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캄보디아 건설 경기 호황과 함께 페인트 시장규모 증가 -
- 가격경쟁력 우위를 가지는 로컬 브랜드(태국 수입)가 선점한 시장에 해외 브랜드 도전 중 -
□ 캄보디아 페인트 수입 꾸준한 증가 추세
ㅇ 캄보디아는 안료 생산이 되지 않아 완성 페인트 전량을 해외 수입에 의존
- 이전에는 JOTUN을 비롯한 다양한 브랜드가 캄보디아 시장을 이끌었으나 최근 2~3년 사이 태국에서 벌크로 수입된 저가 제품이 캄보디아 페인트시장을 석권
- 캄보디아 건설시장 호황으로 수성 및 비수성 제품 모두 꾸준히 증가 추세
- 비수성 페인트(HS Code 3208)의 경우 2016년 중국 제품이 급격히 증가했지만, 2017년부터 태국산 벌크를 현지에서 단위 포장으로 변경한 URAI 및 CAM-PAINT가 시장을 선도하고 있으며 수입량이 50%나 증가했음.
- 중국의 신규 건설 프로젝트와 더불어 중국발 건자재 사용 증가로 2017년부터 페인트 수입이 3000만 달러에 달하고 있음.
- 태국, 중국, 베트남, 대만,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등이 전체 수입의 95%를 점유하고 있으며, 한국산은 높은 가격으로 연간 30만 달러에 그치고 있음.
- 주요 수입 브랜드는 태국 등 인근지에 투자한 글로벌 브랜드인 JOTUN, Dulex, TOA, Nippon Paint 등이며, 벌크로 수입해 오는 캄보디아 브랜드 저가 제품은 URAI 및 CAM-PAINT임.
- 수성 페인트(HS Code 3209)의 경우도 대부분 제품이 태국 및 싱가포르를 통해 수입되고 있음. 2017년 기준 전체 수입량 1480만 달러로 전년대비 거의 2배 신장됐음.
- 그외 기타 페인트(HS Code 3210)도 연간 380만 달러 수입되고 있으며 대부분 태국에서 수입되고 있음.
캄보디아 비수성 페인트 상위국가 수입통계(HS Code 3208)
(단위: 천 달러)
구분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중국 | 88 | 468 | 913 | 3,447 | 2,800
|
베트남 | 155 | 475 | 1,441 | 2,608 | -
|
대만 | 743 | 942 | 929 | 1,150 | 1,007
|
싱가포르 | 299 | 177 | 32 | 838 | 238
|
태국 | 2,592 | 4,129 | 2,821 | 701 | 7,847
|
전체 | 4,143 | 6,382 | 6,492 | 9,198 | 13,741
|
캄보디아 수성 페인트 상위국가 수입통계(HS Code 3209)
(단위: 천 달러)
구분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태국 | 1,511 | 2,560 | 2,690 | 4,547 | 6,883
|
싱가포르 | 1,369 | 2,225 | 1,658 | 1,985 | 5,491
|
말레이시아 | 77 | 216 | 316 | 686 | 826
|
중국 | 13 | 89 | 261 | 203 | 1,189
|
한국 | 1 | 31 | 0 | 37 | -
|
전체 | 3,234 | 5,358 | 5,111 | 7,545 | 14,794
|
자료원: ITC Trade Map
□ 시장은 호황, 경쟁은 심화
ㅇ 저가의 로컬 브랜드가 브랜드 인지도 및 시장점유율 면에서 시장을 선도함.
- 현지 브랜드인 URAI Paint 및 CAM-PAINT는 저렴한 가격으로 현지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음. 인근국에서 벌크 형태로 원료를 수입해 캄보디아 내에서 혼합하는 형태로 제품을 생산하고 있지만, 대부분 수작업에 의존함에 따라 제품의 품질이 일정하지 않음.
- 캄보디아 페인트시장에 대한 공식적인 자료가 발표되지 않아 개별 기업에 대한 정보 확인이 불가한 관계로 정확한 수치를 확인할 수 없으나, 현지 관계자 인터뷰에 따르면 2018년 하반기에는 전체 시장의 50% 정도를 두 개의 현지 기업이 점유하고 있음.
- 상기 회사들은 지방 소도시 등으로 시장을 확대하는 유통시스템을 구축해 매우 안정적으로 성장하고 있음.
ㅇ 해외 브랜드로는 Nippon Paint와 JOTUN 브랜드에 대한 선호도가 높음.
- 해외 글로벌 브랜드로는 Nippon Paint 외에 JOTUN, TOA, Maestria, Kansai paint 등의 브랜드가 진출해 있으며, 한국 제품은 Star Coating Solution사가 KCC 페인트를 총판하고 있음.
- Nippon Paint는 JCMnippon Private에서 총판하고 있으며 현지 유통상을 약 30곳 두고 있음. 추가적인 유통상 확장보다는 광고 및 브랜드 인지도 확장을 위한 마케팅을 적극적으로 하며 시장점유율 상승 중
- JOTUN의 경우 태국에서 생산되고 있으며 캄보디아 전역에 약 50개 유통상을 두고 있으나 대부분 프놈펜지역에 몰려 있음. 경쟁사 대비 10% 정도 높은 가격에 현지 유통상들 간의 경쟁까지 일어나 불만이 심화된 상황에서 일부 유통상들이 로컬로 대체해 판매하고 있는 등 최근 시장점유율 감소 추세를 보임.
