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ttps://www.youtube.com/watch?v=93SN0STCYXQ
사랑의 테마 박인수, 이수용, 이니은
에코(Echo)와 나르키소스(Narcissus) 이야기
나르키소스(Νάρκισσος, Narcissus), 나르시스 또는 나르시시스는 그리스 신화의 등장 인물이다. 오비디우스의
『변신이야기』 등에 등장한다. 나르키소소라는 낱말은 '잠(sleep) 또는 무감각(numbness)'을 의미하는
나르케(ναρκη, narke)에서 유래하였을 가능성이 크다.
깊은 강의 요정 리리오페는 강의 신 케피소스의 사랑의 결과로 자식을 두었다.
이 리리오페는, 케피소스 강이 굽이치는 흐름으로 감아안는 바람에 처녀를 잃었는데, 그로부터 열달 뒤 사내아이를 낳은 것이다.
나르키소스(Narcissus)
John William Waterhouse
Narcissus 191
Oil on canvas 94 x 62 cm
리리오페는, 강보에 싸여 있는데도 보는 사람의 얼을 빼놓을 만큼 잘생긴 이 아기, 그래서 망연자실, 그러나 시간
가는 줄도 모르고 바라보게 하는 이 아기를 '나르키소스'라고 이름했다.
Echo의 비극
Stothard, Thomas(British 1755~1834)
Nymphs Discover the Narcissus
exhibited 1793
Oil on canvas 324 x 352 mm
어느 날 이 나르키소스가 사슴 한 마리를 사냥 그물 안으로 몰아넣고 있는데 어느 요정이 그 모습을 보았다. 이
요정은, 상대가 말을 할 동안에는 절대로 제 입을 가만히 둘 수 없는 수다쟁이 요정이었다. 그런데도 이 요정은 저
혼자서는 말을 할 수 없었다. 요정의 이름은 에코, 늘 남의 말대답이나 하는 에코였다. 원래 에코에게는 목소리만
있는 것이 아니고 육체도 있었다. 나르키소스가 소년이던 시절의 에코는, 말이 수다쟁이였지, 사실은 자기가 들은
말의 마지막 구절을 반복하는 수다밖에는 떨 수 없었다. 이렇게 만든 것은 바로 헤라 여신이었다.
헤라 여신은 남편인 제우스가 어느 요정과 산자락에서 뒹굴고 있다가 사라지는 것을 보고는 하계로 내려와 이
에코에게 남편의 행방을 물었다. 묻는 말에 대답이나 했으면 좋았을 것을, 에코는 되는 소리, 안 되는 소리로 수다를 늘어놓았고 이 틈에 제우스와 요정은 감쪽같이 그곳에서 사라졌다. 결과적으로 에코가 헤라 여신을 잡아둔
셈이었다. 여신은 에코의 수다에 정신을 놓고 있다가 한참 뒤에야 속은 것을 알고 이 에코를 별렀다.
'남이 말한 뒤에 말할 수는 있으나, 남보다 먼저 말할 수는 없을 것이다.'라고 선언하였다.
이때부터 에코는 누가 한 말의 마지막 한마디밖에는 입 밖으로 낼 수 없었다.
불행의 시작
John William Waterhouse
Echo and Narcissus, c.1903,
oil on canvas, 43x74-1/2 inches
Walker Art Gallery at Liverpool
이러한 벌을 받은 에코는 어느 날 나르키소스라는 아름다운 청년을 보았다. 그가 산중에서 사냥을 하고 있을 때였다. 에코는 이 청년을 사랑하게 되어 그의 뒤를 따라갔다. 그녀는 저 아름다운 목소리로 말을 걸어 주기를, 또는 말을
걸어 그와 이야기하기를 얼마나 바랐던가! 그러나 그럴 힘이 없었다. 그래서 그녀는 그가 먼저 말을 걸어 주기를
초조한 마음으로 기다렸고, 답변도 준비하고 있었다. 어느 날, 그 청년이 사냥하던 동료와 떨어지게 되자,
"누가 이 근처에 있느냐?"고 소리 높이 외쳤다.
에코는 "여기에 있어요"하고 대답했다.
그러나 나르키소스는 사방을 둘러보았으나 아무도 발견하지 못하였으므로, 나오라고 다시 외쳤다.
에코는 "이제가요"하고 대답했다.
그러나 아무도 오지 않았으므로 나르키소스는 "왜 너는 나를 피하느냐, 우리 같이 가자"고 청년이 말하니, 그녀도
사랑에 찬 마음으로 같은 말을 하고 그 장소로 급히 달려가서 그를 껴안으려 하자, 그는 깜짝 놀라 뒤로 물러서면서,
"놓아라! 네가 나를 붙잡는다면 차라리 죽겠다"고 부르짖었다.
