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3년 이병철 삼성 창업회장이 반도체 사업에 출사표로 낸 '도쿄선언'을 비롯해 1993년 이건희 선대회장이 신경영 출범을 알린
'프랑크푸르트 선언' 등 삼성가 오너는 그룹 운명을 좌우하는 절체절명의 시기마다 결정적인 메시지를 내놓고 본격적인 경영 쇄신에 나섰다. 이재용 회장이 전 계열사 임원들에게 사즉생(死卽生)의 각오를 주문한 것 역시 반도체, 모바일, 배터리 등 계열사 사업 전반이 위기에 처한 가운데 나왔다. 이에 따라 삼성그룹이 앞으로 변화와 혁신에 속도를 낼 것으로 전망된다
삼성전자의 '글로벌 1등 메모리 반도체' 위상은 1983년 2월 8일 '초고밀도집적회로(VLS)에 투자하겠다'는 이 창업회장의 도쿄선언에서 시작됐다. 이 창업회장이 도쿄에 있을 때 " 누가 뭐래도 삼성은 반도체 사업을 해야겠다"며 이 사실을 대외에 공표한 것이다
VLS는 반도체 중에서도 당시 최첨단 기술로 삼성은 가전제품용 고밀도집적회로도 겨우 만들던 때였다. 그러자 미국 인텔이 삼성을
"과대망상증 환자"라고 비웃고 일본 미쓰비시가 '삼성이 성공할 수 없는 5가지 이유'라는 보고서를 내는 등 조롱의 대상이 됐다
하지만 이 창업회장은 도쿄선언 후 반도체 중에서도 D램을 핵심 먹거리로 낙점, 속전속결로 대규모 투자를 추진했다
도쿄 선언 6개월 만에 미국, 일본에 이어 세계 세 번째 64Kb(킬로비트)D램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이어 약 10년 뒤인 1992년
64Mb D램 개발, 1994년 256Mb D램 개발 등 세계최초 타이틀을 연달아 달성하며 전 세계를 깜짝 놀라게 했다
삼성으 또 다른 변곡점은 이 선대회장이 1993년 6월 7일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마누라와 자식 빼고 다 바꾸라'며 대대적인 혁신을
주문한 '신경영' 선포다. 이 선대회장은 임원들을 불러 모아 "국제화시대 변하지 않으면 영원히 2류, 2.5류가 된다"며 1류로 살아남을
것을 강조했다. 이 선대회장은 1995년에는 이른바 '애니콜 화형식'으로 잘 알려진 과감한 결단에 나섰다.
삼성 휴대폰이 품질 논란이 회사 안팎으로 제기되자 휴대폰, 팩시밀리 등 15만 대를 사업장 운동장에서 불로 태운 사건이다
당시 불에 탄 기기 15만대의 가치는 500억원으로 회사 전체 이익의 5%에 달했다.
삼성은 이를 혁신의 계기로 삼아 이듬해인 1996년 휴대폰 개발을 기존 아날로그 방식에서 디지털 방식으로 전환하고 1999년 세계 최초 TV폰, 2006년1000만 화소 카메라폰을 잇달아 내놓았다.
박현익 동아일보 기자
첫댓글 지금의 삼성은
대한민국의 교과서 입니다
저는 삼성이 부럽습니다
삼성 , 현대 , LG , SK 등 기업인들이 대한민국 버팀목 인데 , 기레기들이 지가 버텨주고 있는줄 안다.
그런데 지금의 삼성은....
순발력이 둔화 된건 아닌지.....!