- KCC 페인트 유통업체인 Star Coating의 경우 기존 JOTUN 브랜드를 유통하고 있었으나, 최근 JOTUN의 캄보디아 직접 진출로 인해 한국산 신규 브랜드로 시장에서 경쟁 중
캄보디아 페인트 브랜드별 시장점유율
자료원: 업계 종사자 인터뷰
ㅇ 저가 페인트 위주로 시장이 형성 중
- 현지 수요업체들은 18L(한 통)당 20~30달러인 반면 브랜드 제품은 최소 35달러에서 100달러 이상임.
- 시장 특성상 여전히 저가 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으며, 특히 건설자재와 같이 개인이 직접 사용하지 않는 품목에 대해서는 제품 품질에 대한 관심도가 아직은 높지 않음.
- CAM-PAINT의 경우 일부 원재료를 미국에서 수입해 제품을 생산하고 있으며 저가 제품군이 주력 상품임.
- 기타 현지에서 유통되는 브랜드는 Star, OSL, Villa 99, National, Cellar, Angkor, OSL 등이 존재하나, 최근 시장에서 찾아보기 어려움.
- 캄보디아 브랜드업체들은 소비자에 대한 직접 판매와 함께 건설자재 유통업체 공급 모두 진행하고 있음. 소규모 건설자재상들도
대부분 페인트 제품을 함께 취급하고 있어 다수의 유통상을 거느리고 있음.
- 인터뷰 시 지방 소도시에도 다수의 유통상이 있으나 정확한 숫자는 파악하기 어려우며, 아직까지 기업별 유통과 지방 유통업체 간경계가 불명확
캄보디아 페인트 유통상 모습
자료원: KOTRA 프놈펜 무역관 직접 촬영
브랜드별 주요 제품 가격 정보(단위: 리터, US$)
수입국가 | 브랜드 | 용량 | 구분 | 색상 | 가격 |
캄보디아 | CAM-PAINT | 15 | Indoor | White | 16.5 |
Color | 25 |
Outdoor | Light Color | 17.5 |
Dark Color | 24.5 |
싱가포르 | Dulux(able to wash) | 15 | Indoor & Outdoor | White | 110 |
Light Color | 115 |
Dark Color | 180 |
Cellar(Dulux) | 15 | Indoor | Colors | 65 |
Outdoor | Colors | 78 |
Nippon(Matex) | 18 | Indoor | White | 28 |
29 |
Nippon(Watex) | 15 | Indoor & Outdoor | Light Color | 43 |
Medium Color | 55 |
Dark Color | 85 |
Nippon(Weathergard) | 18 | Outdoor | White | 110 |
태국 | JOTUN(Jotashield) | 20 | Outdoor | White | 89 |
4 | Outdoor | White | 21 |
말레이시아 | KCC(Gamcheon) | 5 | Indoor | White | 34 |
자료원: KOTRA 프놈펜 무역관 직접 방문 조사
□ 관세율 정보
ㅇ 캄보디아는 한-아세안 FTA에 의거, 한국산 페인트 제품(HS Code 3209)에 0%의 세율이 적용됨.
구분 | 일반관세 | 특별세 | 부가세 |
일반(기준세율) | 35% | 0% | 10% |
한-아세안 FTA | 0% | 0% | 10% |
중국 | 35%(일부 품목 0%) | 0% | 10% |
일본 | 15% | 0% | 10% |
자료원: 국별 FTA 관세협정표
□ 시사점
ㅇ 캄보디아 페인트 유통 트렌드 파악이 중요
- 캄보디아 페인트시장은 믿을 수 없는 로컬 브랜드의 저가 제품 위주로 크게 형성돼 있음. 로컬 브랜드들은 해외에서 원재료를 구입한 후 현지에서 고객별로 재배합해 소규모 유통상 등을 통해 전국적으로 판매
- 해외 브랜드의 경우에도 현지에 직접 진출하거나 에이전트를 통해 유통상 확보를 통한 판매가 주를 이루고 있음. 일반용 저가 제품보다는 특수시장을 겨냥한 진출을 통해 브랜드 인지도를 먼저 높일 필요가 있음.
- 유통구조상 수입 총판 또는 브랜드별 현지 법인이 중심 역할을 하고 있음. 캄보디아 시장진출을 위해서는 제품 판매를 위한 유통상 확보가 가장 중요함. 각 중간 유통상은 마케팅 지원을 통해 현지에서 적극적인 브랜드 홍보를 수행하며, 현지 건설업자 및 소매상에 판매하고 있음.
ㅇ 페인트 유통의 중심이 되는 파트너 업체 발굴이 중요
- 캄보디아 페인트시장을 주도하는 믿을 수 없는 로컬 브랜드의 약점을 공략하고, 고가의 차별화되는 전문시장 개척을 통해 인지도 향상이 필요
- 이후 캄보디아 시장에서 유통되는 페인트의 단점을 공략할 수 있는 마케팅과 현지 업체와의 협력을 통한 진출이 바람직
- 캄보디아 로컬 브랜드의 약점을 건드릴 수 있는 진출전략이 필요함. 특히 페인트 단일 품목보다는 여타 건축자재 등과 협력해 진출하는 방안을 강구해 한국산 이미지와 캄보디아 건설시장 전반에 대한 협업사업 위주 진출 모색이 바람직
자료원: ITC Trade Map, 캄보디아 관세청, 업계 관계자 인터뷰 및 KOTRA 프놈펜 무역관 자체 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