에코는 나르키소스로부터 당한 이 모욕을 참지 못하고 숲 속으로 들어가 나뭇잎으로 얼굴을 가렸다. 이때부터
에코는 날빛이 비칠 동안은 동굴에서 밖으로 나오지 않았다. 에코의 가슴에 내린, 나르키소스에 대한 사랑의 뿌리는 깊었다. 실연의 고통으로 몸부림 칠 때마다 이 사랑의 뿌리는 나날이 깊어갔다. 격정이 잠을 이루지 못하게 하는
바람에 에코는 하루가 다르게 여위어갔다. 나날이 수척해지면서 온몸에 주름살이 생겨난 것이다. 이렇게
여위어가다가 에코의 아름답던 몸은 그만 한줌의 재로 변하여 바람에 날려가고 말았다. 남은 것은 뼈뿐이었으나 곧 이 뼈도 가루가 되어 날아가버리자 마지막으로 소리만 남았다. 에코의 뼈는, 날아간 게 아니고 돌이 되었다는 전설도 있다.
이때부터 에코의 모습은 숲 속에 나타나지 않는다. 그러나, 에코의 모습을 보았다는 사람은 하나도 없으나 목소리를 들었다는 사람은 얼마든지 있다. 에코의 목소리만은 살아 있으니 당연하다. 나르키소스는 이로써 에코의 사랑을
농락한 셈이었다. 물의 요정, 숲의 요정, 그리고 수많은 요정과 사람들에게 그렇게 했듯이 나르키소스는 이 에코까지 박대한 것이었다.
나르키소스로부터 박대받은 이들 중 하나가 하늘을 향해 두 손을 벌리고 이렇게 기도했다.
저희가 그를 사랑했듯이, 그 역시 누군가를 사랑하게 하소서.
하시되 이 사랑을 이룰 수 없게 하소서.
이로써 사랑의 아픔을 알게
하소서
네메시스 여신이 이 기도를 듣고 이루어지게 해주려고 마음먹었다.
자신의 모습에 반해
Narcissus,
Caravaggio(1573~1610) 1598~99 Oil on canvas, 110 x 92 cm
Galleria Nazionale d'Arte Antica, Rome
미켈란젤로 메리시 다 카라바조
속에는 맑은 물이 고인 샘이 하나 있었다. 양치기가 다녀간 적도 없고, 그 산에서 풀을 뜯던 어떤 염소나 소도
다녀간 적이 없는 샘이었다. 새들도 산짐승도, 심지어는 떨어지는 나뭇잎조차도 이 샘에만은 파문을 일으킨 적이
없었다. 위로 무성한 숲이 뜨거운 태양으로부터 이 샘을 가리고 있어서 샘물은 늘 시원했다.
한낮에 사냥하다 지친 나르키소스가 이 샘으로 내려왔다. 샘 주위의 풍경과 샘 자체가 나르키소스의 마음에 그렇게 좋을 수가 없었다. 마른 목을 축이려고 샘물을 마시던 나르키소스는 또 하나의 참으로 이상한 갈증을 느꼈다. 물에 비친 그림자를 실체로 잘못 알고 그 그림자에 반해버린 것이었다. 물에 비친 제 모습에 넋을 잃은 그는 꼼짝도 하지 않고 샘가에 앉아 있었다. 영상에 꽂힌 그의 시선은 파로스섬 대리석으로 빚은 석상의 시선 같았다. 샘가에서 허리를 구부린체 그는 두 개의 쌍둥이별 같은 제 눈, 디오니소스나 아폴론의 머리채에 비길 만한 제 머리채, 보드라운 뺨,
상아같이 흰 목, 백설 같은 피부에 장미빛 홍조가 어린 아름다운 얼굴을 정신없이 바라보았다. 그는 자기 자신을
아름다운 소년이게 하는 이 모든 것들에 경탄했다. 그는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자신을 갈망하고 있는 것이었다.
그가 사랑하는 대상은 물론 자기 자신이었다.
그는 쫓는 동시에 쫓기고 있었다. 그는 격정으로 타오르는 동시에 태우고 있었다. 이 무정한 샘물에 입술을 대었으나 하릴없었다. 영상의 목을 감촉하려고 물에도 손을 넣었으나 이 역시 부질없는 짓이었다. 자기 자신의 목에다 손을
대면 될 일이나, 그는 이것을 알지 못했다. 그저 영상이 지펴낸 불꽃, 그의 눈을 속이는 환상, 그 환상이 지어낸
기이한 흥분에 쫓겼다.
