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 마(馬)자는 말의 목갈 기와 말은 달리는 것이 사명이니까, 말의 발을 특징적으로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마차(馬車) 기마(騎馬) 마술(馬術) 마력(馬力) 애마(愛馬) 경마(競馬) 우마(牛馬)
아득할 막(藐)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얼굴 모(貌)자를 했습니다. 얼굴 모(皃,貌)자는 흰 백(白)자 아래에 어진 사람 인(儿)자를 해서 얼굴을 표시했습니다. 얼굴 모(皃)자는 얼굴 모(貌)자의 약자(略字)입니다. 여기서 흰백(白)자는 어진 사람 인(儿)자로 받쳐놓은 사람의 얼굴입니다. 얼굴 모(貌)자는 얼굴 모(皃)자에 발 없는 벌레 치(豸)자를 해서 사람을 포함한 동물의 얼굴을 나타냈습니다. 멀 막(邈)자도 얼굴 모(貌)자가 들어 있어서 ‘막’으로 읽습니다. 막소(藐小) 막법(藐法) 막복(藐福) 막시(藐視) 막궁(藐躬) 청자막막(聽者藐藐) 막고야산(藐姑野山)
병들 막(瘼)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말 막(莫)자를 했습니다. 없을 막(莫)자는 날 일(日)자의 위에는 풀로 가리고 아래에도 풀로 가려서 위아래를 모두 가린 모양을 해서, 해가 없다는 뜻을 표시했습니다. 거막(巨瘼) 폐막(弊瘼) 고막(痼瘼) 민막(民瘼) 읍막(邑瘼) 난막이래(亂瘼以來) 난리막의(亂離瘼矣)
멀 막(邈)자는 의부(義符)로 쉬엄쉬엄 갈 착(辵,辶)자에 성부(聲符)로 얼굴 모(貌)자를 했습니다. 얼굴 모(貌)자는 의부(義符)로 발 없는 벌레 치(豸)자에 성부(聲符)로 얼굴 모(皃)자를 했습니다. 얼굴 모(皃)자는 얼굴 모(貌)자의 약자(略字)입니다. 여기서 흰백(白)자는 어진 사람 인(儿)자로 받쳐놓은 사람의 얼굴입니다. 얼굴 모(貌)자는 얼굴 모(皃)자에 발 없는 벌레 치(豸)자를 해서 사람을 포함한 동물의 얼굴을 나타냈습니다. 아득할 막(藐)자도 얼굴 모(貌)자가 들어 있어서 '막'으로 읽습니다. 막연(邈然) 막조(邈調) 막원(邈遠) 막이산하(邈以山河) 광원면막(曠遠綿邈)
이 글은 국화선생님의 "한자의 비밀" 카페에서 퍼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