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obot-Friendly Architectural Design and Construction: This involves developing simulation technologies based on occupant and robot behavior, along with automated design systems. It also includes establishing architectural material and construction standards to ensure design integrity.
Multi-Robot Support Systems and Building Operation/Management: This segment focuses on creating indoor spatial maps and positioning technologies to facilitate robot movement within buildings. Furthermore, an open control platform will be developed for optimal robot operation.
Real-world Demonstration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The developed technologies will undergo real-world testing in actual buildings. The insights gained from these demonstrations will inform the establishment of technical standards and certification systems. Current candidate sites for these demonstrations include Keimyung University Dongsan Medical Center, Kangdong Kyung Hee University Hospital, and Pohang Terminal. These locations, which include both new and existing hospitals already utilizing robots, as well as a bustling passenger terminal, are expected to provide valuable insights for technology development.
To ensure robust project management, MOLIT plans to establish a dedicated team to periodically monitor R&D performance. Leveraging the expertise of private sector specialists across various technological domains within the Alliance, the ministry aims to facilitate the practical application and widespread adoption of research outcomes in robotics, UAM, and autonomous driving within architectural contexts.
Moon Seok-jun, Head of MOLIT's Architectural Policy Division, emphasized, "The digital transformation is accelerating due to the AI revolution, and architecture serves as a culmination of these technological changes. We will swiftly pursue technology development to transform buildings, where citizens spend over 20 hours a day, into smarter and more convenient spaces."
"AI 품은 건축물, 이제는 스마트+빌딩 시대"…정부, 핵심 기술 개발 본격 착수
[세종=뉴시스] 홍길동 기자 = 정부가 디지털 대전환 시대에 맞춰 인공지능(AI) 등 신기술을 수용할 수 있는 미래 건축물, 이른바 '스마트+빌딩' 기술 개발에 본격적으로 착수합니다. 국민들이 로봇, 도심항공교통(UAM), 자율주행차 등 새로운 기술과 서비스의 혜택을 일상에서 체감할 수 있도록 건축 환경을 변화시키는 것이 목표입니다.
스마트+빌딩은 기술 및 서비스 발전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유연성과 포용성을 갖춘 건축물을 의미합니다. 로봇이나 UAM 같은 신기술이 원활하게 기능할 수 있도록 공간, 구조, 설비 등을 갖추는 것이 특징입니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2023년 2월부터 산·학·연 83개 기관이 참여하는 '스마트+빌딩 얼라이언스'를 운영하며 활성화 로드맵을 마련했으며, 이를 기반으로 건축물의 설계, 시공, 유지관리 기술을 고도화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해왔습니다.
그 첫걸음으로, 국내 서비스 로봇 시장 확대 추세와 전문가 의견을 반영하여 '로봇 친화형 건축물 설계·시공 및 운영·관리 핵심기술 개발' 과제를 우선 추진합니다. 총 사업비 180억 원(정부 예산)이 투입되는 이 과제는 2025년부터 2028년까지 진행되며, 사람과 로봇이 안전하고 쾌적하게 공존하는 건축 공간 구현을 목표로 합니다. 이후 UAM, 자율주행차 친화형 건축 기술 개발도 단계적으로 추진될 계획입니다.
이번 로봇 친화형 건축 기술 개발 과제는 세 가지 중점 분야로 나뉩니다. 첫째, 로봇 친화형 건축물 설계 및 시공 기술을 개발하여 재실자-로봇 행동 기반 시뮬레이션 및 설계 자동화 기술을 구현하고 관련 건축 재료 및 시공 기준을 마련합니다.
둘째, 다수·다종 로봇 지원 시스템과 건축물 운영·관리 기술을 개발합니다. 로봇의 실내 이동을 지원하기 위한 공간 지도 구축, 측위 기술, 그리고 최적 운영을 위한 개방형 관제 플랫폼 개발이 포함됩니다. 셋째, 개발된 기술을 실제 건축물(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강동 경희대학교 병원, 포항 터미널 등 3곳 후보지)에서 실증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술 표준 및 인증 제도 등 제도 개선 방안을 마련할 예정입니다.
국토교통부는 사업의 내실 있는 관리를 위해 전담팀을 구성하고, 주기적인 성과 점검 및 민간 전문가 자문을 통해 연구 성과가 실제 건축물에 적용 및 확산될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입니다.
국토교통부 문석준 건축정책과장은 "AI 혁명 등으로 디지털 대전환이 가속화되는 상황에서, 건축물은 이러한 기술 변화가 집약되는 공간"이라며, "전 국민이 하루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건축물을 보다 스마트하고 편리하게 만들기 위한 기술 개발을 신속하게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한편, 국토교통부는 5월 29일 연구개발 수행기관으로 선정된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컨소시엄과 착수보고회를 개최하고 구체적인 추진 계획을 논의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