나르키소스(Narcissus)
Karl Brulloff
Narcissus 1819.
Oil on canvas
어리석어라! 달아나는 영상을 쫓아서 무엇하랴!
그대가 구하는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
돌아서 보라. 그러면 그대가 사랑하던 영상 또한 사라진다.
그대가 보고 있는 것은 그대의 모습이 비춰낸 그림자에 지나지 않는다.
거기에는 아무것도 없다.
그대가 거기에 있으면 그림자도 거기에 있을 것이요,
그대가 떠나면 그대가 떠날 수 있어서 그 자리를 떠나면 그림자도 떠나는
법인 것을...
배고픔도 졸음도 나르키소스를 거기에서 떼어놓지 못했다. 그는 그저 샘가 풀밭에 배를 깔고 엎드려 실상이 아닌
그 그림자의, 보아도 보아도 질리지 않는 눈만 내려다보고 있었다. 이윽고 몸을 일으킨 그가 손을 내밀어 주위의
숲을 가리키며 외쳤다.
숲이여! 사랑을 나보다 더 아프게 사랑하는 자를 본 적이 있는가?
그대들은 보아서 알 것이다.
수많은 연인들이 밀회하기 가장 좋은 곳으로 여기고 이 숲을 드나들었다.
숲이여, 그대는 이것을 보았으니 알 것이다. 아득하게 긴 세월을 산 숲이여,
그 긴 세월을 살아오면서 나만큼 괴로워하는 자를 본 적이 있는가?
나는 사랑한다. 내가 사랑하는 자는 여기에 있다.
그러나 내가 사랑하고 내가 보는 내 사랑에,
나는 아무리 손을 내밀어도 마침내 닿지 못하는구나.
이를 어쩌면 좋은가? 내 사랑이 나를 피하는구나.
우리를 갈라놓는 것은 저 넓디넓은 대양도 아니요, 먼 길도 아니요,
성문의 빗장이 걸린 성벽도 아니다. 견딜 수가 없구나.
많지도 않은 물이 우리를 갈라놓고 있으니, 참으로 견딜 수가 없구나.
내 사랑이 내 포옹을 바라고 있는데 어찌 이를 내가 모르겠는가?
내가 허리를 구부리고 그 맑은 수면에 입술을 갖다대려고 하면
내 사랑도 얼굴을 가까이 대면서 내 입술을 마중하는데 어찌 내가 모르랴!
그대는, 우리의 입맞춤이 이루어지지 않을 리가 없다고 할 것이다.
우리 사랑을 갈라놓는 장애물을 참으로 하찮다고 할 것이다.
아, 사랑이여, 그대가 누구든 좋으니 내게로 오라.
비할 데 없이 아름다운 자여. 왜 나를 피하는가?
내가 그대에게 다가가려 할 때마다 그대는 어디로 가는가?
내 모습이 추해서, 내 나이가 많아서 피한 것은 아닐 것이다.
수많은 요정들이 나를 사랑했는데, 그럴 리는 없을 것이다.
그대의 다정한 얼굴을 보고 있으면
내 가슴 안에서 희망이 샘솟는다.
내가 손을 내밀면 그대도 손을 내밀고, 내가 웃으면 그대도 웃는다.
내가 고개를 끄덕이면 그대도 고갯짓으로 화답한다.
그대 입술이 움직이는 것으로 보아 그대는 분명히 내 말에 응답하는데도,
그 응답은 내 귀에 닿지 못한다.
아, 그랬었구나. 내가 지금껏 보아오던 모습은 바로 나 자신이었구나.
이제야 알았구나, 내 그림자여서 나와 똑같이 움직였던 것이구나.
이 일을 어쩔꼬, 나는 나 자신을 사랑하고 있었구나.
나 자신에 대한 사랑의 불길에 타고 있었구나. 나를 태우던 불길,
내가 견디어야 했던 그 불… 그 불을 지른 자는 바로 나였구나.
아, 이 일을 어쩔꼬. 사랑을 구하여야 하나? 사랑받기를 기다려야 하나.
사랑을 구하여 내가 얻는 것이 무엇이냐? 구하는 것이 내게 있는데...
내게 넉넉한 것이 나를 가난하게 하는구나.
나를 내 몸에서 떨어지게 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으랴.
사랑하는 자가 하는 기도로는 참으로 기이한 기도다만, 신들이시여,
내가 사랑하는 것을 내게서 떨어져나가게 하소서.
아, 슬픔이 내 힘을 말리는구나.
