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마라톤과 사랑에 빠진 중국, 스포츠용품 업계 호황 | ||||||||||||||||||||||||||||||||||||||||||||||||||||||||||||||||||||||||||||||||||||
---|---|---|---|---|---|---|---|---|---|---|---|---|---|---|---|---|---|---|---|---|---|---|---|---|---|---|---|---|---|---|---|---|---|---|---|---|---|---|---|---|---|---|---|---|---|---|---|---|---|---|---|---|---|---|---|---|---|---|---|---|---|---|---|---|---|---|---|---|---|---|---|---|---|---|---|---|---|---|---|---|---|---|---|---|---|
게시일 | 2016-08-22 | 국가 | 중국 | 작성자 | 류빈(우한무역관) | ||||||||||||||||||||||||||||||||||||||||||||||||||||||||||||||||||||||||||||||||
마라톤과 사랑에 빠진 중국, 스포츠용품 업계 호황 - 2015년 마라톤 134회 개최, 2011년 대비 약 10배 증가 - - 세분화 및 전문화된 소비자들 요구 반영해야 -
자료원: 중국마라톤협회(中国田径协会)
□ 건강과 운동에 관심 갖는 대륙인들, 대륙에 불어닥친 '마라톤 열풍'
○ 대륙의 스케일, 마라톤 개최횟수 5년 사이 '10배' 껑충 - 최근 중국에서는 마라톤 참여를 통해 지인들과의 친목을 도모함과 동시에, 건강을 챙기고 다이어트를 시도하는 등 다양한 목적을 가진 사람들의 마라톤 사랑이 커지고 있음. - 중국 대표 인터넷 포털 웨이보(微博)에는 마라톤 노선도, 칼로리 소모 정보, 초콜릿 복근, 스포츠용품 신상품, 체험후기 등 마라톤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가 업로드되고 있으며, 지인의 추천으로 마라톤에 참여하는 인원 또한 빠르게 늘고 있음. - 2016년 4월 10일, 중국 중부지역 최대 도시인 우한(武汉)시에서 제1회 국제 마라톤이 성황리에 개최됨. 이 마라톤 대회는 내년에도 개최될 예정이며, 내년 참가 예정 인원은 올해 참가 인원 2만 명에서 50% 정도 증가한 3만 명 정도일 것으로 전망됨.
2010~2015년 중국 마라톤 대회 개최횟수 및 성장률 자료원: 중국마라톤협회(中国田径协会)
- 중국의 마라톤 대회 개최횟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해왔으며, 특히 2015년 전년대비 160%의 폭발적인 성장률을 보임. 2015년 기준 중국 마라톤 대회 개최횟수는 총 134회로, 2010년의 13회 대비 10배 정도 성장함. - 이러한 트렌드와 더불어 중국 중산층 소비자들의 소비수준 향상에 따라, 각종 관련 소비가 이루어지는 일명 '마라톤 경제'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음.
자료원: KOTRA 우한 무역관
□ 중국, 마라톤 경제로 '그린라이트' 켜진 스포츠용품 업계
○ 운동화만 있으면 된다는 건 옛말, 다양한 스포츠용품 찾는 대륙의 소비자들 - 과거에는 마라톤 관련 스포츠용품이라고 하면 '운동화' 한 종류만을 떠올리는 사람들이 많았으나, 현재 대다수의 소비자들은 물통, 스포츠 이어폰, 만보기, 헤어밴드, 보호대 등 보다 다양한 제품을 필요로 함. - 특히 마라톤 경력이 많고 관련 운동을 오래해온 사람들은 다양한 기능을 보유한 고급 제품을 선택함으로써 본인의 운동능력을 제고시키고자 함. - 그 외에도 소비자들은 응용 앱을 통해 SNS상에서 자신의 목표와 기록을 사람들과 공유하고, 서로 보다 편리하고 효과적인 운동을 위한 제품을 추천받기도 함. - 현재 중국 마라토너들이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는 제품은 운동화로 전체의 93%를 차지하며, 다음으로 스포츠 티셔츠, 스포츠 이어폰, 스포츠 반바지 등이 각각 48%, 46%, 41%으로 절반 이하의 보유율을 보임. - 그 외 보유 장비로 스마트 밴드(34%), 포켓 웨이스트 백(21%), 기능성 손목시계(19%), 래쉬가드(15%), 스포츠 헤어밴드(13%), 멀티 스카프(9%), 보호 밴드(8%), 에너지 젤(6%) 등이 있음. - 최근 중국 소비자들의 소비수준 향상에 따라 전문적이고 세분화된 스포츠 시장의 잠재 발전 가능성 또한 매우 큰 것으로 보임.
