
마루 끝 소쿠리에 담긴 사탕이 눈에 들어온다.
‘예까지 올라오느라 수고했으니 사탕 한 알 입에 넣게’
하는 스님의 말씀이 들리는듯해서 하나 까서 입에 넣는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21344B3756E425E40E)
저만치 <불일암>이
![](https://t1.daumcdn.net/cfile/blog/273AA13556E425E415)
손수 만드신 탁자와 의자들이 정겹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2338B13556E425E617)
1975-1992까지 거처하시던 곳
![](https://t1.daumcdn.net/cfile/blog/2137423856E4C43F19)
![](https://t1.daumcdn.net/cfile/blog/2120E53556E425E62D)
손수 만든 의자 위에 방문기념 책갈피꽂이가 있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221F893556E425E72F)
하나씩 들고 가시게~~
![](https://t1.daumcdn.net/cfile/blog/234A0E3556E425E808)
암자 앞 텃밭
암자 바로 앞엔 커다란 후박나무가 아직 잎도 내지 않은 채 우뚝 서 있다.
그 옆에 대나무로 테를 두른 곳이 바로 茶毘 후 스님의 육신이 묻힌 곳이다.
浮屠田에 즐비한 고승들이 모셔져 있건만 원래 혼자 있는 걸 좋아하시더니 돌아가신 후에도 이곳 佛日庵 뜰에
혼자 누워 俗界를 굽어보고 계신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254C5D3956E428672B)
![](https://t1.daumcdn.net/cfile/blog/266D153956E428660A)
'법정스님 계신 곳'이라는 안내 글
![](https://t1.daumcdn.net/cfile/blog/2759013556E4286B06)
<감로암>쪽으로 하산
![](https://t1.daumcdn.net/cfile/blog/24369D3556E4286C25)
절 담장 밖의 홍매화.백매화
![](https://t1.daumcdn.net/cfile/blog/223EE53556E4286D1C)
<감로암> 앞에서 감로수 한 잔~
![](https://t1.daumcdn.net/cfile/blog/2343B73556E4286E19)
부도전의 고승들
![](https://t1.daumcdn.net/cfile/blog/274F694756E4BA2C22)
1992-2010까지 법정스님이 말년을 보낸 강원도 오두막 (2013.1답사)
스님의 책을 꽤 여러 권 읽어보고, 길상사 법회 때 법당 뜰에 앉아 法門도 듣고, 末年에 사시던 강원도 산골 오두막집도 가고 한 걸 보면 내가 법정스님을 좋아하긴 무척 좋아했나 보다.
3월 11일은 법정스님 떠나신 지 6년째 되는 날이다.
첫댓글 좋은 구경했습니다.
스님이 그립습니다. 잘봤습니다.
상세한 설명에 마치 제가 그곳에 있는듯 하네요.
청정하신 스님답게 모든것이 소박하고 정겨워 제 마음이 맑아지는 느낌예요.
언제 시간내어 사부작사부작 다녀와야겠어요.
잘보고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