내게 이제 생명의 기운이 얼마 남지 않았구나.
나는, 내 젊음의 꽃봉오리 안에서 죽어가고 있구나.
죽음과는 싸우지 말자. 죽음이 마침내 내 고통을 앗아갈 것이니...
그러나 죽어도 좋으니, 내가 사랑하던 것만은
오래오래 살 수 있게 되었으면 얼마나 좋으랴.
하지만 우리 둘은, 하나가 죽으면 나머지 하나도 따라 죽어야 할 운명
이렇게 한탄하면서 그는 샘물에 비치는 그 얼굴을 다시 한번 눈여겨 바라보았다. 눈물이 샘물에 떨어지자 물 위에
파문이 일면서 그 영상이 사라지기 시작했다. 사라져가는 영상을 바라보며 그가 외쳤다.
어디로 도망쳐, 이 무정한 것아!
너를 사랑하는 나를 버리지 마!
네 몸에 손을 대는 게 싫다면 손대지 않으마.
그러니 이렇게 바라볼 수 있게만 해주어.
바라보면서 내 슬픈 사랑을 이별하게 해주어
슬픔을 이기지 못한 그는 웃옷을 찢고 대리석같이 하얀 가슴을 쳤다. 그의 주먹에 맞은 부분은 장밋빛으로 물들었다. 그의 가슴은 흡사, 햇빛을 받아 반은 빨갛게, 반은 하얗게 빛나는 사과, 아니면 군데군데 보라색 반점이 내비치는,
아직은 덜 익은 포도송이 같았다. 수면에 이 가슴이 비치자(수면은 다시 고요해져 있었다) 나르키소스는 다시
사무치는 그리움을 이기지 못하고 괴로워했다. 따뜻한 햇살에 녹는 금빛 밀랍처럼, 아침 햇살에 풀잎을 떠나는
서리처럼, 그의 육신도 사랑의 고통 속에서 사위어가다 가슴속의 불길에 천천히 타들어가기 시작했다. 붉은 반점이 내비치던 그 희디흰 살갗도 그 빛을 잃어갔고, 젊음의 혈기도 그에게서 빠져나갔다. 제 눈으로 그렇게 정신없이
바라보던 저 자신의 아름다움도 그의 몸을 떠났다. 에코가 사랑하던 것은 하나도 남김없이 그를 떠나갔다
나르키소스의 주검
Nicolas Poussin
Echo and Narcissus, Nicolas Poussin
French Baroque Era Painter, 1594~1665
oil on canvas,
Musee du Louvre
요정 에코는 샘가를 내려다보고 있었다. 나르키소스로부터 받은 박대를 생각하면 고소하게 여겨야 할 판이데도
에코는 슬퍼했다. 나르키소스가 한숨을 쉬면서 [아!]하고 부르짖자 에코도 하늘을 우러러보며 [아…]하고
부르짖었다. 나르키소스가 제 어깨를 치면서 울부짖자 에코 역시 똑같은 소리로 울부짖었다. 나르키소스가 샘물을 내려다보면서 마지막으로 [무정한 이여!] 이렇게 중얼거리자 에코도 [무정한 이여…] 하고 중얼거렸고,
나르키소스가 [안녕]하고 마지막 인사를 보냈을 때도 에코는 [안녕]소리를 되울렸다.
나르키소스는 푸른 풀을 베고 누웠다. 곧 죽음이 찾아와 아름답던 그의 눈을 감기었다. 나르키소스는 저승의 강에서 배를 타고 저승의 세계로 건너가는 중에도 하염없이 강물 속의 자신의 모습만 쳐다보았다. 케피소스 강 요정들은
동생인 나르키소스의 죽음을 애도하느라 머리를 모두 깎아 그의 죽음에 바쳤다. 숲의 요정들도 울었다. 에코는
이들의 울음소리를 숲 하나 가득하게 되울렸다.
관이 준비되고, 화장단이 마련되고, 불을 붙일 횃불까지 만들어졌지만, 나르키소스의 시신은 어디로 사라졌는지
흔적을 보이지 않았다. 요정들은 그의 시신 대신 흰 꽃잎이 노란 암술을 싸고 있는 꽃 한 송이를 찾아내었다.
오늘날까지 사람들은 그것을 나르키소스(수선화)라 부르며 그의 추억을 영원히 간직하고 있다.
옮겨온 글 편집
첫댓글 에코와 나르키소스에 대한 재미있는 신화를 잘 읽었습니다. 나르키소스 가 수선을 뜻하기도 하지만 Narcissist(자아도취자)라는 단어의
어원과 관계가 있는지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