중국 마라토너 주요 장비 TOP 24 (단위: %)
자료원: 2015 중국마라톤생활방식조사(2015中国跑步生活方式调查)
- 중국 대형 온라인 쇼핑 플랫폼인 Tmall에서 ‘스포츠용품’을 검색하면 총 1219건의 제품이 검색되며, ‘스마트 스포츠용품’을 검색하면 3000여 건의 제품이 검색됨. 이 온라인 플랫폼에서 연간 단품 매출 TOP5에 드는 제품의 연간 판매량은 1만 개를 초과함. - 또한, 최근 중국 소비자들의 소비능력 향상 이외에, 보여주기를 좋아한다는 의미인 ‘아이쇼(爱show)’ 개념 또한 중국 체육인들의 큰 특징이라고 할 수 있음. - 중국 체육인을 대상으로 한 설문 결과, 60%에 가까운 사람들이 중국 채팅 앱 웨이신(微信) 모멘트나 웨이보 타임라인 등에 본인의 운동 사진이나 운동 효과를 게시한다고 함.
○ 스포츠용품 업계, 주 타깃은 중산층 이상 소비자와 청년들 - 다국적 시장조사업체 AC닐슨의 조사통계에 따르면, 점점 많아지는 마라톤 참가자 중 대다수가 최근 중국에서 빠르게 발전 중인 중산층 및 부유층 소비자, 그리고 청년들임. - 대부분의 마라톤 참가자는 생활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은 북부, 동부, 남부지역 출신임. 경제가 발달한 베이징(北京, 17%), 상하이(上海, 12%)의 참가자는 총 29%를 차지했으며, 서부지역 참가자가 10%, 중부지역 참가자가 전체의 5%를 차지함. - 또한, 일반적으로 높은 교육 수준과 사회적 지위, 많은 자산을 보유한 개인 및 단체가 마라톤 참가에 열의를 보임. - AC닐슨의 조사에 따르면, 핵심 마라토너* 중 24%는 석사 혹은 그 이상의 학위를 보유하고 있으며, 36%는 고급 관리직에 근무함. 54%는 자가용을 보유하고 있으며, 42%는 은행 VIP 고객임. - 또한, 현재 마라톤 대회 참가자는 남성이 86%로 압도적인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나, 잠재 마라토너*의 38%가 여성이므로 향후 여성의 비율도 점차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설문 응답자 중 98%는 2016년 개최되는 풀코스 마라톤에 도전할 예정이며, 그 중 37%는 울트라 마라톤, 크로스 컨트리, 마운틴 런 등에도 도전하고자 함. - 휴면 마라토너* 중 86%는 하프코스 마라톤에 참가할 예정이며, 그 중 66%는 그와 동시에 풀코스 마라톤에도 도전할 예정임. 또한, 잠재 마라토너 중 55%는 2016년 개최되는 하프코스 마라톤에 도전하기로 함.
자료원: 중국마라톤협회(中国田径协会)
□ 시사점 및 참고사항
○ 세분화 및 전문화된 소비자들 요구 반영해야 - 중국에서 '마라톤 열풍'이 불고, 보다 많은 사람들이 마라톤에 관심을 가지고 참여함에 따라 필요한 스포츠용품과 그에 대한 소비자들의 요구 또한 세분화 및 전문화되고 있음. - 특히 마라톤 대회에 꾸준히 참가하거나 본인의 신체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능성, 스마트 제품을 찾는 소비자가 우후죽순 늘고 있음. - 최근 중국 소비자들의 스포츠에 대한 소비는 기존의 '상품 주도형'에서 '요구 주도형'으로, '관람형'에서 '참여형', '체험형'으로 변화하고 있음. - 또한, 다양한 소비자들의 요구에 따라 스포츠웨어, 보조용품 등 물건뿐만 아니라 스포츠 음료, 건강식품 등 관련된 여타 시장에도 기회가 될 것으로 전망함. - 따라서 한국 기업은 중국 소비자들의 요구에 맞게, 보다 전문적이고 다양한 기능을 보유한 기능성, 스마트 제품의 개발에 주력하는 것이 바람직함.
○ 마라톤 협찬 통해 중국 소비자들에게 상품 알려야 - 일반적으로 기업이 마라톤 대회에 상품을 협찬하는 데 드는 자본은 상대적으로 저렴하므로, 경제적 효율 방면에서 봤을 때 기대치만큼의 홍보 효과를 볼 수 있음. - 일례로, 중국 스포츠 브랜드 XTEP는 2014년 13회의 마라톤 대회에 상품을 협찬했으며, 3켤레의 운동화를 상품으로 제공함. 이로 인해 2015년 동 브랜드의 영업 수익 중 운동화의 매출은 30억4300만 위안(미화 약 4억7550만 달러)으로 전년대비 10% 성장함. - 향후 중국의 '마라톤 붐'은 한동안 성장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되며, 중국 1·2선 도시에서의 마라톤 대회 개최를 통해 해당 도시의 스포츠산업 라인 구축과 음식, 여행, 쇼핑 등 다양한 분야의 연계 사업을 전개할 것으로 예상됨. - 따라서 한국 기업은 중국 1·2선 도시에서 개최되는 각종 마라톤 대회에 자사의 상품을 협찬 제공해, 소비자들에게 사전에 브랜드에 대한 이미지를 각인시키며 자연스럽게 브랜드를 홍보하는 것이 바람직함.
자료원: 중국마라톤협회(中国田径协会), 2015중국달리기생활방식조사(2015中国跑步生活方式调查) 및 KOTRA 우한 무역관 자료 종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